Serum Lmmunoglobulin G and M Level after Xenograft Valve or Valved Conduit Implantation

이종 조직판막 도관 혹은 판막 이식술 직후 면역 글로불린 항체 G, M의 혈중 농도 변화

  • Kwak, Jae-Gun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Yoo, Jae-Suk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Yoon, Sun-He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Woong-Han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Kyung-Hwan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Yong-Jin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곽재건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 유재석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 윤선희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 김웅한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 김경환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 김용진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4.05

Abstract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peripheral blood sampling for measuring of serum immunoglobulin can predict immunological changes after xenograft implantation. Material and Method: Between March 2006 and January 2007, 19 patients were enrolled (10 xenograft implantation group, 9 control group). Through 3 peripheral blood samples, we measured changes in serum immunoglobulin G and M levels preoperatively, and 2 and 10 days postoperatively. Result: In both groups, serum immunoglobulin levels showed similar changes-they decreased 2 days postoperatively, then increased up to the baseline levels 10 days postoperatively. However, this postoperative change of immunoglobulin G and 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bsolute value or pattern between the 2 groups (Ig G; p-value=0.393, Ig M; p-value=0.193). Conclusion: We could not predict immunological changes after xenograft implantation by measuring serum immunoglobulin levels by simple blood sampling. Direct checking of ${\alpha}$-Galactose antibody may confirm an immunological reaction after xenograft implantation.

배경: 동물조직의 생체조직이식시 이종항원 물질인 알파-갈(${\alpha}$-Galactose) 항원결정인자에 대한 환자의 면역반응에 많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이종 판막 이식 후 체내에서 ${\alpha}$-Galactose에 대하여 면역반응이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면역글로불린 G, M (IgG, IgM)의 변화를 일반적인 혈액 검사에 의한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면역반응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7년 1월까지, 개심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이종 판막 이식 환자 (실험군, 10명), 이종 장기가 이식되지 않은 환자(대조군, 9명))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10.3{\pm}9.1$세, 체중은 $31.4{\pm}20.3kg$이었다. 환자들에게서 수술 전, 수술 후 2일째, 수술 후 10일째에 일반적인 혈액 채취를 통하여 IgM, G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수술 이전에 이종 장기가 이식되어있던 환자들과 그렇지 않았던 환자들을 비교하여 면역 글로불린의 수술 전 기저치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이전의 상태가 수술 후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얻어진 혈중 농도로 두 군 간에 수술 후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변화와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술전 이종 장기가 이식되어 있던 환자들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 사이에 면역글로불린의 혈중 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IgG; p-value=1.00, IgM; p-value=0.898). IgG, M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각 군 내에서 수술 전에 비하여 수술 후 2일째 혈중 농도가 감소하였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는 일정한 변화의 경향을 보였고, 그 변화 정도가 시간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달라졌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그 변화의 정도, 경향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IgG; p-value=0.393, IgM; p-value=0.193). 결론: 이종조직 판막이식 후 혈액 채취를 통해 얻은 혈중 농도 변화는 이종조직판막 이식을 하지 않는 수술을 받은 환자와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변화 정도가 술 후 양 군 간에 차이가 없다기보다는, 일상적인 혈액 채취를 통한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측정으로는 면역 반응에 의한 면역 글로불린의 변화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종조직판막이식 후의 이종동물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의 체내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alpha}$-Galactose에 대한 항체의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Jamieson WRE, Rosado LJ, Munro AI, et al. Carpentier? Edwards standard porcine bioprosthesis: primary tissue failure (structural valve deterioration) by age groups. Ann Thorac Surg 1988;46:155-162 https://doi.org/10.1016/S0003-4975(10)65888-2
  2. Konakci ZK, Bohle B, Blumer R, et al. $\alpha$-Gal on bioprosthesis: xenograft immune response in cardiac surgery. Eur J Clin Invest 2005;35:17-23 https://doi.org/10.1111/j.1365-2362.2005.01441.x
  3. Galili U, Clark MR, Shohet S, Buehler J, Macher BA. Evolutionary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anti-Gal antibody and the Gal (alpha1-3) Gal epitope in primates. Proc Natl Acad Sci USA 1987;84:1369-1373 https://doi.org/10.1073/pnas.84.5.1369
  4. Galili U, Shohet S, Kobrin E, Stults CLM, Macher BA. Man, apes, and old world monkeys differ from other mammals in the expression of alpha-galactosyl epitopes on nucleated cells. J Biol Chem 1988;263:17755-17762
  5. Oriol R, Ye Y, Koren E, Cooper DKC. Carbohydrate antigens of pig tissues reacting with human natural antibodies as potential targets for hyperacute vascular rejection in pig-to-man organ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1993; 56:1433-1442 https://doi.org/10.1097/00007890-199312000-00031
  6. LaVecchio JA, Dunne AD, Edge ASB. Enzymatic removal of alphagalactosyl epitopes from porcine endothelial cells diminishes the cytotoxic effect of natural antibodies. Transplantation 1995;60:841-847 https://doi.org/10.1097/00007890-199510270-00014
  7. Stone KR, Ayala G, Goldstein J, Hurst R, Walgenbach A, Galili U. Porcine cartilage transplants in the cynomolgus monkey: III Transplantation of $\alpha$-galactosidase treated porcine cartilage. Transplantation 1998;65:1577-1583 https://doi.org/10.1097/00007890-199806270-00007
  8. Luo Y, Wen J, Luo C, Cummings RD, Cooper DKC. Pig xenogeneic antigen modifcation with green coffee bean $\alpha$-galactosidase. Xenotransplantation 1999;6:238-248 https://doi.org/10.1034/j.1399-3089.1999.00035.x
  9. Phelps CJ, Koike C, Vaught TD, et al. Production of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deficient pigs. Science 2003;299:411-414 https://doi.org/10.1126/science.1078942
  10. Dai Y, Vaught TD, Boone J, et al. Targeted disruption of the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gene in cloned pigs. Nature Biotechnol 2002;20:251-255 https://doi.org/10.1038/nbt0302-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