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school teacher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33초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 불안도 (Second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in Relation to Their Science Teachers' Teaching Styles in Korea)

  • 김영신;서유선;임수민;이효녕;윤회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7-37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o recognize students' science anxiety about science teachers' different teaching styles. One hundred seventy-four science teachers and 2,122 students participated. The teaching style questionnaire and the science anxiety measurement scale (SAMS) with teaching style were administered to teachers and students, respectively. Teaching sty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school level. The science anxiety related to each teaching style was analyzed and compared in terms of students' gender and school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teaching styles: expert, provider, facilitator and enabler. Most teachers fell under the expert style category and the least under enabler style. This indicated that numerous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employ a teacher-directed style rather than a student-centered style in class. Second, students felt the highest science anxiety with experts and the lowest science anxiety with enablers. The students' science anxie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different teaching styles (p<.05). Even though female students felt higher science anxiety than male students towards all four teaching styl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influenced by teaching style than high school studen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teachers to reduce students' science anxiety in classes based on results.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자격기준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requirement criteria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 백인경;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5-125
    • /
    • 2009
  • 본 연구는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에게 교사로서 필요한 자격을 실증적 자료 수집에 의한 통계적 검증 과정(주성분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제시하고, 교사와 학생이 가정과 교사의 자격기준 중 어떤 요인(자격기준)을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는지를 조사하여,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에게 필요한 교사로서의 자격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주성분 분석 과정을 통하여 확인된 가정과 교사 자격기준은 '평가와 연계된 수업의 전문가', '다양한 학습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자', '교직 사명감과 건전한 인성을 가진 학생의 지원자', '전문적 지식을 갖춘 교과 전문가', '공정하며 민주적인 교실 환경 조성자', '학생의 특성과 환경을 이해하는 진로 및 상담전문가'의 6가지로, 이러한 6개의 총 요인은 전체분산의 60.4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6가지 자격기준 모두를 가정과 교사가 학생보다 가정과교사에게 필요한 자격으로 보다 중요한 자격기준이라고 응답하였으나, 각 자격기준의 중요도의 순위는 동일하여서 교사나 학생집단 모두 '교직 사명감과 건전한 인성을 가진 학생의 지원자'영역을 가정교사의 가장 중요한 자격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번째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자격기준은 '평가와 연계된 수업 전문가'영역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정과 교사들은 남자교사보다는 여자교사가, 복수 부전공을 이수한 교사일수록, 또 교사연수에 참여한 횟수가 많은 교사일수록, 가정과 교사 자격기준의 6개 요인을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생들은 가정 실습의 횟수가 많은 학생일수록, 또 가정 담당 교사를 좋아하는 학생일수록, 그리고 기술 가정 교과 성적이 높으며, 가정 영역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가정과 교사자격기준의 6개 각 요인이 가정과 교사에게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생의 교사 인식에는 가정과 수업에서의 실습, 교사 선호도,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성취도 여부가 중요한 변인으로 규명되었다.

  • PDF

중등학교 교사의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Secondary School)

  • 원효헌;최동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246-259
    • /
    • 2013
  • The princip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secondary school in Busan. This study measure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teaching experience, classification of school, grade of school, and scale of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o see the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depending on gender, female teachers have a stronger sense of professionalism, community spirit and consideration than male teachers. Second, to see the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erms of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who have more than 21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decision-making and consideration than those who have 11~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ird, to see the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school, public schools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every item such as professionalism, decision-making, community spirit, and consideration than private school. Fourth, to see the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erms of classification of schools, secondary schools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and community spirit than high schools. Lastly, as it is seen in the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depending on scale of school, schools which have 13~35 classes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than others.

The Third Wave: Chinese Students' Values in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in Two Secondary Schools

  • Zhang, Qiao-Pi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209-221
    • /
    • 2014
  • In the last few decades there has been much interest in how mathematics can be effectively taught and learnt. The Third Wave is a unique ongoing international collaborativ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project, which aims to explore the relevant values of effective school mathematics teaching from both the teacher and student perspectives. As part of this proje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ed findings from students on the Chinese mainland. Multip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s, focus group interviews, and written, open-ended questions. Twenty-four students from junior and senior secondary schools were invited to write down their views on an effective lesson, a good mathematics teacher, and how to do well in mathematics learning.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eight values determined in the study, the values of involvement, explanation, and examples were embraced by students across all grades. Students preferred teacher-led mathematics teaching. Junior secondary students placed more value on teachers' personalities, whereas senior students placed more value on teachers' teaching manners.

