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creening

검색결과 8,907건 처리시간 0.034초

Baermann Funnel법의 선충 분리 여과지 선발 (Screening of Tissue Papers for Nematode Extraction for the Baermann Funnel Method)

  • 강헌일;은근;하지혜;이재현;김동근;김용철;최인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77-381
    • /
    • 2016
  • Baermann funnel법을 이용하여 비교적 선명한 선충 분리를 위해서는 Kimwipes 4매 정도를 여과지로 사용하여야 한다.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선충 분리용 여과지를 찾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15개의 제품을 Kimwipes와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충 분리 효율 검정에는 Heterodera sp.의 유충, Meloidogyne sp.의 유충, Pratylenchus sp., Rhabditis sp., Acrobeloides sp., Panagrolaimus sp., Poikilolaimus sp. 그리고 Diplogasterida 등 8속의 선충을 이용하였다. 전체 선충 분리 효율은 42.0 - 88.8%로 나타났다. 1회 비용, 선충 분리 효율 그리고 선명도를 고려하였을 때, 선명도는 A이고 분리 효율은 69.4%로 Kimwipes 4장과 비슷하며(P=0.05), 비용은 50% 저렴한 국내 업체 모나리자 사의 Pulling Kitchen Towel 1매 사용이 가장 적합하였다.

사탕무씨스트선충의 기주범위 검정 (Host Range Screening of the Sugar Beet Nematode, Heterodera schachtii Schmidt)

  • 김동환;조명래;양창열;김형환;강택준;윤정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89-403
    • /
    • 2016
  • 사탕무씨스트선충(Heterodera schachtii)의 피해가 2011년에 배추 주산지인 강원도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이 선충은 암컷이 씨스트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농약에 의한 효과적인 방제가 어렵다. 따라서 사탕무시스트선충에 대한 비기주 작물을 선정하여 감염지역의 배추를 대체할 작물을 추천하고자 총 17과(科) 276품종의 식물에 대한 사탕무씨스트선충의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사탕무씨스트선충 접종 후 씨스트 발생 정도에 따라 감수성(susceptible), 중감수성(moderately susceptible), 저항성/비기주(resistant/immune)로 구분하였다. 검정 결과 감수성 106품종, 중감수성 40품종, 저항성/비기주 130품종으로 구분되었다. 씨스트가 전혀 형성되지 않은 작물은 가지, 토마토, 상추, 들깨, 당근, 셀러리, 수박, 참외, 오이, 호박, 부추, 양파, 파, 도라지, 더덕, 잔대, 콩 등이었다. 가지과, 국화과, 명아주과, 화본과 작물은 작물 및 품종에 따라 약감수성 또는 저항성/비기주 식물이 혼재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탕무씨스트선충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저항성/비기주식물로 밝혀진 130품종은 사탕무씨스트선충 감염지의 배추를 대체할 작목을 추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in Win-Win Cooperation Quality Circle Innovation Activities)

  • 안효범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1호
    • /
    • pp.43-48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 간 상생협력활동을 통한 동반성장이라는 목표 아래,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의 선도모델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최근 3개년(2014년~2016년)동안 국가품질상의 범주 내에서 실시된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 부문에 참여한 총 18개 기업들의 주요 발표문집을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2017년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부문의 심사기준을 분석하고 각 활동단계별 우수사례를 선정하여 최적화된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의 활동요령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셋째,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의 활성화 및 참여유도 확산을 위한 성과공유의 시스템 강화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업 간 상생협력의 시스템 강화방안을 통하여 상생협력이 새로운 기업문화로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상생협력 기업 간 생산성 및 품질향상 등 기업경쟁력 제고를 바탕으로 기업 간 동반성장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 문종훈;원영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91-40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7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 동안 모두 동일하게 보편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를을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구강 구조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선별검사의 하위항목인 구강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였다. 조음교대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속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구강 구조 및 기능, 교대운동속도, 연속운동속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강기능과 교대운동속도의 /퍼/와 /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은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기능과 조음기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복합 폐플라스틱 골재 치환 콘크리트의 기초 물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Concrete Composites with Mixed Plastic Waste Aggregates)

