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end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art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on Evaluation content element : 2018~2024 school year

2018~2024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미술과 평가내용요소의 출제 경향 분석

  • Received : 2024.03.15
  • Accepted : 2024.04.15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art and questions presented i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rom 2018 to 2024, according to the art and evaluation area and evaluation content elements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59 questions from the art and appointment examination over 7 years were collected and the ratio of evaluation content elements was analyzed for each of the 7 basic subjects and fiel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portion of evaluation content elements in each of the seven basic subjects and fields is also balanced at a considerable level. In other words, from 2009 to 2013, 55(50%) evaluation content elements were presented, compared to 71(64.5%) evaluation content elements from the 2018 teacher selection test to the 2024 school year. Despite this improvement, 39(35.5%) evaluation content elements were excluded, so improvement measur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제시한 미술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따라 2018학년도부터 2024학년도까지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출제된 미술과 문항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7년간 출제된 미술과 임용시험 159 문항을 수집하여, 7개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로 평가내용요소의 출제 비율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7개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로 평가내용요소의 출제 비중에 있어서도 상당한 수준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즉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55개(50%)의 평가내용요소가 출제된 것에 비해 2018학년도 교사 선발시험부터 2024학년도까지는 71개(64.5%)의 평가내용요소가 임용고사에 반영되었다. 이러한 향상에도 불구하고 39개(35.5%)의 평가내용요소가 배제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결과물은 2022학년도 경남대학교 학술진흥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References

  1. 교육부(2015).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https://ncic.re.kr/
  2. 김형직, 최한울(2013). 중등미술교사 임용 제도의 현황에 기초한 개선방향 탐색. 미술교육논총, 27(3), 125-160. Doi: None
  3. 민병권, 박점영, 최병옥(2015). 최근 중등 미술교사 임용시험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미술교육논총, 29(4), 111-138. Doi: None
  4. 박소미(2016). 교육대학원 교과과정과 교사 임용고사와의 상관성 연구 -중등 미술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Doi: None
  5. 손지원, 김형숙(2019). 미술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의 한국미술 관련 문항을 분석. 미술교육논총, 33(4), 245-278. Doi: None
  6. 양수민(2017). 미술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문항 분석 : 2015-2016년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Doi: None
  7. 양윤정(2005). 정보화 사회의 미술교사의 역할과 자질. 미술교육논총, 19(2). 247-268. Doi: None
  8. 양정하(2008). 비계설정 의미에 기초한 미술교사의 역할. 한국아동미술학회지, 7, 61-74. Doi: None
  9. 이은적(2012). 프랑스 중등학교 미술교사 임용시험 전형방식별 출제문항유형 분석. 미술교육논총, 26(1). 29-60. Doi: None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미술과」 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s://www.kice.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