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 field learning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5초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프로그램 학습 모형 개발 - NCS 패션분야 중심으로 - (Educaction program development applying capstone design for convergence talent development in the fashion field)

  • 김신우;김영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5-211
    • /
    • 2019
  • In this paper, Capstone Design Education Program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and recommended in order to foster convergent talents armed with practical competences and real cooperative capabilities. In this era of convergence and creativity, the fashion world needs human resources with cooperative skills and true professional abilities. A case analysis, an in-depth interview, and 1,2 test method were used for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described below. First, this program needs to complement the NCS fashion design learning module. Second, material changes to creativity and practical competencies -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 of the students are assessed after applying Capstone Design to the NCS fashion design learning model. Third, the process of converging fashion curriculum with IT and electronic technology, developing a fashion design learning program, and applying the Capstone Design was tes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t fashion design education. Among the changes observed between the trial and control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sub-factors of creative personality, i.e. self-assurance and openness, were increased along with knowledge, core competences including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e greatest improvement on the technological side was observed in IT literacy while ability to respond to changes was also increased. Besides, effects were demonstrated in behavioral factors such as initiative, spirit of challenge, experience, and openness. Lastly, the Capstone Design Education Program Learning Model was proposed in order to foster convergent talents in the fashion world.

4차 산업혁명 시대 기계공학 분야 엔지니어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육에 관한 델파이 연구 (A Delphi Study on Competencies of Mechanical Engineer and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강소연;조형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49-58
    • /
    • 2020
  •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world is undergoing rapid social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expected changes and necessary competencies and desired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the field of mechanical engineering in the near future. The research method was a Delphi study. It was conducted three times with 20 mechanical engineering exper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field of mechanical engineering, it will be increased the situational awareness by the use of measurement sensors, development of computer applications, flexibility and optimization by user's needs and mechanical equipment, and demand for robots equipped with AI. The mechanical engineer's career perspectives will be positive, but if it is stable, it will be a crisis. Therefore active response is needed. Th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ield of mechanical engineering include collaborative skills, complex problem solv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problem finding skills, creativity, communication skills, convergent thinking skills, and system engineering skills.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to achieve above competencies includes four major dynamics, basic science, programming coding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data processing education, and cyber physical system education. Preferred mechanical engineering teaching methods include project-based learning, hands-on education, problem-based learning, team-based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ment-based education, and software-assisted education. The mechanical engineering community and the government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 education for mechanical engineers with the necessary competenc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will make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mechanical engineering fields.

국내대학의 건축시공 교육과정 운영 및 교육혁신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Educational Innovation in Building Construc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 김재엽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7-465
    • /
    • 2019
  • 기술과 사회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발전하는 사회를 선도하는 대학교육도 끊임없이 변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대학 건축시공 분야의 교육혁신실태 분석하였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대학의 건축시공분야에서도 교육혁신 강의가 도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개 대학 중에서 5개 대학에서 혁신강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입되고 있는 혁신교수법은 팀기반학습과 플립러닝이었다. 혁신강의와 전통적인 강의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평가방법, 주별 강의일정, 학습을 위해 지원되는 도구 등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대학교육의 혁신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립민속박물관을 활용한 <의생활문화> PBL 수업 사례 (Case Study of PBL applied field trip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n teaching )

  • 신혜원;이정욱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97-109
    • /
    • 2016
  • 가정교육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정생활문화 교과내용 중 의생활문화 수업에 국립민속박물관 현장학습을 활용한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국립민속박물관 의생활문화 홍보책자 만들기'라는 PBL 문제를 개발하여 가정교육과 3-4학년 23명을 대상으로 박물관이라는 실제 상황을 중심으로 설계된 수업이 1주에 3시간씩 5주간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성찰일지와 자기평가지로 PBL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고, 박물관 현장학습의 만족도 역시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문제해결방법을 배우고 문제해결과정에서 협동과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학습의 주체임을 객관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다만 문제의 다양한 분석과 비판적/창의적 의견, 생각과 아이디어의 논리적 도출부분이 부족했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박물관 현장학습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박물관 현장학습 환경 및 진행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f Communication Ability by Havruta Teaching-Learning Method

  • Jae-Nam Kim;Seong-Eun Ch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197-205
    • /
    • 2023
  • 본 연구는 하브루타 교수-학습법을 대학생들의 전공 수업에 적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의 효과성 평가와 하위요인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 능력 점수는 하브루타 교수-학습 전·후에 따라 달라졌으며 하브루타 교수-학습 전보다 하브루타 교수-학습 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 효과는 직접 효과에서 해석 능력과 역할수행 능력의 목표설정 능력 간의 관계를 제외한 잠재 변수들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하브루타 교수-학습 방법은 창의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회성 발달과 의사소통 능력은 물론 자신과 다른 의견들을 경험해보면서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라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호모마키나 시대에 걸맞은 철저한 학생중심 교수-학습법의 연구는 지속되어야 하고 교육현장에서의 적용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될 것이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이공계 대학원생 팀 프로젝트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Graduate Student Team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Applying Metaverse Technology)