중등 정보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수준에 대한 연구 (The study about perception level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informatics teacher in the secondary school)

  • 최지영;장윤재;김자미;유승욱;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3-3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식기반의 일환으로 현재 중등 정보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수준을 파악하여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정보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하위범주를 6개 영역으로 나누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31개의 문항으로 수정 보완하여 현직 중등 정보교사 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내용지식(PCK) 영역 전체의 평균 점수는 3.87이었다. 또한, 경력에 따른 중등 정보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수준은 교육과정 지식에 대해서 10년 미만인 교사 집단과 10년 이상인 교사 집단이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PDF

확률 및 통계와 교원임용시험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public second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exam)

  • 오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539-1545
    • /
    • 2017
  • 본 연구는 확률과 통계의 내용을 올바르게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수학 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중등학교 수학교과 임용고사문제 중에서 확률과 통계 영역의 출세 경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출제 방향과 수준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동시에 학교 수학 교사들에게 확률과 통계 단원을 지도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내용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2015년 개정 고시된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 중에서 확률과 통계 단원의 편제와 내용체계, 주요 변화 내용을 조사한다. 둘째, 중등교원임용시험에 15년간 출제 된 확률과 통계 단원의 문제들을 분석한다. 셋째, 기존의 출세 문제들이 중등학교의 확률과 통계를 올바르게 교육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교사를 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출제 내용, 범위, 수준, 그리고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빅 데이터의 중요성을 감안한다면 자료와 확률에 대한 통계적사고, 탐색적자료분석, 표본조사, 통계적 추론 그리고 공학적 도구의 활용 등의 출제가 더욱 필요하다고 본다.

중등교사 임용시험 수학교과교육학 기출 문항 분석 (An Analysis of the Disciplin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 전영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47-364
    • /
    • 2014
  • This study aims at what is required knowledge and ability to pre-service math teachers in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First, the items are analyzed and among questions of disciplin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last five year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Second, an analytical framework suitable for item analysis is examined and the items are analysed by the analytical framework. Finally, helpful implications for discipline of mathematics education assessment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discipline of mathematics education assessmen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It assesses specific content of the assessment component; 2) It assesses a teacher's theoretical knowledge, practical knowledge and creative knowledge in terms of teaching ability; 3) There are six cognitive assessments; 4) There is an item for difficulty adjus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이 경험하는 임용시험 중도포기 및 탈락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An Ecological Approach to Physical Education Students' Drop-out and Opt-out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bout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of Secondary School)

  • 조기범;김승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델을 바탕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이 임용고사 시험에 중도포기하거나 탈락할 수 있는 요소들을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으로 학업중인 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요소 측면으로는 학업에 영향을 끼치는 현재 직업을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어떻게 긍정적으로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임용고사 준비를 위한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결정 할 필요가 있었다. 개인 간 요소 측면으로는 주관적 규범에 의해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개인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성이 있었다. 조직 간 요소 측면으로는 학비지원의 미흡과 학업을 위한 부적합한 장소가 강조되었으며 실기 지도 강사 혹은 임용시험 준비반과 같이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했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임용시험 대비 통합시스템'에 대해 소개하였다.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탐구수업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Environmental Factors of Inquiry Instruction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이현욱;심규철;여성희;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43-450
    • /
    • 1998
  •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탐구수업 환경 요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는 근무 여건, 탐구수업 환경 요인, 탐구수업 장애 및 개선 요인 등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간의 근무 여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탐구수업 환경 요인에는 '시설 및 장학지원', '업무량과 학습자료', '교사교육과 교과서', '탐구에 대한 지식과 실천', '필요성 인식과 교사의 만족도' 등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필요성 인식과 만족도'를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 대해 탐구수업을 실시하기에 부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생각하였다. 탐구수업의 장애 및 개선 요인으로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다인수 학급', '교과서', '학습 자료'를 우선으로 생각하였으며,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다인수 학급'과 '입시제도'를 우선으로 생각하였다. 중 고등학교 과학 탐구수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탐구 학습자료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업무량 및 심리적 부담을 감소시키고, 교사 교육의 체계적인 재조직 및 강화가 요구된다.

  • PDF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 Difference in school level and career -)

  • 강현영;이동환;고은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2호
    • /
    • pp.173-189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views on: (1) Requirements for good mathematics teaching (2) wha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nd supports are needed for these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the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For it, we developed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was anonymously answered by one-hundred-five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We suggested implications rela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