  • 이준;김경민;조영근;김호규;김영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17-324
    • /
    • 2020
  • 플라스틱은 우수한 물성과 가공성 및 경제성으로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에, 분리, 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재활용률이 저조한 실정이다. 특히, 생활폐기물 발생 폐플라스틱은 이물질과 혼합배출로 분리, 선별 공정 비용이 증가하여 재활용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폐기물 발생 복합 폐플라스틱을 콘크리트용 골재로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폐플라스틱 종류(복합재질 1종류 및 단일 재질 2종류) 및 치환율(잔골재 용적 대비 25%, 50% 및 75%)에 따른 콘크리트 특성 변화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복합재질의 폐플라스틱 굵은 골재는 양호한 입도 분포로 부순 굵은 골재 대비 밀도는 낮고 흡수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단일재질의 폐플라스틱 잔골재는 균일한 크기의 입자로 구성되었으며 부순 잔골재 대비 밀도와 흡수율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재질 굵은 골재 치환 콘크리트는 가장 많은 폐플라스틱 치환량에도 양호한 입도 분포로 재료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공기랑도 증가량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폐플라스틱 골재의 낮은 강도, 소수성으로 인한 시멘트 수화반응 억제, 폐플라스틱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 사이의 낮은 부착력 등으로 폐플라스틱 골재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는 감소하였으며, 입도 분포가 양호한 복합재질의 폐플라스틱 굵은 골재를 치환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의 저하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성분 분석 변수와 요부 등속성 근력 측정을 근거로 한 비만과 요통의 관계 (The Study on Relation of Obesity and Low Back Pain Based on Body Composition Using Segmental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nd Isokinetic Trunk Muscle Strength)

  • 박지현;안순선;최용훈;홍서영;허동석;윤일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7-159
    • /
    • 2008
  • Objective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body composition analysis and isokinetic trunk muscle strength for the screening test of low back pain.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data from comprehensive medical testing. 75 subject aged 20-59 performed the segmental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sokinetic trunk muscle strength test and questionnaire. The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data. Results : Low back pain(LBP) prevalence in high obesity index(Body mass index(BMI), Percentage of Body Fat(PBF), Waist Hip Ratio(WHR)) group was higher than LBP prevalence in normal obesity index group(p<0.001). In LBP group, Extension Peak Torque(Ext.PT), Extension Peak Torque per Body Weight(Ext.PT/BW)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n-LBP group(p<0.001). And 90% of LBP group indicated abnormal Extension-Flexion Ratio(E/F ratio)(1.0 < Normal E/F ratio <1.6). When it comes to analyze relation between obesity index and muscle strength, Ext.PT/BW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PBF, WHR scor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in Flex.PT, Flex.PT/BW, Ext.PT, Ext.PT/BW and PBF showed decreasing function. Conclusions : Results from this investig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besity and LBP prevalence. Decreased muscle strength and inbalanced E/F ratio were shown in LBP. Trunk muscle strength was changed according to body mass composition parameters. This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vent and diagnose LBP by application the clinical index of body composition analysis.

위암환자에서 혈중 Pepsinogen 검사의 의미 (Clinical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Pepsinogen I/II Ratio and Gastric Cancer)

  • 안대호;강혜윤;김광일;김세현;홍성표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158-162
    • /
    • 2005
  • 목적: 위암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수술 전 혈중 pepsinogen I/II 비율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위암 발생과 혈중 pepsinogen의 변화와의 관련성 및 혈중 pepsinogen의 위암 진단의 이용 가능성 여부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분당차병원에서 절제술을 받은 103명의 위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혈중 pepsinogen I과 II를 측정하고, 이 결과를 종양의 임상 및 조직학적 요소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Pepsinogen I/II 비율의 평균치는 mucinous type, 종양 주위에 위축이 있는 경우 및 종양이 큰 경우에 감소하였으며 종양주위에 위축이 있는 환자에서도 종양이 클수록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암세포가 고분화를 보이는 환자가 인환세포암 환자에 비하여 pep I/II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나 종양의 위치,침윤도, 림프절 전이 여부 및 Lauren분류에 따른 종양의 아형은 pep I/II의 변화와 의미 있는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혈중 pepsinogen과 점막위축 정도와의 연관성은 증명하였지만 이 결과만으로 pepsinogen과 위암의 전암 병소의 연관성이나 일차점진의 유용성을 논하기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 PDF

Prognostic Factor Analysis of Overall Survival in Gastric Cancer from Two Phase III Studies of Second-line Ramucirumab (REGARD and RAINBOW) Using Pooled Patient Data

