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food component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7초

계절에 따른 미더덕의 정미성분 조성 변화에 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Taste Components in Warty Sea Squirt(Styela clava))

  • 이강호;김민기;홍병일;정병천;이동호;박천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4-279
    • /
    • 1995
  • 미더덕의 계절에 따른 성분 조성을 분석하여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3~10월 사이의 정미성분과 그 계절적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더덕의 총엑스분질소량은 6월에 294mg/100g, 7월에 160mg/100g으로 감소하다가 그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아미노산 중 taurine(45~50%)과 proline(12~18%)이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의 함량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 중에서는 AMP의 함량이 가장 풍부하였고, glycine betain은 6월에 256mg/100g으로 최고치를 보였다. 미더덕의 엑스 분질소 조성은 유리아미노산이 50~6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betaine(11~15%), 핵산관련 물질(5~8%), TMAO 및 총 ceratinine 순이었다. 미더덕의 유기산은 succine, malic, lactic 및 pyroglutamic acid가 전체 유기산의 8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중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Omission test한 결과, 미더덕의 맛은 유리아미노산, betaine, 핵산관련 물질, 불휘발성 유기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Fibrinolytic Enzyme of Bacillus licheniformis KJ-31,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Jeot-gal

  • Hwang, Kyung-Ju;Choi, Kyoung-Hwa;Kim, Myo-Jeong;Park, Cheon-Seok;Cha, Jae-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9호
    • /
    • pp.1469-1476
    • /
    • 2007
  • Jeot-gal is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and has long been used for seasoning. We isolated 188 strains from shrimp, anchovy, and yellow corvina Jeot-gal, and screened sixteen strains that showed strong fibrinolytic activities on a fibrin plate. Among those strains, the strain that had the largest halo zone was chosen and identified as Bacillus licheniformis by using 16S rDNA sequencing and an API CHB kit. The fibrinolytic activity of Bacillus licheniformis was characterized and designated as bpKJ-31. The active component of bpKJ-31 was identified as a 37 kDa protein, designated bacillopeptidase F, by internal peptide mapping and N-terminal sequencing. The optimum activity of bpKJ-31 was shown at pH 9 and $40^{\circ}C$, with a chromogenic substrate for plasmin. It had high degrading activity for the $B{\beta}$-chain and $A{\alpha}$-chain of fibrin(ogen), and also acted on thrombin, but not skim milk and casein. The amidolytic activity of bpKJ-31 was inhibited by 1 mM phenylmethanesulfonyl fluoride, but 1 mM EDTA did not affect the enzyme activity, indicating that bpKJ-31 is an alkaline serine protease, like a plasmin. The bpKJ-31 showed approximately 14.3% higher fibrinolytic activity than the plasmin. These features of bpKJ-31 make it attractive as a health-promoting biomaterial.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Trimethylamine 저감화 (Reduction of Trimethylamin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Isolated from Fermented Food)

  • 박슬기;이재화;조두민;강민균;장유미;조연진;홍동리;김영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1-126
    • /
    • 2019
  • Trimethylamine (TMA) is a nitrogen-based aliphatic organic compound. It is a major odorous component of fish and fishery products and is often used as an indicator of fish quality. The efficacy of TMA removal by various yeast strains was investigated. The five yeast strains found to be most effective in removing TMA were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and were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based on biochemical and 18S rRNA sequence analyses. These strains were designated as S. cerevisiae SK1511, SK1512, SK1513, SK1514 and SK1515. Yeast cultures were treated with a TMA solution (0.3%, v/v), and the level of TMA reduction was analyzed by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The five S. cerevisiae strains removed 32.02-50.34% of the TMA from the solution. This study is the first to demonstrate TMA reduction by microbial treatment.

호기성 생분해도 평가를 통한 유가공 폐수의 반응특성 (Reaction Characteristics of Dairy Wastewater through Aerobic Biodegradability Assessment)

  • 최용범;한동준;권재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4-71
    • /
    • 2018
  • 본 논문은 호기성 생분해도를 통하여 유가공 폐수의 기질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물 중 빨리 분해되는 물질(Ss)은 SCODcr 기준을 84.2 %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수산물 가공폐수의 75.8~77.9 %, 돈사폐수의 58.2 % 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물학적 분해 불가능한 용존성 유기물(SI)의 비율은 5.6~6.4 %로, 미생물 신진대사에 의해 발생 되는 inert 물질 비율(SIi)은 3.6~3.7 %로 조사되었다. 생물학적 분해 불가능한 용존성 유기물 성분의 함유 계수(YI) 0.092~0.099로, 미생물 신진대사로 생성되는 inert 물질의 생성계수(Yp)는 0.039~0.040으로 산정되었다. 유기물 성분 계수 분석결과, 유가공 폐수의 용존성 유기물 약 91.0 %가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물질이고, 이중 약 92.5 %가 빨리 분해되는 Ss 성분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총유기물(TCODcr) 중에 생물학적 분해 가능한 유기물의 비율은 89.3 %로 조사되었다. 생물학적 분해 불가능한 용존성 유기물(SI) 성분은 3.0 %, 생물학적 분해 불가능한 부유성 물질(XI) 성분은 7.7 %로 비교 대상 폐수보다 낮게 조사되었는데, 이는 유가공 폐수가 호기성 생분해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황다랑어 복부 껍질을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 해석 (Processing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llagen from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Abdominal Skin)

