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 awareness

검색결과 1,561건 처리시간 0.034초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의 역량을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Consultant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Parental Competence of Mothers with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 정계숙;견주연;최은아;김지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9-151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준전문가로서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부모 참 역량" 증진 효과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와 아동 어머니 1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부모 참 역량" 척도를 활용하여 이들의 "부모 참 역량"을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 후 어머니들의 "부모 참 역량"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발달적 양육 역량을 비롯한 "부모 참 역량"의 5개 하위요인 모두의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질적으로는 어머니들은 대부분 본 프로그램에 참여 후 자신의 양육 역량(양육지식의 변화, 부모 역할에 대한 반성적 태도의 태동), 자기체계 역량(어머니 자신에 대한 이해 및 존중적 태도, 남편에 대한 배우자로서의 자기 인식, 부모로서의 부드러운 시선 및 따뜻한 이해), 사회적 역량(지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의 움직임,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로서의 역할 시도하기) 등의 변화를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모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정신질환자의 자살과 의료과오책임 (Negligence liability of hospitals for suicide of patient)

  • 손흥수
    • 의료법학
    • /
    • 제7권2호
    • /
    • pp.9-74
    • /
    • 2006
  • Due to the awareness of their rights for medical liability and the advancement of legal principles, it becomes also not hard to find those who seek damages against hospitals, doctors and nurses for the suicide committed under the protection of psychiatric institute in Korea these days. Judgements on these kinds of cases are not enough yet, so that it may be too early to try to find principles used in these cases, however it is hardly wrong to read following things from above cases. That is, to gain the case, plaintiffs should show (1) there exists an obligation of "due care"(there is a special relation between patients and hospitals), (2) the duty is violated on the basis of the applicable standard of care, (3) whatever injures or damages are sustained are proximately caused by the breach of duty and (4) the plaintiff suffers compensable damages. To specific, whether a psychiatric institute was liable for wrong death or not depends upon the patients conditions, circumstances and the extent of the danger the patients poses to himself or herself; in short, the foreseeability of self-inflicted harm(the doctor should have or could reasonably have foreseen the patient's suicide and the doctor's negligence actually caused the suicide). In this context if a patient exhibit strong suicidal tendencies, constant observation should be required. Negligence has been found not exist, however, when a patient abruptly and unexpectedly dashes from an attendant and jumps out a window or otherwise attempts to injure himself or herself. And the standard of conduct that is required to meet the obligation of "due care" is based on what the "reasonable practitioner" would do in like circumstances. The standard is not one of excellence or superior practice; it only re quires that the physician exercise that degree of skill and care that would be expected of the average qualified practitioner practicing under like circumstances. Most of these principles have been established at cases of the U.S.A and Japan. In this article you can also find the legal organizations of medical liability and medical contacts on the suicide of patients who have psychiatric diseases under Korean negligence law.

  • PDF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을 통한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인식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Experi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after Simulation-based Education: Focused on finding from a focus group interview)

  • 이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68-279
    • /
    • 2020
  • 본 연구는 한 학기 동안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을 이수한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간호 전문직관 인식 경험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긍정적 간호 전문직관을 형성을 돕는 시뮬레이션 교과목 운영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2019년 6월부터 7월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간호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과목에 참여한 4학년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후, 자료질적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의미있는 개념을 확인하고, 개념들의 비교하며 범주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17개의 의미 범주와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후 간호학생의 인식한 간호 전문직관은 '전문직임을 실감함', '인간 대상 전문직으로서의 윤리의식과 정서',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 '문제해결을 위한 통합적 사고', '근거기반 지식체의 중요성', '자기 역량에 대한 성찰' 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간호 전문직관의 5개 영역인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간호의 전문성, 간호실무역할, 간호의 독자성을 반영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을 통하여 간호학생들에게 간호 전문직관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하여 향후 긍정적 간호 전문직관을 형성하기 위한 교과목의 수정과 적용이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모-태아 상호작용에 대한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n maternal-fetal interaction)

