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3초

미용 교과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Problems of the Cosmetology Education Curricula and their Improvement Measures)

  • 김진수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9-132
    • /
    • 2003
  • This research was attempted in order to raise the actual effectiveness of beauty education by reviewing the problems on beauty education curricula of junior colleges and arranging their countermeasures. This thesis suggests improvement plans of curricula in Korean beauty education as follows. First, one of the main aims of beauty education sought at a junior college should be verified that it is to raise beauty leaders, furthermore, by including artistic knowledge on top of skill-based education purposes we shall put more efforts improve and sublimate beauty art, not only as skills but also as art. Second, it is necessary to fix the department titl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of curricula. The titles have to be standardized for the right recognition of each curriculum by dividing beauty into hair beauty, skin-care or make up with each curriculum based. Third,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major requisite subjects to be completed in certain units by each major among colleges as well as class hours. forth, the curriculum system needs to be revised in accordance with school system for example suitable curricula for each school system level of private institutes and secondary vocational institutes, high school, junior collage, university, post graduates, etc, I have to be developed and enforced.

  • PDF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 대상 'Math & 코딩'을 활용한 대학 미분적분학 교육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ollege Calculus Educa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ith Coding)

  • 이재화;이상구;함윤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611-62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가 고심하는 '수학울렁증(Mathematics Anxiety, 수학불안)'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2022년 1학기 S대학에서 직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재직자 신입생 20명을 대상으로 'Math & 코딩(Coding)'을 적용하여 운영한 대학 미분적분학 강좌 사례를 소개한다. 본 강좌에서는 'Math & 코딩'으로 쉽고 빠르게 중·고등학교 수학을 복습할 수 있는 콘텐츠와 대학 미분적분학 콘텐츠 및 교재를 새로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스스로 '수학울렁증'이 있다고 여기던 학생들은 코드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면서 복잡한 계산에 대한 부담을 덜게 되었고, 대신 확보한 시간을 수학 개념에 대해 동료 및 교수자와 토론하면서 미분적분학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본 강좌를 수강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미분적분학 교재에 있는 거의 모든 문제를 지필로 또는 코드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이야기 하였고, 미분적분학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에 대해서도 자신의 언어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대학의 수학강좌 교수학습과정에서 'Math & 코딩' 방식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수학적 배경이 약한 학생들과 이전에 수학을 포기했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다시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며, 중등수학교육에서도 'Math & 코딩' 접근방식을 충분히 적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역전략산업에 따른 특성화고 졸업자 신규수요 예측: 대전과 전남 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New demand forecast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Daejeon and Jeonnam)

  • 김진모;최수정;전영욱;오진주;류지은;김선근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1호
    • /
    • pp.47-7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전략산업에 따른 특성화고 졸업자의 신규수요를 예측함으로써 지역별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정책수립과 특성화고의 변화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전과 전남을 중심으로 지역전략산업을 선정하고, 특성화고 졸업자의 신규수요를 산업별 및 직업별로 예측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지상 분석 및 변이할당 분석 결과, 대전과 전남의 전략산업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전은 전남과 달리 '음식료품 및 담배 제조업', '목재, 종이, 인쇄 및 복제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과 '전기 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이 전략산업에 포함되었다. 전남은 대전에서는 도출되지 않은 '기계 운송장비 및 기타 제품 제조업',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석탄 및 석유, 화학제품 제조업', '광업', '농림어업' 등이 지역전략산업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대전과 전남의 특성화고 졸업자에 대한 산업별 직업별 신규수요 역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대전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신규수요가 많은 반면, 전남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신규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직업별로는 대전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의 신규수요 비중이 많은 것과 달리, 전남은 사무 종사자와 서비스 종사자의 신규수요 비중이 많았다. 셋째, 각 직업별 신규수요 중 지역전략산업에서 발생하는 신규 수요의 비중은 대전과 전남에서 모두 높았다. 넷째, 대전과 전남의 특성화고 졸업자에 대한 신규수요를 산업의 입지계수와 변화효과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대전과 전남 모두 총 변화효과가 정적인(+) 산업들에서 많은 신규수요를 보였다. 입지계수 측면에서는 대전과 전남이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수산계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분석 - 제5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the Change Process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Curriculum: Focusing on the 5th-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박창언;주동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25-37
    • /
    • 2010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change process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curriculum related with the 5th-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ccomplish this goal, the nature and goals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were review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igh school for special goal, characterization, and industry. And the goal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was designated to harmonize the gen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in high school goal. Second, the legal basis and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in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were discussed. The legal basis of national curriculum in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was prescribed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e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was composed the general guideline and subjects. Third, the change process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national curriculum was discussed. The system of decision, general guideline, and subjects in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national curriculum were seemingly to be studied on the basis of the autonomy or diversity. In conclusion, the concrete content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national curriculum was not changed compared to the 5th-7th revised curriculum.