  • 유승재;조승목;우진욱;김상호;한유나;안주련;김수연;김태완;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27-434
    • /
    • 2008
  • Processing of collagen from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abdominal skins was optimiz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central composite design. The values of independent variables at optimal conditions were NaOH concentration: 0.5 N, NaOH treatment time: 36.2 hr, pepsin concentration: 1:4.9 ratio (0.245%, w/v), and digestion time: 48.1 hr, respectively. The collagen content estimated under optimal conditions was 33.1%, and the actual experimental collagen content was 32.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llagen from yellowfin tuna abdominal skin were investigated by amino acids analysis, SDS-PAGE, FT-IR, viscosity and denaturation temperature. Amino acids content of the collagen was 21.0%. SDS-PAGE pattern of the collagen showed two different $\alpha$-chain (${\alpha}_1$- and ${\alpha}_2$- chain), $\beta$-component and $\gamma$-component. The spectrum of FT-IR of the collagen showed wavenumber at 3,434, 1,650, 1,542 and $1,235\;cm^{-1}$ representing the regions of amide A, I, II and III, respectively. Relative viscosity of the collagen decreased continuously on heating up to $32^{\circ}C$, and the rate of decrease was retard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35-50^{\circ}C$. Denaturation temperature (Td) of the collagen solution (0.06%, w/v) was $31^{\circ}C$ and was lower than calf skin collagen ($35^{\circ}C$).

연어 Fillet 부산물인 가슴지느러미 부근 근육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zation of Muscle around Pectoral Fin, Salmon Fillet Processing By-products)

  • 허민수;이동호;강경태;김형준;윤민석;박권현;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0-75
    • /
    • 2009
  • 연어 가공 부산물인 연어 가슴지느러미 부근 근육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아울러 연어 fillet 근육과 비교 검토하였다. 연어 가슴지느러미 근육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이 64.4%, 조단백질 함량이 17.2%, 조지방 함량이 16.2%, 조회분 함량이 1.4%이었고, pH 및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각각 6.73 및 7.8 mg/100 g이었으며, fillet 처리 근육을 기준으로 한 수율은 7.4%이었다. 연어 가슴지느러미 부근 근육의 TCA 가용성 질소 함량은 479 mg/100 g으로, fillet 근육의 612 mg/100 g에 비하여 낮았고, 명도, 적색도, 황색도 및 색차는 각각 54.86, 22.08, 22.41 및 52.35로, fillet 근육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다. 연어 가슴지느러미 부근 근육의 아미노산 총 함량은 17.1 g/100 g이었고,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및 lysine 등이었으며, 주요 구성 지방산은 16:0, 18:1n-9 및 18:2n-6, 20:5n-3 및 22:6n-3 등으로, fillet 근육의 그것과 차이가 없었다. 연어 가슴지느러미 근육의 칼슘과 인의 함량은 각각 19.1 mg/100g 및 211.7 mg/100 g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연어 가슴지느러미 부근 근육은 수산가공품 재자원으로 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무기질 소재로서 갑오징어갑의 성분 특성 (P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uttle Bone as a Mineral Source)

  • 조문래;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78-482
    • /
    • 2001
  • 갑오징어 가공부산물인 갑오징어갑을 식품 무기질 강화소재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 갑오징어갑의 식품학적 성분 특성을 검토하였다. 갑오징어갑의 수율은 약 $7.5\%$이었고, 이들은 회분이 약 $9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갑오징어갑은 중금속 분석 결과 무기질 추출소재로서 중금속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리고, 갑오징어갑의 주요 무기성분은 칼슘이 약 $22\%$ 정도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수율, 일반성분 중금속 및 무기질 함량에 있어 국내산 및 수입산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다. 갑오징어라을 XRD 분석하여 본 결과 갑오징어갑은 탄산칼슘이 주성분이었고,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비정형의 결정을 이루고 있었다 갑오징어잠은 pH 7 부근에서 상당히 강한 완충특성을 나타내었고, 탁도는 아주 높았다. 또한 용해도는 탄산칼슘보다는 약간 우수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낮아 칼슘제로 사용에 있어 제한을 받으리라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갑오징어갑은 칼슘 추출소재로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