  • 조결자;김정순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9-66
    • /
    • 2000
  • Pregnancy is a task of creation in which a women mobilizes her self and the resources available to her in the generation of a new person. Through the pregnancy, a mother has formed the new human relationship with a fetus. Maternal-fetal relationship is considered one of mechanism making the relationship of mother and child. It is important to well-being of mother and fetus, too. The earliest interaction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is during prenatal period. Maternal-fetal dyad is unique and perceived interactions with the fetus make the pregnancy real for the mother. Maternal behavior is "instinctive" and is formed in early childhood by copy of the mother. But, Rubin argues that this behavior is an open intellectual system rather than a prepackaged bundle of traits. There is openness to new learning and a high value placed on knowing which occurs with silent organization in thought. Thus, nurse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provide prenatal care that optimally is part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maternal-fetal dyad develops. Thus it is appropriate for nurses to increases their understanding of the dyad and to explore ways to enhance its development. This study focusses on the interaction ability and response of fetus, and the maternal-fetal interaction. The research of fetal responses that involve physiological changes and motor movement have been shown to coccur to both external sensory stimuli and to maternal emotional states. The fetus does also have sensory capacity to be aware of some maternal behaviors, and the motor ability to respond in a way the mother can notice. Thus, very rudimentary interactions appear to be possible. Maternal awareness of fetal activity was supported by several studies. More interesting to the present study are description of maternal-fetal interaction and the finding that there appear to be levels of sensitivity to the fetus involved in maternal-fetal interactions. First, recognition comes that the fetus is separate from the maternal self. Next, the fetus engages in. Lastly, the parent may describe active interaction with the fetus, believing that mother and fetus are communicating on a meaningful level. Several interventions, developed to promote more active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fetus, have been reviewed. In general, the parents were taught to stimulate the fetus and to notice the fetus' responses. This type of intervention might increase the mother's sensitivity to her unborn baby, and she may have a head start toward learning how to res pond sensitivity to the newborn infant. Research In the area of maternal-fetal interaction is scarce. Sensitive behavior is construed as an appropriate and timely response to a signal of need from another person, but no such signal of need can be claimed regarding the fetus. The highest level of maternal-fetal interaction, therefore, might be based more on maternal representations of the imagined fetus than on factual evidence of fetal participation.

  • PDF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와 중독 요인 연구 (A Study on Actual state and Influencing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in Upper Clas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임미란;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07-115
    • /
    • 2006
  •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고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많은 아동들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속에 인터넷이 빠르게 스며들면서 아동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터넷 사용이 학습과 의사소통, 스트레스 해소 등의 장점이 있지만 인터넷 게임으로 인한 공격성, 수면장애, 인터넷 중독 등의 문제점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활용실태를 알아보고 인터넷 중독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가정, 학교의 측면으로 나누어 알아보고자 한다. 개인측면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인식, 우울, 감각추구성향을 알아보고 가정측면에서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기능, 가족 친밀감, 가족의 정서적 지지를 살펴보고 학교측면에서는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학습활동, 규칙준수, 행사참여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각각의 중독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고 인터넷 중독을 미연에 방지해 초등학교 아동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교육적 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만다라 미술치료를 활용한 중년기 여성의 개성화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Woman using Mandala Arts Treatment)

  • 김기욱;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2호
    • /
    • pp.33-40
    • /
    • 2020
  • 중년기 여성 대부분이 자신의 삶에 책임을 지고 살아가야 하는 시기에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채 살아온 경험이 중년기 여성의 자신의 존재와 상실로 결국엔 홀로 남게 된 것을 깨닫고 외로움을 느낀다. 중년기 여성을 분석심리학 방법으로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첫 단계로서 내면 속의 나와 만나는 이름 만다라와 난화 만다라를 수행하였다. 중간 단계는 과도기 단계와 작업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과도기 단계로 참여자의 내적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자궁으로 돌아가 어머니와의 깊은 애착 관계를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과 만나는 단계로서 둥지 만다라와 연상 만다라를 행하였다. 작업 단계인 가치관을 증진하고 행동하는 내면과 만나는 자신을 수용하는 단계로서 씨앗 만다라, 연상 만다라. 강점 만다라, 자유 만다라, 문양 만다라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만다라 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 미술치료 경험은 중년기 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인간 관계적인 측면에 영향을 준다. 둘째, 만다라 미술치료를 통한 중년기 여성의 개성화 경험은 심리적 역동을 보이며 긍정적인 사고와 자아 효능감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의 실제적 이해와 직접 탐구를 통해 본질에 다가가는 질적 연구가 적합하였으며 중년기 여성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의 부족과 내담자가 겪고 있는 문제를 고려하여 다양한 매체를 통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함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ical Study on th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ed Elderly)

  • 이영만;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2호
    • /
    • pp.41-50
    • /
    • 2020
  •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른 노령화로 노년층의 인구와 치매유병률의 급격한 상승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치매노인의 부양은 보편적 삶과는 다른 방식이며 관계적 측면에서 새로운 문화적 실존 관계가 얽힌 세계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심리적 문제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를 떠나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실존의 이해를 위해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지오르기(Amedeo Giorgi)의 방법을 기반으로 치매노인 부양가족이 경험한 스트레스 현상을 실존주의 집단상담 기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는 데 그 의의를 두었으며 집단상담은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실존주의 집단상담 과정을 통한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에 대한 심층적 진술을 실존철학 기반의 지오르기 연구방법 4단계를 적용하여, 실존적 자기 인식 경험의 결과로서 정서적 스트레스,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 시간 의존적 스트레스 경험 현상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탐색된 자신의 아픔을 스스로 표현하지 못하는 치매노인 부양자 고통을 이해하고 치매노인 부양가족들은 자조적 집단상담 활동을 활성화하여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둔 우리 사회가 보다 건강해지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중등교사들의 환경교육 수업에 대한 교사 전문성 분석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eaching Environmental Subjects)