교과서의 노인에 관한 내용 분석 및 교사용 노인교육 자료 개발 (Content Analysis of Aging in the Textbook &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about Aging)

  • 윤인경;조병은;한정란;김영환;장명희;김명자;박윤명;박길자;박선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5-111
    • /
    • 2005
  • 본 연구는 현행 초$\cdot$$\cdot$고등학교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노인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학교에서의 노인 교육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 요소를 추출, 체계화하며, 이를 바탕으로 노인 관련 내용의 교수 학습을 도울 수 있는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3단계의 과정을 거쳐 수행되었다. 첫째, 외국의 관련 교과서 분석과 국내외의 노인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문헌 분석. 둘째 내용요소 추출과 체계화를 한 전문가 협의단계, 셋째 개발한 교육자료를 현장에서 실험 적용하고 적용전후의 설문조사를 한 현장 적용 단계로 이루어졌다. 개발된 교수 ·학습자료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반응은 개발된 노인교육 자료가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이해에 기여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독어권 국가의 도제훈련제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in Germany, Switzerland and Austria)

  • 최수정;배수현;정성지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6호
    • /
    • pp.113-141
    • /
    • 2016
  • 세계 경제 위기에 따라 심화되는 청년 실업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제훈련제도가 제시되었다. 이는 기업이 청년층을 고용하여 직접 인력을 양성하는 제도로서 각국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일학습병행제'로 실시되고 있다. 한국형 도제훈련은 독어권 국가인 독일과 스위스의 도제훈련에 의해 시작되었다. 독어권 국가들의 도제훈련제도는 성공적인 사례로서 공통적으로 기업이 주도하는 수요중심적인 훈련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도제훈련이 교육과정에 통합되어 있어 학업과 연계가 가능했고, 학생 또한 적극적으로 훈련에 참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독어권 국가들의 도제훈련제도를 살펴 공통점과 예비도제훈련과정, 도제훈련과정 운영, 운영주체, 기업 내 트레이너, 비용 편익분석 측면에서의 차이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주요요소별 비교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은 도제훈련 이전 예비과정으로 실습을 진행하는 반면, 스위스와 오스트리아는 예비교육과정코스가 운영된다. 둘째, 독일과 스위스는 단일형의 도제훈련을 제공하는 반면, 오스트리아의 경우 모듈형으로 도제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셋째, 독어권 국가는 사회적 파트너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운영 체계로서 산업이 요구하는 요소를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넷째, 독어권 국가는 기업 내 트레이너의 자격을 명시하여 기업 내 현장훈련의 질 관리를 엄격하게 시행하고 있다. 다섯째, 기업의 비용 편익 분석에 있어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편익보다 비용이 많이 드는 반면, 스위스는 비용보다 순이익이 발생한다. 이러한 세 국가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의 일학습병행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의 실과 및 기술.가정과교육의 역사적 변천 비교 (Comparative 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 박순자;신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5-76
    • /
    • 2000
  • Comparative 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This dissertation is a comparative study on Practical Arts(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of Korea and Japan. I established two research objectives to conduct the research :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change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of the two countries: And to grope for the new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Japan was also ahead of Korea for about two decades in terms of putting Home Economics Education in practice at elementary schools. Practical Arts Education Started to emerge in Elementary school system in 1955, which had been originated in vocational education before the year 1945 in Korean However, from the 3th curriculum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put emphasis on home live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changes at Korean Junior-high schools after the year 1945. Home Economics Education had been regarded as “female subject”until the 1980s and was integrated into regular curricula for co-education in the middle of the 1990s. when the 6th Curriculum was activated. Technology-Home Economics started to emerge in Japan in 1962. while the subject Home Economics Education was integrated into curricula for males in high school as well in 1989. In the Korean 7th Curriculum, the combined subject Technology-Home Economics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 remarkable difference from japanese Technology-Home Economics is that korean curriculum has no division between required and elective. In conclusion. I observe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curricula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originated in Confucianism. However, unlike Korean situation, current Japanese Home Economics Education takes a significant part as a continuing and required subject for both primary and secondary co-education.

