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1186/IPR.2020.5.2.033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Woman using Mandala Arts Treatment  

Kim, Ki-Uk (Ju Kyung Counseling Center)
Shin, Dong-Yeol (Daehan Theologic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v.5, no.2, 2020 , pp. 33-4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When most middle-aged women live in a time when they have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lives, they feel lonely when they realize that their experience of not expressing their feelings properly has ended up being left alone due to their own existence and loss. As the first step in conscious awareness of unconsciousness of middle-aged women through analytical psychology, we performed "Mandara" and "Nanhwa Mandara," which meet me inside. The intermediate stage can be divided into transition and work phase. The working phase, develops one's own advantages and unique strengths that meet the inner world of promoting and acting values, correctly looks at reality, corrects emotion perception and balance, and is self-contained, seed mandala, associative mandala. They performed the strong points of mandala, the free mandala, and the Western mandal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andala art therapy was found in middle-aged women. First, Mandarin art therapy experience affects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human relations aspects of middle-aged women. Second, middle-aged women's experience of individualization through mandala art therapy shows psychological reversals and affects positive thinking and self-effectiveness. This study was suitable for qualitative research that approached the essence through practical understanding and direct explor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rt therapy program through various mediums considering the lack of art therapy research in middle-aged women and problems experienced by the physician.
Keywords
Middle-aged Women; Mandala; Art Treatment; Characterization; Phenomenolo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동순(2006). "만다라 미술치료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Riedel. 1.(2000). 융의 분석심리학에기초한 미술치료-상상과 그림에 대한 대화 [Maltherapie] (정여주 역). 서울: 학지사 (원저 1992 출판).
3 김동현.정현희(2001).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에 의한 심리 진단과 치료. 대구: 대구대학출판부.
4 이은순(2011). "중년기 여성의 자아 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위한 만다라 미술 치료 단일사례". 미술치료연구 제18권 제6호(통권57).
5 정순영(1998). "미술치료에서의 만다라" 미술치료연구 제5권 제2호,19-23.
6 이부영(1998). 이부영 박사의 정신건강 이야기 서울: 정우사.
7 주리애 (2004). "그림에 사용된 색채의 임상적 의미"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미술치료학 학지사.
8 한국미술 심리치료협회(2017).그림으로 마음 읽기-첫 번째 이야기-.
9 한상갑(2015)."자아성찰을 위한 중학교 만다라 미술수업개발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0 C. G. Jung. (1973). Mandla Symbolism.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77-100.
11 박윤미(2014). "만다라에 표현된 상징의 심리적 의미" 한양 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12 강민기(2010). "융의 무의식과 개성화 -만다라상징 분석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석도열(2000).만다라 이야기 맑은소리.
14 홍윤식.윤열수(1992). 용 불멸의 신화 대원사.
15 정귀연(2005). '만다라 상징성에관한고찰"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재현(2017). "만다라 미술치료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논문.
17 정여주(2003). 미술치료의 이해 학지사.
18 Sussnne Fincher. (2012). 만다라를 통한 미술치료 : 자기 탐구, 완성, 치유를 향하는 미술치료. 김진숙 옮김. 학지사.
19 정여주(2016). 만다라와 미술 치료 2판 내적 고요와 창의적자아를 찾아가는 여행. 학지사.
20 정여주(2013). 만다라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학지사.
21 이부영(2001). 아니마, 아니무스 도서 출판: 한길사
22 Verbebardetski. (2014). 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두행숙 옮김. 걷는나무 출 W.B Clift. 이기춘, 김성민역. 융의 심리학과 기독교.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23 Wadeson,H.(2008). 미술심리치료학 (장연집 역). 서울:시그마프레스(원저 1995 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