미더덕의 향기 성분 (Flavor Components of Mideoduck (Styela clava))

  • 최병대;오봉세;강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48-1655
    • /
    • 2010
  • 미더덕 육과 체액을 이용한 천연 조미료의 제조를 위하여 본래의 향과 가열에 따른 변화를 비교해보기 위하여 SDE법과 SPME법으로 미더덕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SDE 추출법으로 얻어진 미더덕 육에 함유된 주요 성분으로서는 hexanal $371.3\;{\mu}g/g$, 1-tridecanol $80.1\;{\mu}g/g$, (Z)-4,5-dimethyhex02-en-4-ol $72.1\;{\mu}g/g$ 등이 있었고, 그 외 다량의 alcohol, aldehydes 및 acids가 얻어졌다. SDE 추출법으로 얻어진 alcohol은 농도도 높았지만 미더덕 육향기성분의 주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PME 추출법으로 얻어진 미더덕 육에는 9종의 alcohols, 1종의 acid, 1종의 aldehyde, 1종의 hydrocarbon, 1종의 ester, 1종의 amine 및 2종의 ketones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중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 1-nonanol, 1-decanol 및 1-tridecanol이 주성분이었다. SPME법으로 얻어진 향기성분 중 1-nonanol $31.6\;{\mu}g/g$, (E)-2-butanoic acid dibutylester $20.3\;{\mu}g/g$ 및 heptadecanoic acid $26.7\;{\mu}g/g$으로 전체 향기성분 추출물의 62.1%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SPME법으로 얻어진 향기성분이 SDE법보다 추출효율은 낮았지만 원래 향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명란젓갈 및 부재료의 미생물 오염도 및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유통안정성 향상 (Microbiological Quality of Myungran Jeotkal and Its Ingredients and Improvement of Shelf-stability by Gamma Irradiation)

  • 김빛나;장애라;송현파;김윤지;고병호;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06-611
    • /
    • 2008
  • 명란젓갈은 한국 전통 발효 식품중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명란젓갈의 유통기한 연장방안으로 감마선 조사를 적용하여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 실험을 행하였다. 명란젓갈과 고춧가루, 생강, 마늘, 복합시즈닝 믹스 등의 부재료에 각각 0, 0.5, 1.0, 2.0 및 5.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를 하여 $4^{\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며 관찰하였고, 이들의 수분활성도는 각각 0.89, 0.56, 0.98, 0.99 및 0.07 이었다. 명란젓갈의 초기 호기성 세균, 효모 및 곰팡이, 대장균군의 수는 각각 6.7, 4.3, 3.6 log CFU/g 이였으며, 2 kGy 의 감마선 조사 직후 호기성 세균은 4 log cycle, 효모 및 곰팡이와 대장균군은 3 log cycle의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보였다(P<0.05). 5 kGy 감마선 조사시 효모 및 곰팡이와 대장균군은 검출한계($10^1$ CFU/g) 이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부재료 중 고춧가루에서 5 kGy 감마선 조사 후 일반 호기성 미생물의 경우 5 log cycle 정도 감소하였다. 관능적 품질의 경우 감마선 조사 후에도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명란젓갈의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이고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며 유통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붕장어 Frame을 이용한 스낵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nack Using Conger Eel Frame)

  • 김혜숙;강경태;한병욱;김은정;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67-1474
    • /
    • 2006
  • 수산가공 부산물인 fish frame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붕장어 frame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낵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특성도 검토하였다. 스낵의 제조 원료로 검토한 붕장어 frame의 경우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으로 미루어 보아 가공 원료로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관능검사의 결과와 단가 측면에서 붕장어 frame스낵의 감미제로는 물엿이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수분함량 및 과산화물값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붕장어 frame을 이용한 물엿 함유 조미액 처리 스낵의 경우 식품위생법규 상으로 적절한 식품이었다. 붕장어 frame을 이용한 물엿 함유 조미액 처리 스낵은 대두유와 유사한 지방산 조성을 가졌으나 EPA 및 DHA의 조성비도 무시할 수 없는 정도이었다. 붕장어 frame을 이용한 물엿 함유 조미액 처리 스낵의 구성아미노산 총 함량은 23.9%이었고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및 alanine 등이었다. 또한 붕장어 frame을 이용한 물엿 함유 조미액 처리 스낵의 칼슘 및 인의 함량은 각각 4.9% 및 2.7%이었고, 칼슘/인의 비율은 1.82로 칼슘 흡수가 기대되는 비율이었다. 붕장어 frame을 이 용한 물엿 첨가 스낵의 EPA 및 DHA 등과 같은 건강 기능성 지방산의 조성, 구성아미노산의 함량 및 칼슘과 인의 함량 등은 시판 뱀장어 frame 스낵에 비하여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