  • PDF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합 딜레마 (A Convergence Dilemma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 김영준;강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81-91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이 융합의 차원에서 놓여 있는 딜레마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장애인 평생교육의 지원체제를 개발하고 실제 이행하는 데 있어 고려되어야 할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그 영역의 결과는 분야의 융합 딜레마, 기관의 융합 딜레마, 자격의 융합 딜레마, 장애 영역의 융합 딜레마, 국가행정의 융합 딜레마와 같이 총 다섯 가지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다섯 가지의 영역은 상호 연계적인 관점과 맥락에 의해 고찰되었다. 연구 내용의 결과에 기반하여 장애인 평생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전제 조건을 비롯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제를 위한 대학 특수교육과(직업특수교육과 포함)의 역할 기능 강화를 중심으로 결론 및 고찰하였다. 이상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합 딜레마를 위해 교육의 실천적인 성격과 맥락에 토대하여 평생교육학 범주와 특수교육학 범주 간 융합에 따라 장애인 평생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을 타당하게 정립할 것을 제안하였다는 데 가치가 있다.

학교수학의 각 영영에 대한 선호도 연구 (Studies on the Degree of Likings for Each Units of School Mathematics)

  • 김영국;박기양;박규홍;박혜숙;박윤범;임재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127-144
    • /
    • 2000
  • School mathematics are composed of five major units of numbers& algebraic expressions, equations & inequalities, functions, figures, and statistics & probabilities. But if we look into the general activities of mathematics teachers in their class, they rather do not take into account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traits or degree of difficulty which each of the unit has. For successful teaching of mathematics, teacher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many affective items which influence the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 Among them student\`s liking for the mathematics is commonly accep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learning. In this study, with the five units of school mathematics, we investigated the students\` degree of likings for each unit. To fined out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students\` likings for the mathematics, between regions and kind of schools, we classified the popul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s and kinds of schools. To do this, we divided the whole region into four parts such as Seoul, large city, medium city and town. Moreover, we partitioned the whole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o four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ro-science students of academic high schools, and pro-liberal arts students of academic high schools. From each partition, we sampled similar size of experimental groups which came up to total 1260 students. Analysing the answer sheets which the students responded about the questionnaire, we investigated the following questions using the ANOVA test. 1.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trend of likings for each unit between the regional classifications? 2.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trend of likings for each unit between the classifications of secondary schools? 3. What trends of changes are there in the degree of likings for each unit according to the rising of students\` grade?

  • PDF

경기 혁신교육지구 사업의 발전방향과 특성화(전문계)고 프로그램적용 방안연구 (A study on applyi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program and development of Gyeonggi innovative education project)

  • 장은영;유형진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8
    • /
    • 2011
  • 본 논문 새로운 경기도 교육청에서 선도하여 시행하고 있는 경기 혁신 교육지구 사업에 관하여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현재 직면한 특성화고등학교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인식하고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프로그램의 내용과 수준을 살펴보았으며 교육혁신지구 사업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선행 연구 분석결과 지원대상과 특성화고의 취업지원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 하였으며 일반계 초 중등학교에 전반에 걸쳐 지원 되므로 특성화고(전문계)에서 필요로 하는 하드웨어 기반보다는 보편적 교육복지로 초등학교, 중학교, 일반고에서 원하는 감성적 소프웨어적인 지원이 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특성화고 학부모와 교사 학생에 대한 설문지 조사 분석결과 대체로 만족한 평가를 받았지만 균형적인 지원을 요구하는 교사가 증가하고 교육효과를 의심하는 학생도 있고 일부 학부모는 주민입장에서 교육보다는 지역 발전을 요구하는 경우도 설문조사에 포함되어 아직까지 학부모 교사 학생들이 혼선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내실화하고 행 재정지원 에서 교육청과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공교육 혁신을 이루기 위한 신뢰와 믿음으로 대규모 시설사업에서 탈피하여 특성화고 학교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이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지역혁신교육협의체에 지역특성화고 교사를 포함한 전문가 교사운영위원회를 설치 참석시켜 현장의 요구를 반영시킬 수 있어야 하겠다. 지역의 인적 물적 인프라 활용한 계획으로 초빙강사인력풀 구축 하여 혁신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교사에게 제공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의 선택권을 넓혀 우수 타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 기회를 주도록 개선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