  • Son, Yeon-A;Myeong, Soo-Jeong;Choi, Don-Hyung;Min, Byeong-Mee;Kim, Kyoung-Ran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2호
    • /
    • pp.43-5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들의 환경 관련 수업 전문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먼저, 서울과 경기도의 중등교사 431명을 대상으로 환경수업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자기평가도구로는 Hungerford 등(1994)이 개발한 '환경교육자가 갖추어야할 능력 범주 기준'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자기평가를 실시한 중등교사들 중에서 2명의 교사가 진행하는 환경 관련 수업을 실제 참관하여 비디오녹화 분석하였고, 수업교사들과의 면담도 실시하였다. 환경 관련 수업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 '생태학적 기초' 영역이 평균 2.80, 개념적 인식 영역이 평균 2.86, 조사와 평가 영역이 평균 2.83, 환경적 행위기능 영역이 평균 2.94, 교육적 적용 영역이 평균 2.84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수업을 분석한 결과, 환경관련 수업을 진행한 교사들은 현대 환경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생태학적 지식을 교수학습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측면', '환경적 의사결정을 위해 개인적 가치를 명료화하는 측면', '환경쟁점과 해결책에 대한 자신의 가치관을 평가하는 측면', '환경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시민적 행위기능을 개발하는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환경관련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위한 환경교육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전공교육과 연계한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효과 연구: 사회복지교육을 중심으로 (Implementation of Service-Learning for Social Work Education)

  • 한인영;박형원;김주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251-276
    • /
    • 2005
  • 대학교육에 봉사활동을 접목하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개념을 사회복지교육에 적용한 효과를 고찰하였다. 가족복지론 교과 수업과 봉사활동을 병행하면서 학생들의 개인적 성장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 이타성, 사회적 책임의 변화를 양적연구로 분석하였고, 교과목 학습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연구방법으로 봉사활동 일지를 내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봉사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자기효능감, 이타성, 사회적 책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책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질적분석 결과, 가족문제에 대한 개입과정을 실제 적용해 보고, 가족복지이론에 대한 이해증진, 가족복지 전반에 대한 관심 증진,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의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봉사학습은 전공교육에 다양하게 적용해서 학생들의 개인적 성장을 도모하며, 학습효과를 증진하는데 유용한 교육방법이 될 것이다.

  • PDF

일부 치기공과 대학생들의 해외취업에 관한 의식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Level of Employment and Overseas Employment among Students Majoring in Dental Technology)

  • 박남규;정효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34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into the recognition level of employment and overseas employment on 173 students majoring in dental technology at two colleg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Jeju self-governing island through questionnaires which are recorded individual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bout 31.8% students chose dental technician department taking their aptitude into consideration when they entered college. 52% students gained information about dental technology through internet, and 57.3% students among them, which was the highest level, were under age 20. 2. 48.6%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though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major was aver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s amo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the previous knowledge of major they had gained before entering college. 75.1% students said they wouldn't transfer to other major even if they were given the chance,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e opposite case. And only 2.3% students had dissatisfaction at their major, which means students majoring dental technology evaluate their major positively. 3. Most students(58.4%) wanted to get a job for living cost and 53.2% students took advice from their seniors or elderly people in choosing their jobs. 64.7% students answered they should have professional skills to get a good job, which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s. In addition, 51.4% students of dental technology department regarded the opportunities to exert their abilities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choosing their jobs. That means students value self-decision and selfrealization when they choose their jobs. 4. The majority of students(32.9%) preferred to work at the dental laboratory in dental college hospital as their workplace. Moreover, seniors over age 21 wanted to work in the field of porcelain and juniors under age 20 preferred to work in the implant part concerning the field which students wants to work. 5. About 91.3% students have ever heard about overseas employment and wanted to work abroad if given the opportunities(77.5%). This points out students have much interest in overseas employment and positive attitude. And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grade in case of the preferred country when they work abroad 6. The main barrier to overseas employment was a lack of communication ability(63.0%), therefore, students thought foreig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ctivated to improve overseas employment(26.0%). To show this more specifically, juniors thought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internship are most important factors(both are 21.4% alike), while seniors thought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essential(24.6%) as a way to improve overseas employment. Students also thought that participation in language study club helps to prepare for overseas employment(69.4%). When putting all these survey results together, it's very important to develop people in advance who have job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necessary for overseas employment as well as to improve job awareness in the field of dental technology. Consequently, it's needed to seek for various ways to get a overseas job through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overseas internshi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