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학 문제 중심 학습 효과 평가 - 일개 교과목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 김희순;고일선;이원희;배성연;심정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395-405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the Problem-Based Learning(PBL) in nursing with regard to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 Method: PBL modules were provided to the students so that they could identify the nursing problems related to nutrition, regulation, and elimination, and implement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problems. PBL was also used to develop ability to use self-evaluation for nursing intervention outcomes. The modules were developed by the authors for the course, Nursing 1(3 credits) at Y university, and used during one semester, March to June 2003. Evalu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 was done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 semi-structured self -report developed by the authors. Result: The PBL evaluation included role of the facilitators, group work proc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The students evaluated the facilitator's role positively in fostering positive interactions and cooperative study among students and stimulating students to apply various problem-solving strategies. Students evaluated their own group work performances as a good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group work participation, contribution, cooperation, and leadership through the PBL session. Their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earning and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to connect present learning to long-term goals. Conclusion: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nd group work accomplishments in undergraduate student nurses were fostered and improved through the PBL program.

  • PDF

동형검사를 활용한 진단 및 형성평가가 초등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Effects of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Using Equivalent Test o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Focused on the 'Earth and Moon' Unit)

  • 손준호;김종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19-62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동형검사를 활용한 진단 및 형성평가가 초등과학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단 및 형성평가의 문항 및 학업성취도 문항을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 및 투입하였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평가를 실시한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다. 둘째, 형성평가를 실시한 과학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주지못하였으며,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의 영역 중에서는 학습기회의 개방성 영역만 향상시켰다. 셋째, 진단 및 형성평가 실시한 과학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으며,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의 영역 중에서 문제 해결 기술을 제외한 학습기회의 개방성, 학습에 대한 주도성, 학습에 대한 애착 영역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형성평가를 진단평가와 함께 실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이 정의적 영역 및 비교과 체험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Curriculum of Science Core School on the the Affective Domain and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Satisfaction)

  • 송경훈;최성봉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2-123
    • /
    • 2013
  • Under this research, the survey is made on the definitive influence of the first-year education process of the science focus school for each of humanities, science and science core cours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non-curriculum experiment activity program for each course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first-year education process of the science focus school.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has set three research issues. First, By clarifying the research result through the first-year education curriculum for science core school, noticeable change was observed for science focus school students through the change of attitude related to science for each desired course of students. Second,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change, there was meaningful change for each desired field of students. Students hoping for humanities curriculum had great help in improvement of creative thinking for openness, creativeness and the like, but the influence was slightly insufficient in the moderation and control capability on themselves in learning attitude. Third, By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 comprehensively, the first-year education curriculum for science core school provides high level of tailored science learning for the science focus school student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서 기술수용의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층별 조절효과를 반영하여) (A study on the impact of technology using for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Reflecting the control effect with grade to organizations))

  • 박동국;박구만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3-50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조기 구축하고 임직원 교육을 위해 활용 중인 국내 IT Service 전문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학습태도인 자기효능감, 개인혁신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혼합학습에서 선행학습인 스마트러닝의 수용과 오프라인 면대면 학습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스마트러닝의 수용은 오프라인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추가로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뿐만 아니라 오프라이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도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는 스마트러닝 학습태도의 변인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과 긍정적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서 기술수용의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T서비스 전문기업의 사례 중심) (A Study on the Impact of Inten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for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in Case Specialized Company with IT Service))

  • 박구만;박동국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39-748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조기 구축하고 임직원 교육을 위해 활용 중인 국내 IT Service 전문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학습태도인 자기효능감, 개인혁신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혼합학습에서 선행학습인 스마트러닝의 수용과 오프라인 면대면 학습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스마트러닝의 수용은 오프라인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추가로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뿐만 아니라 오프라이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도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는 스마트러닝 학습태도의 변인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과 긍정적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주 단위 보고서 작성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riting a Weekly Repor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 김미정;우애자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165-17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주 단위 보고서의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자연 계열 학생으로 실험반과 비교반을 각각 3개 반으로 구성하였다. 수업 처치 단원은 화학I 'IV. 닮은꼴 화학 반응'으로 선정하였고, 총 16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 과제로 실험반은 주 단위 보고서를 작성하였고, 비교반은 문제 풀이로 수업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p<.05). 동기 변인과 학습 전략 변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총 15개의 하위 영역 중에서 시험 불안과 노력 규제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수업은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갖지 못했으나(p>.05), 총 5개의 하위 영역 중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와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수업은 학업 성취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상위권과 하위권 성취 수준의 학생들 사이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 PDF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과학 글쓰기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Classes based on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Elementary School)

  • 김은혜;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4호
    • /
    • pp.346-355
    • /
    • 2017
  •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encourages students to cultivate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such as scientific thinking, science process skills,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To fill this purpose, we practiced science writing classes based on core competencies and examined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The target unit was 'weather and our life', 'acid and base', 'speed of an object', and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in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n that science writing activities based on core competencies did not help improving science process skills of learners. Second,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particular, owner spirit, meta cognition and information search. Third, this strategy for science writing changed learners' scientific attitude positively. The above-mentioned results show that this science writing classes can be applicable as one of effective methods in cultivating science core competencies.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술 중요성 인식,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Basic Nurs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 정혜윤;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41-250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술 중요성 인식,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간의 관계 및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12월 18일부터 22일까지 G군 소재 간호대학생 1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은 기본간호술 중요성 인식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대한 영향요인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실습태도, 기본간호술 중요성 인식, 직전 학기 성적으로 총 변화량의 32%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을 높이기 위해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실습태도, 기본간호술 중요성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전략이 필요하다.

웹기반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Web-Based Learning Materials)

  • 박종운;배점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84-192
    • /
    • 2003
  • When the present Learning System for Computer-Related Subjects Using WBI is implemented on the Web with the above characteristics to help students to study computer subjects without any limitations of time or space, they can easily attain the goals of learning, have computer-utilizing abilities or information capacity, and enhance their capabilities for self-initiative learning. This system enables the learners to carry out 'plan-do-see' for the contents of learning initiatively. The learners can study the practice part of the curriculum using multi-media, such as motion pictures, voices, images, and sound effects, vividly with a sense of actual presence. It helps the students to have an active attitude toward leaning afterward. without meeting the teacher or without any storage media, the leaners can submit their assignments or materials for performance evaluation via the Internet.

성인간호학 수업에 팀 기반 학습 적용의 효과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Adult Nursing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 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41-24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간호학의 혈액계 환자간호에서 팀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대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학습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팀 기반 학습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단일군 전 후 실험설계연구이며, 2018년 4월 5일에서 5월 17일까지 B시 간호학과 3학년 학생들에게 TBL 수업 후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 기반학습 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모두 향상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상자들의 팀 기반 학습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교육에 팀 기반 학습법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적용하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뿐만 아니라 간호교육의 질을 높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추후 타 교수학습법과 비교하여 연구해볼 것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