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school teacher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5초

국민학교에서의 주거학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us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윤정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09-124
    • /
    • 198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et up the basic outline to define and to develop "hous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main focus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the basic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housing education in Korea by examining the content of the textbooks and the secondary data o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 methods used in the study were the content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data on teachers and thei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re on follows, 1.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fined as the related fields of housing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4 domains: housing planning, housing maintenance, housing environment, housing decoration. 2. The subject areas related to housing education was found to be moral education, soci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art, practical education. The total hours studying on housing education were the average of 1.1 hours per week. 3. Among the above 4 domains, the total hours used for housing decoration amounted to the highest rate through all the subject areas. 4. According to the secondary dta analysis, 49.5% of the teacher were the national teacher's college graduates, but there are no courses on housing education as such in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teacher's college. it was concluded that mor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 PDF

현직 교사들이 바라는 중등과학교사의 특성과 사전교사교육과정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Percevied by Secondary Teachers)

  • 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3-118
    • /
    • 1992
  • Quality control of science teachers seems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to improve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s a survey, were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ers and to make an outlin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r cultivating the characteristics from inseriv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distributed to 176 inservice teachers. It had three parts: 1)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ers, 2) weights of preservice curriclum areas, and 3) weights of college course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eachers' responses were calculated.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 variables, t-tests were executed. The in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junior-high school teacher's characteristics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senior-high school teacher's. Characteristics, such as enthusiasm toward teaching or students, subject knowledge,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ing skill, teaching techniques, and scientific worldview were ranked within top five of good science teacher's chracteristics.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preservice curriculum were as follows: 1) present weight of liberal arts area should be reduced: 2) weight of content area for junior-high school teachers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for senior-high school teachers: 3) present weight of pedagogy area should be increased: 4) present weight of science education area should be increased: and 5) many courses in pedagogy and sciencd education areas need to be changed, Based on the data and disussion, a conceptual model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was proposed.

  • PDF

수학학습에 대한 불안요인 연구 (A Study of Anxiety Factor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 오후진;이종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47-5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nxiety factors for learning mathematics and look into the reason of anxiety of mathematics and show the method of eliminating negative and anxious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secondary school and high school. To have learner take an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develop the positive attitude about learning mathematics and maximize the effect of learning of mathematics, three kinds of hypothese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There would be difference in anxiety factor of learning mathematics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econdary school and high school. 2. There would be difference in anxiety factor of learning mathematics according to sex. 3. There be difference in anxiety factor of learning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ypotheses I was testified. The anxiety factor between mathematics learning and mathematics teacher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econdary school and high school. 2. Hypotheses II was testified. The result of hypotheses II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high school. The anxiety factor of mathematics teacher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oy student and girl student. 3. Hypotheses III was testified. The anxiety factor of mathematics, teacher and test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 PDF

벨지움의 중등학교 지리교육 내용과 교사양성제도 - 프랑코폰 공동체를 사례로 - (The Secondary School Education of Geography and the System of Teacher Training in Belgium - Focused on the Case of Francophone Community -)

  • 곽철홍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01-115
    • /
    • 2000
  • 본 연구는 벨지움의 프랑코폰 공동체를 사례로 중등학교 지리교육의 내용과 교사양성의 실태를 일반 교육체제의 범주에서 고찰하였다. 중등학교 제1단계에서는 주당 2시간씩 환경교육을 학습하는 데 그 내용은 생활주변의 지리적 지식을 관찰 정리하는 것이고, 제2단계에서는 주당 1시간씩 세계지리를 학습하며 특히 유럽과 러시아에 큰 비중을 둔다. 제3단계에서는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를 계통적으로 학습한다. 교실수업에서 사용하는 공식적인 교과서는 없고 교사가 텍스트를 준비하여 학습에 임하고 있으며 학생 중심의 탐구식 수업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급중등교사는 교육전문학교에서 복수전공교사로 양성되는데 지리교사는 생물 화학 지리교사 또는 역사 사회 지리교사의 유형으로 양성되며, 상급중등교사는 종합대학의 교직과정부에서 단일전공교사로 양성된다. 중등학교 현직교사를 공식적인 실습지도교사로 임용하고 교생들의 책임수업과 평가를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등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과 교수들은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심사에서 합격기준을 강화함으로써 교사의 질적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내용들의 상당 부분은 우리나라의 지리교육과 교사양성에서 참고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 PDF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이 교사의복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lothing Lifestyle on Attitude toward Teacher's Clothing)

  • 이은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9-142
    • /
    • 2021
  • 본 연구는 2019년 5월 중에 J 지역 예비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이 교사의복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교직의복문화의 교육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24.0 Program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Cronbach's α 신뢰도 계수, t검증, 일원변량분석과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은 패션유행지향, 의복중요성지향, 매력적 외모지향, 경제성지향 요인으로, 또한 교사의복에 대한 태도는 활동성, 유행성, 정숙성 요인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의생활 라이프스타일, 교사의복에 대한 태도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성별,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Z세대인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은 교사의복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제까지의 교사의복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교사의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의복을 착용하고 교직을 수행하는 교직의복문화가 형성되어져야 하겠다.

