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forecasting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31초

관광 수요 예측 모형의 계절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sonal Effects of the Tourism Demand Forecasting Models)

  • 김삼용;이주형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1호
    • /
    • pp.93-102
    • /
    • 2011
  • 본 연구는 관광수요 예측 분야에서 사용되는 계절형 ARIMA 모형과 다변량 계절형 시계열 모형과 오차수정모형의 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중국, 미국, 필리핀에 대한 실제 자료를 이용한 결과 관광 수요에는 계절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이고 각 국가별로 예측 정확도를 RMSE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Satellite-based Drought Forecasting: Research Trend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 Son, Bokyung;Im, Jungho;Park, Sumin;Lee, Jaese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15-831
    • /
    • 2021
  • Drought forecasting is crucial to minimize the damage to food security and water resources caused by drought. Satellite-based drough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since 1980s, which includes drought monitoring, assessment, and prediction. Unlike numerous studies on drought monitoring and assessment for the past few decades, satellite-based drought forecasting has gained popularity in recent years. For successful drought forecasting,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drought factors and drought conditions by drought type and lead tim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recent research trends and challenges for satellite-based drought forecasts focusing on lead times. Based on the recent literature survey during the past decade, the satellite-based drought forecasting studi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lead time (i.e., short-term, sub-seasonal, and seasonal) and review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dictors (i.e., drought factors) and predictands (i.e., drought indices). Then, three major challenges-difficulty in model generalization, model resolution and feature selection, and saturation of forecasting skill improvement-were discussed, which led to provide several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satellite-based drought forecasting.

단기 측정 인터넷 트래픽 예측을 위한 모형 성능 비교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of Short Term Internet Traffic Forecasting Models)

  • 하명호;손흥구;김삼용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9권3호
    • /
    • pp.415-4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단기에 측정되는 트래픽 자료를 예측하기 위하여 Holt-Winters, Fractional Seasonal ARIMA, AR-GARCH, Seasonal AR-GARCH 모형을 사용하여 각 모형의 예측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예측에 이용된 시계열 모형에 대해 소개하고, 실제 트래픽 자료에 적용하여 트래픽 자료를 분석한 결과 Holt-Winters방법이 예측력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SPI 및 SDI 기반의 Seasonal ARIMA 모형을 활용한 가뭄예측 - 충주댐, 보령댐 유역을 대상으로 - (Short Term Drought Forecasting using Seasonal ARIMA Model Based on SPI and SDI - For Chungju Dam and Boryeong Dam Watersheds -)

  • 윤영선;이용관;이지완;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1호
    • /
    • pp.61-74
    • /
    • 2019
  • In this study, the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of meteorological drought and SDI (Streamflow Drought Index) of hydrological drought for 1, 3, 6, 9, and 12 months duration were estimate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drought using rainfall and dam inflow data for Chungju dam ($6,661.8km^2$) with 31 years (1986-2016) and Boryeong dam ($163.6km^2$) watershed with 19 years (1998-2016) respectively. Using the estimated SPI and SDI, the drought forecasting was conducted using season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SARIMA) model for the 5 durations. For 2016 drought, the SARIMA had a good results for 3 and 6 months. For the 3 months SARIMA forecasting of SPI and SDI,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SPI3, SPI6, SPI12, SDI1, and SDI6 at Chungju Dam showed 0.960, 0.990, 0.999, 0.868, and 0.846, respectively. Also, for same duration forecasting of SPI and SDI at Boryeong Dam,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SPI3, SPI6, SDI3, SDI6, and SDI12 showed 0.999, 0.994, 0.999, 0.880, and 0.992, respectively. The SARIMA model showed the possibility to provide the future short-term SPI meteorological drought and the resulting SDI hydrological drought.

전력계통 유지보수 및 운영을 위한 향후 4주의 일 최대 전력수요예측 (Daily Maximum Electric Load Forecasting for the Next 4 Weeks for Power System Maintenance and Operation)

  • 정현우;송경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11호
    • /
    • pp.1497-1502
    • /
    • 2014
  • Electric load forecasting is essential for stable electric power supply,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power systems, and safe operation of power generation systems. The results are utilized in generator preventive maintenance planning and the systemization of power reserve management.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electric load forecasting model is necessary for power system maintenance and operation. This paper proposes daily maximum electric load forecasting methods for the next 4 weeks with a season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and an exponential smoothing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orecasting of daily maximum electric load forecasting for the next 4 weeks of March, April, November 2010~2012 using the constructed forecasting models, the season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showed an average error rate of 6,66%, 5.26%, 3.61% respectively and the exponential smoothing model showed an average error rate of 3.82%, 4.07%, 3.59% respectively.

