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메타버스를 활용한 이공계 대학원생 팀 프로젝트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Graduate Student Team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Applying Metaverse Technology

  • 전주희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 김마리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 김보경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 강규리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Jeon, Juhui (Korea Institut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Marie (Korea Institut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Bokyung (Korea Institut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
  • Kang, Kyuri (Korea Institut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 투고 : 2023.10.05
  • 심사 : 2023.11.13
  • 발행 : 2023.11.30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a metaverse-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the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It analyz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existing non-contact education models, and major teaching strategies systematically. Based on the prior researches,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using metaverse is developed that presents metaverse-related teaching strategies and design principles for the before-, during-, and after-lesson phases. Then, this model was applied to a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conducted a perception survey on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revised the metavers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e Metavers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efore-lesson phase is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eparation stage for class participation, which includes familiarization with the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formation of expectations for education, and self-directed pre-learning. During the lesson, to effectively deliver the lesson content, it is necessary to build confidenc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promote learning participation, provide reference materials, perform team projects and provide feedback, digest learning content, and transfer learning content. The after-lesson phase provides strategies for ongoing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mentors. This study introduces a new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utilizes metaverse and shows the potential of metaverse-based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It also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effecti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verse-based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수 외(2022).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실재감과 몰입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 82, 83-116.
  2. 강인애(1996). 효율적 화상강의를 위해 고려할 사항: 인디애나 대학교 대학원 수업 사례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 23-44.
  3. 계보경 외(2022). 메타버스 기반 교수학습모델 개발 연구. 연구사업보고서, 22(3), 1-268.
  4. 계보경 외(2021).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 기능성과 한계. KERIS이슈리포트, 21(6), 1-54.
  5.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2022). 한 번에 끝내는 원격교육 이해와 사례.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6. 김나랑(2022). 메타버스 특성요인과 학습 몰입 및 학습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게더타운을 대상으로. 정보시스템연구, 33(1), 219-238.
  7. 김상균(2021). 인터넷.스마트폰보다 강력한 폭풍, 메타버스, 놓치면 후회할 디지털 빅뱅에 올라타라. Dong-A Business Review.
  8. 김수인.김효정(2021). 게임기반학습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학습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마인크래프트 활용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64, 37-71. https://doi.org/10.35657/JAE.2021.64..002
  9. 김수향.문미경(2021). 메타버스(Metaverse)와 미래교육 학습자 정체성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10. 김준.유재현(2021). 메타버스 서비스의 특성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34(6), 1339-1362.
  11. 박노일.정지연.홍다예(2022). 메타버스(Metaverse) 이용과 사회자본 형성: 사회적 실재감과 사회적 지지 및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6(5), 83-121. https://doi.org/10.22876/KAB.2022.36.5.003
  12. 박미혜.허운나(2000). 인터넷과 화상회의를 활용한 원격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네덜란드 Univerity of Twente의 코스 운영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16(4), 225-258.
  13. 박성익 외(1999). 교육공학과 수업. 교육과학사
  14. 손정명.이시훈.한정혜(2022). 메타버스 기반 협력적 소통 SW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6(1), 11-22.
  15. 엄태건.홍기천(2018). Novel Engineering을 적용한 국어교과 융합수업 방안. 한국정보교육학회, 9(1). 251-256.
  16. 염현주(2022.11.11). [대학가에 부는 '메타버스' 바람(2)] 통신 3사, 메타버시티 조성에 나서. https://www.startuptoday.kr/news/articleView.html?idxno=45825
  17. 윤진영.김연형.이채원(2021). 메타버스를 활용한 창작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과학융합예술학회, 39(5), 273-283.
  18. 이명숙(2021). 해커톤 수업사례를 통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교육적 활용방안.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4(6), 61-68. https://doi.org/10.32431/KACE.2021.24.6.005
  19. 이승환(2021). 로그인 메타버스 : 인간X공간X시간의 혁명.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이슈리포트IS-115.
  20. 이의길(2006). 온라인교육에 대한 교수자 인식 및 수업전략.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1), 87-105.
  21. 임철일.김혜경.김동호(2012). 글로벌 공학교육의 원격화상강의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분석. 공학교육연구, 15(4), 66-75. https://doi.org/10.18108/JEER.2012.15.4.66
  22. 임철일 외(2013). 공동화상강의에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설계원리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3), 365-394.
  23. 임철일 외(2021). 대학에서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 유형별 수업설계 전략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공학연구, 37(2), 459-488
  24. 임태형 외(2021). 메타버스를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체험 프로그램 사용자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5), 679-695.
  25. 임희진 외(2016). 연구중심대학 석사과정 학생의 대학원 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7(3), 379-408.
  26. 정인성.나일주(2004). 원격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27. 조연직.신소영.박현진(2022). 메타버스를 경험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의 인식 및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 탐색. 교육연구, 44(1), 33-53.
  28. 조혜원(2022). 메타버스 이프랜드(ifland)를 활용한 한국 현대무용사 교육 활용 방안: 20세기 한국 현대무용 흐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9. 한송이.김태종(2021). 메타버스 뉴스 빅데이터 분석 : 토픽 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2(7), 1091-1099.
  30. 황의철(2022). 메타버스를 이용한 비대면 교육환경의 확산 현황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제30권 제1호.
  31. Gather(2023). System Requirements. https://support.gather.town/hc/en-us/articles/15909789090452
  32. G. Fauville. et al.(2021). Zoom Exhaustion & Fatigue Scal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Reports, Volume 4,
  33. Keller, J. M.(1979).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A Theoretical Perspective.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2, 26-34. https://doi.org/10.1007/BF02904345
  34. Reigeluth, C. M.(1989). Educational technology at the crossroads: New mindsets and direction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37(1), 6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