중등학교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현대대수학 교재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extbook 'Modern Algebra' for Training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 신현용;이강섭;한인기;류익승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337-360
    • /
    • 2005
  • In this paper we develop textbook 'Modem Algebra' for training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In order to understand mathematics teacher's viewpoint about desirable textbook 'Modem Algebra' we created a Questionnaire related with curriculum and textbook for training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We analyze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long with recent studies on teacher education and come up with basic principles of developing textbook 'Modern Algebra'. The first version of 'Modern Algebra for Mathematics Teachers' that we have developed based on our study can be found in website 'www.teacheredu.co.kr'.

  • PDF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 임용고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Current Status and Ways for Improvement of the Examination System for the Employ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 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4권1호
    • /
    • pp.66-80
    • /
    • 2001
  •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the desirable ways for improvement of the examination system for the employmen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 were investigated. For the study, first, problems and reasons, and the counterplan of policy on the teacher connected directly with the examination employ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through exploration of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essential quality which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should have ready; third, the curriculum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and the seventh environmental curriculum were examined to provide a basis of discussion on the principle of setting questions for the employ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fourth, the number of recruitment, the number of examinee, the principle of setting questions, the composition of ques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scores of the examination which were carried out in the school year 2000 and 2001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nally,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es, recommendations to consider the examination system for the employ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team managing the examination for the employment should reflect the aims and special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discuss and decide the principle of setting questions on the environmental course; second, the proportion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n the examin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increased; third, the validity of questions for the examination should be clarified a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questions should be low.

  • PDF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활동 일지에서 살펴본 노티싱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in Their Journals)

  • 권나영;이민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63-80
    • /
    • 2019
  • 본 연구는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학생의 학습에 대한 노티싱을 살펴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4명의 중등예비수학교사가 중학교 수학수업에서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하고 작성한 일지를 조사하였다. 일지에 나타난 학생에 대한 노티싱은 선행연구의 분석틀을 기초로 하여 알아차리기, 해석하기, 반응하기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등예비수학교사들은 대체로 학생에 대한 일반적인 알아차리기가 많고 수학적 사고에 대한 해석하기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반응하기에서는 질문을 통한 학생의 사고 촉진보다는 학생들에게 설명하기가 많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등예비수학교사 교육프로그램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2018~2024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미술과 평가내용요소의 출제 경향 분석 (Trend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art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on Evaluation content element : 2018~2024 school year)

  • 박점영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4권1호
    • /
    • pp.19-34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제시한 미술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따라 2018학년도부터 2024학년도까지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출제된 미술과 문항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7년간 출제된 미술과 임용시험 159 문항을 수집하여, 7개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로 평가내용요소의 출제 비율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7개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로 평가내용요소의 출제 비중에 있어서도 상당한 수준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즉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55개(50%)의 평가내용요소가 출제된 것에 비해 2018학년도 교사 선발시험부터 2024학년도까지는 71개(64.5%)의 평가내용요소가 임용고사에 반영되었다. 이러한 향상에도 불구하고 39개(35.5%)의 평가내용요소가 배제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중등예비음악교사의 교직에 대한 염려 조사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Concerns About Music Teaching and Learning)

  • 신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1호
    • /
    • pp.1-23
    • /
    • 2018
  • 최근 들어 교사 성장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염려에 많은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직에 대한 염려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전반적인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가? (2)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단계에 따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이전 음악교수 경험에 따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재학중인 93명의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예비음악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음악교수와 학생에 대한 영향에 대해 가장 높은 염려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교육 단계가 높아질수록 예비음악교사들의 자신에 대한 염려는 줄어들고 음악교수와 학생에 대한 영향과 관련된 염려는 더 많이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 수업이나 돌봄 교실을 경험한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은 이를 경험하지 않은 참여자들보다 낮은 염려의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교직에 대한 세부적인 염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사교육기관의 교과과정 개선의 필요성과 학교 현장과의 협력을 통해 교사교육기간 동안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다양한 교수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