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Writing a Weekly Repor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주 단위 보고서 작성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6.02
  • Accepted : 2015.07.29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writing a weekly report on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he academic achievements were examined. Two hundred and three students, second graders of a high school participated.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writing a weekly report,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erformed regular science les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SLQ test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p<.05). For sub-factors of motivation region, such as internal goals, extrinsic goals, learning beliefs, task value, and self-efficacy and for sub-factors of learning strategy region, such as meta-cognition, peer learning, time management, critical thinking, and demonstra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 TOSRA test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p>.05). However, for sub-factors, such as scientific inquiry and joy to science cla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Chemistry I class (p>.05). However, top and low achievement leve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본 연구에서는 주 단위 보고서의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자연 계열 학생으로 실험반과 비교반을 각각 3개 반으로 구성하였다. 수업 처치 단원은 화학I 'IV. 닮은꼴 화학 반응'으로 선정하였고, 총 16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 과제로 실험반은 주 단위 보고서를 작성하였고, 비교반은 문제 풀이로 수업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p<.05). 동기 변인과 학습 전략 변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총 15개의 하위 영역 중에서 시험 불안과 노력 규제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수업은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갖지 못했으나(p>.05), 총 5개의 하위 영역 중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와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수업은 학업 성취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상위권과 하위권 성취 수준의 학생들 사이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권용선 (2001). 지식공유 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업교육연구, 3(1).
  2. 강인애 (1998). PBL과 '성찰저널(reflective journal)' 산업교육연구, 4, 3-27.
  3. 강훈식, 권은경, 노태희 (2007).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질문 촉진 수업에서 상호 동료교수 전략 및 장독립성-장의존성의 영향. 대한화학회지, 51(1), 82-92.
  4. 강훈식, 이성미, 권은경, 노태희 (2006).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 질문을 촉진하는 방안으로서의 주단위 보고서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85-392.
  5. 권재술, 김범기, 최병순, 김효남, 백성혜, 양일호, 권용주, 차희영, 우종옥, 정진우 (2013).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6. 김미정, 김정환 (2007). 자기평가 후 피드백 유형이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1), 141-163.
  7. 김용수 (1998).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김지은 (2000). 자기조절 학습전략 훈련이 아동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하영, 김경은 (2013). 사회과 인권수업에서의 성찰일지쓰기의 효과 분석: 학업성취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45(3), 81-102.
  10. 박성익, 강명희, 김동식 (1998). 교육공학 연구의 최근 동향. 서울: 교육과학사.
  11. 박은경 (2000). 프로젝트 접근법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력 및 과제 수행 능력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손화순 (2005). 반성학습일지 쓰기를 통한 쓰기능력 신장 및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 형성 : 협동학습 모형에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양정은 (2002). 중학생의 과학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자기조절학습, 학습 환경과의 상관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이은자 (2009). 교사 첨삭 피드백의 원리와 방법. 작문연구, 9, 123-152.
  15. 임정훈, 조주현 (2007).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성찰일지 쓰기와 성찰일지 쓰기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학회, 14(2).
  16. 장진태 (2009). 영어 성찰일지 쓰기를 통한 자기주도 학습의 향상. 교과교육학연구, 13(4), 697-716.
  17. 최원, 정현호 (2010). 자기평가가 수학영재아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영재교육, 2(1), 45-71.
  18. 허명 (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19.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박영신, 김의철 공역 (2001).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교육.건강.운동.조직에서의 성취. 서울 : 교육과학사.
  20. Dewey, J. (1910) How we think.? Boston: Health.
  21. Etkina, E. (2000). Weekly Reports: A Two-Way Feedback Tool. Science Education, 84(5), 594-605. https://doi.org/10.1002/1098-237X(200009)84:5<594::AID-SCE3>3.0.CO;2-U
  22. Etkina, E. & Harper, K. A. (2002). Weekly Reports: Student Reflection on Learning. An Assessment Tool Based on Student and Teacher Feedback.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1(7), 476-480.
  23.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Hawthom,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24. Harper, K. A.; Etkina, E.; Lin, Y. (2003). Encouraging and Analyzing Student Questions in a Large Physics Course: Meaningful Patterns for Instruct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8), 776-791. https://doi.org/10.1002/tea.10111
  25. Naiman, N. (1978). The Good Language Learner, Research in Education, Series 7, 112.
  26.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27. Pressley, M. & Ghatala, E. G. (1990). Self-regulated learning: monitoring learning from text.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19-33.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3
  28. Weinstein, C. E. & Mayer, R. F. (1986). The teaching of learning strategies. In M. C. Wittrock(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acmillan.
  29.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4), 614-628. https://doi.org/10.3102/00028312023004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