트렌드와 계절성을 가진 시계열에 대한 순수 모형과 하이브리드 모형의 비교 연구 (Comparison Studies of Hybrid and Non-hybrid Forecasting Models for Seasonal and Trend Time Series Data)

  • 정철우;김명석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예측을 위해 선형 모형과 비선형 모형의 하이브리드 모형 및 순수 모형의 성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5가지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선형 모형은 AR(autoregressive model)과 SARIMA(season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이고 비선형 모형은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model)과 GAM(generalized additive model)이다. 특히, GAM은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시계열 예측을 위한 비선형 모형으로 기존 연구들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았던 모형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seasonality를 가지는 시계열에 대해서는 AR 및 AR-AR 모형이, trend를 가지는 시계열에 대해서는 SARIMA 및 SARIMA와 다른 모형의 하이브리드 모형이 다른 모형에 비해 높은 성과를 보였다. 한편, 인공신경망과 GAM을 비교하면, 트렌드와 계절성이 더해진 시계열에 대해 SARIMA와 GAM의 하이브리드 모형이 거의 모든 노이즈(noise) 수준에 대해 높은 성과를 보인 반면, 노이즈 수준이 미미한 경우에 한해 SARIMA와 인공신경망의 하이브리드 모형이 높은 성과를 보였다.

계절 ARIMA 모형을 이용한 여객수송수요 예측: 중앙선을 중심으로 (Forecasting Passenger Transport Demand Using Seasonal ARIMA Model - Focused on Joongang Line)

  • 김범승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307-312
    • /
    • 2014
  • 본 연구는 중앙선의 여객수송수요를 효율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계절성 요인을 고려한 ARIMA 모형을 제안하였다. 특히, 최근의 관광수요를 반영하기 위하여 2013년 4월 개통되어 운행되고 있는 중부내륙권 관광전용열차(O-train, V-train)의 수요를 포함하여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5년 1월부터 2013년 7월까지의 월별 시계열 데이터(103개)를 사용하여 최적의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예측결과 중앙선의 여객 수송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구축된 모형은 중앙선의 단기수요를 예측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

기온과 특수일 효과를 고려하여 시계열 모형을 활용한 일별 최대 전력 수요 예측 연구 (Forecasting daily peak load by time series model with temperature and special days effect)

  • 이진영;김삼용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1호
    • /
    • pp.161-171
    • /
    • 2019
  • 일별 최대전력 수요 예측은 국가의 전력 수급운영에 중요한 과제로서 과거부터 다양한 방법들이 끊임없이 연구되어 왔다. 일별 최대전력 수요를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발전설비에 대한 일일 운용계획을 작성하고 효율적인 설비 운용을 통해 불필요한 에너지 자원의 소비를 감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여름 겨울철 냉난방수요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소비 과다로 인한 전력예비율 감소 문제 등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일별 최대전력수요 예측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Seasonal ARIMA, TBATS, Seasonal Reg-ARIMA, NNETAR 모형에 평일, 주말, 특수일에 대한 효과와 온도에 대한 영향을 함께 고려하여 다음날의 일별 최대전력을 예측하는 모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을 통한 모형들의 예측 성능 평가 결과 요일, 온도를 고려할 수 있는 Seasonal Reg-ARIMA 모형과 NNETAR 모형이 이를 고려할 수 없는 다른 시계열 모형보다 우수한 예측 성능을 나타내었고 그 중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NNETAR 모형의 예측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계절 ARIMA 모형을 이용한 제주공항 여객 수요예측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mand Forecasting and Efficient Operation of Jeju National Airport using seasonal ARIMA model)

  • 김경범;황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381-3388
    • /
    • 2012
  • 본 연구는 단변량 시계열분석 중에서 계절 ARIMA 모형을 이용하여 제주공항의 여객수요 예측과 그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시계열데이터는 2003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의 월별데이터이며, 관찰 수는 108개이다. 분석결과, 최적모형으로 계절 ARIMA(0,1,2)(0,1,1)12 모형이 선정되었으며, 제주공항의 여객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13년에는 1년에 2천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었다.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게임 접속시간 예측 연구 (The Study of Forecasting Game Usage Hours Using Time Series Analysis)

  • 강기호;김병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3-69
    • /
    • 2010
  • 게임접속 시간의 예측은 서버접속의 폭주와 렉 현상의 예측을 통한 게임서비스 향상과 게임 매출의 예측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 온라인 게임인 "아이온"과 "서든어택"의 2009년 PC방 접속시간 자료를 대상으로 다양한 시계열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접속시간 예측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평균 게임접속시간의 예측에는 분해법이 실제 접속시간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