  • 전주희;김마리;김보경;강규리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9-29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a metaverse-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the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It analyz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existing non-contact education models, and major teaching strategies systematically. Based on the prior researches,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using metaverse is developed that presents metaverse-related teaching strategies and design principles for the before-, during-, and after-lesson phases. Then, this model was applied to a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conducted a perception survey on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revised the metavers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e Metavers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efore-lesson phase is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eparation stage for class participation, which includes familiarization with the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formation of expectations for education, and self-directed pre-learning. During the lesson, to effectively deliver the lesson content, it is necessary to build confidenc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promote learning participation, provide reference materials, perform team projects and provide feedback, digest learning content, and transfer learning content. The after-lesson phase provides strategies for ongoing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mentors. This study introduces a new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utilizes metaverse and shows the potential of metaverse-based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It also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effecti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verse-based education.

하이브리드 웹 콘텐츠 관리 시스템 구현 (Hybrid Web Content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 박선경;문형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5-2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체험학습, 전시, 행사, 문화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 정보를 수요자가 손쉽게 검색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형 체험학습 서비스 플랫폼을 통하여 지역내 수 많은 문화콘텐츠의 가치를 발굴하고 DB 구축하여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맞춤형 체험학습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안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Beacon 기술은 Google이 개발한 Eddystone 포맷으로 URL을 브로드캐스팅 하는 BLE 기술로서 이는 사용자가 별도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단말기에 설치된 Chrome 브라우저를 통해 웹에서 구현된 플랫폼을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역문화 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화가 완성되면 전국으로 확대시켜 콘텐츠의 다양화와 시장 확대로 수요자에게 더욱더 다양하고 양질의 자기 주도적 문화콘텐츠 체험학습 활동 교육 프로그램들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칭기법을 활용한 문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iteracy Education program using Coaching methods)

  • 양복이;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261-268
    • /
    • 2021
  • 본 연구는 코칭기법을 활용한 문해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문해학습자에게 적용한 후 학습성취도 향상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U시의 노인복지관 문해교육학습자 13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과 관찰일지, 학습자료를 토대로 분석하는 질적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코칭기법을 활용한 문해교육프로그램은 마음열기, 긍정성 도입, 학습역량 강화 및 조력, 자신감 및 지속성 강화의 4단계 과정으로 구성된 프로세스중심 모델로 연구결과는 첫째, 1단계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확장되었고, 둘째, 2단계에서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형성하여 자기주도학습력이 강화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3단계 균형 문해교수법과 상호작용교수법을 활용한 결과 읽고 쓰는 것에 자신감을 획득하여 자기효능감 상승효과로 이어졌다. 넷째, 4단계는 적극적인 칭찬과 지속적인 격려로 학습에 대한 두려움을 이기고 상급과정에 대한 희망을 내포하게 하는 학습성취도 향상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코칭기법을 활용한 문해교육프로그램은 문해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를 위한 교육방법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국내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플립러닝의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Nursing Students in Korea)

  • 구희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70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플립러닝 교수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를 체계적 고찰을 통해 통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메타분석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11월 20일에서 12월 20일까지 코크란 연합의 체계적 고찰 보고지침을 준수하여 진행하였다.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된 논문은 RISS 72건, KISS 11건, Dbpia 46건 총 129편이었으며, 중복논문 제거 및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9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 수업을 적용한 결과 플립러닝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0.91(Z=8.36,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0.35(Z=2.62, p=.009),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0.81(Z=6.53, p<.001), 학업성취도 0.60(Z=5.18, p<.001), 자기효능감 0.66(Z=4.79, p<.001)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플립러닝은 국내 간호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확인하였고, 플립러닝 수업설계 방향성에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플립러닝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다양한 결과 변인들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미국 국립공원 주니어레인저 워크북 특성 및 국내 지형교육에의 시사점 (Characteristics of Junior Ranger Activity Books of U.S. National Parks and Their Implications for Geomorphological Education in Korea)

  • 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1-114
    • /
    • 2021
  • Junior Ranger is a self-directed interpretation program for young visitors at national parks in the United States. The success of this program can be largely attributed to the role of an activity book which is given an applicant free of charge at a visitor cent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ctivity books for 14 national parks' Junior Ranger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geomorphological education. Although the activity books are varied in size, volume and printing, all of them offer diverse activities which are composed of different contents related to park resources in four fields and are performed in different ways such as Q&A, picture and word game, and creative activity. The time-consuming activities including attendance at a ranger-led program prevent the participant from making a superficial visit to be a junior ranger.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eomorphological education for children is needed to be strongly based on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to be more carried out using a way of game rather than conventional Q&A, suggesting that it encourages students not to lose their interest for learning. Secondly,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learning contents to be focused on various resources related to landform as well as landform itself. In addition, a creative activity such as writing verse or drawing feeling should be more applied to the geomorphological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their effects on affective domain beyond cognitive one. It is likely to be an alternative approach to understand landform by internalizing a sense of land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