  • Fuchs, Charles S.;Muro, Kei;Tomasek, Jiri;Van Cutsem, Eric;Cho, Jae Yong;Oh, Sang-Cheul;Safran, Howard;Bodoky, Gyorgy;Chau, Ian;Shimada, Yasuhiro;Al-Batran, Salah-Eddin;Passalacqua, Rodolfo;Ohtsu, Atsushi;Emig, Michael;Ferry, David;Chandrawansa, Kumari;Hsu, Yanzhi;Sashegyi, Andreas;Liepa, Astra M.;Wilke, Hansjoche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7권2호
    • /
    • pp.132-144
    • /
    • 2017
  • Purpose: To identify baseline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in patients with disease progression, during or after chem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junction (GEJ)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pooled data from patients randomized between 2009 and 2012 in 2 phase III, global double-blind studies of ramucirumab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gastric or GEJ adenocarcinoma following disease progression on first-line platinum- and/or fluoropyrimidine-containing therapy (REGARD and RAINBOW). Forty-one key baseline clinical and laboratory factors common in both studies were examined. Model building started with covariate screening using univariate Cox models (significance level=0.05). A stepwise multivariable Cox model identified the final prognostic factors (entry+exit significance level=0.01). Cox models were stratified by treatment and geographic region. The process was repeated to identify baseline prognostic quality of life (QoL) parameters. Results: Of 1,020 randomized patients, 953 (93%) patients without any missing covariat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We identified 12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f poor survival: 1) peritoneal metastases; 2)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core 1; 3) the presence of a primary tumor; 4) time to progression since prior therapy <6 months; 5) poor/unknown tumor differentiation; abnormally low blood levels of 6) albumin, 7) sodium, and/or 8) lymphocytes; and abnormally high blood levels of 9) neutrophils, 10)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11) alkaline phosphatase (ALP), and/or 12) lactate dehydrogenase (LDH). Factors were used to devise a 4-tier prognostic index (median overall survival [OS] by risk [months]: high=3.4, moderate=6.4, medium=9.9, and low=14.5; Harrell's C-index=0.66; 95% confidence interval [CI], 0.64-0.68). Addition of QoL to the model identified patient-reported appetite loss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Conclusions: The identified prognostic factors and the reported prognostic index may help clinical decision-making, patient stratification, and planning of future clinical studies.

시뮬레이션 학습을 위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시나리오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cenario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이명남;김희순;정현철;김영희;강경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사례의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지식 적용-기술 수행, 문제 해결 능력, 학습만족도를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단일군 사후설계를 적용하였으며, 고위험 아동간호학을 수강하고 있는 간호학과 4학년 55명을 대상으로 총 17개조를 구성하여 매주 3개조(4-5명/조)로 시뮬레이션 운영 후 디브리핑을 60분간 실시하였으며, 자신의 실습 수행에 대한 문제해결능력과 학습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시나리오는 간호진단을 포함하여 6단계로 구성하였으며, 20분의 운영 시간 내에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에 대한 지식 적용 및 기술 수행 능력, OSCE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지식 적용-기술 수행 평가에서 간호진단을 제외한 5개의 범주 중 평가 단계가 지식 적용과 기술 수행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식 적용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인 항목은 사정 단계에서 산소포화도 관찰, 평가 단계에서 산소분압과 산소포화도 확인이었고, 기술 수행에서는 중재 단계의 호흡곤란 완화 간호가 높았다. 사정 단계의 검사 확인은 지식 적용 및 기술 수행 영역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OSCE 수행 평가에서는 흡인 수행 능력에서는 사용한 물품 정리 및 수행 후 손씻기, 산소 공급에서는 급습기 멸균증류수 확인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잘 수행된 항목보다 수행되지 못한 항목이 흡인과 산소 공급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나 기본간호술기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 해결 능력과 학습 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 해결 능력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시뮬레이션 교육 시행 후 문제 해결 능력에 따라 학습 만족도가 높으므로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아동간호영역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기본간호술기 수행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활발히 운영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뇌성마비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자가간호수행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Self-Care Activities of the Cerebral Palsied Adolescents)

  • 홍희숙;이명화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4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self-care activities of the cerebral palsied adolescents and to gain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f the cerebral palsied adolescent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0 cerebral palsied adolescents attending at special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 and rehabilitation centers located in Seoul, Kyonggi and Kyongnam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20 to July 20, 2000.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self-concept scale(50items 4point scale) and self-care activities scale(29items 4point scale). Self-Concept Scale had developed by Fitt(1965), which was standardized by Chung(1968) and modified by Kim(1984). Self-Care Activities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rough out the consulting of expert and pilot study on the basis of ADL check list developed by Kang(1984) and LDSQ-3(Lambeth Disability Screening Questionnair-3) developed by Na et al. (1995).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PC+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self-concept was $138.55{\pm}17.20$(range: 50-100), which the item mean score was $2.77{\pm}0.34$(range: 1-4). The score of subarea of the self-concept was the highest score in family self ($3.01{\pm}0.54$) and the lowest score in physical self ($2.52{\pm}0.42$). 2. The mean score of self-care activities was $95.25{\pm}21.69$ (range: 29-116), which the item mean score was $3.28{\pm}0.75$ (range: 1-4). The score of subarea of the self-care activities was the highest score in feeding($3.75{\pm}0.59$) and the lowest score in walking($2.64{\pm}1.21$).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age (F=3.24, P=.04), the grads (F=4.36, P=.01), and types of cerebral palsy (F=2.42, P=.03).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self-ca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ge (F=8.29, P=.00), the grads (F=16.05, P=.00), types of living place (F=6.46, P=.00), types of cerebral palsy (F=48.92, P=.00), whether or not receiving a rehabilitation therapy (t=-3.64, P=.00), whether or not receiving a vocational training (t=2.14, P=.03), and whether or not using a device (t=-7.42, P=.00). 5. There wa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self-care activities (r=.081, P=.31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