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물리 오개념 비교 (Comparing Misconceptions of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Physics Classes)

  • 권성기;김지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476-48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 학생들의 열, 전자기, 힘, 빛 개념을 중심으로 한 물리 영역에 대한 오개념을 조사하여,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을 비교하여 개념의 이해도, 오개념의 유형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대구 지역의 영재교육원의 과학 영재 75명과 동일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두 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48명을 표집했다. 선행 연구와 교육 과정 분석을 통해 물리 영역에 대한 초등학교에서 갖추어야 할 개념을 선정한 후, 기존의 물리영역에 대한 개념 검사 도구를 보완 및 수정하여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일부는 개발하여 선택형과 진술형으로 초등학교 물리 오개념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20문항으로 구성된 그 검사 도구는 열개념, 전자기 개념, 힘 개념, 빛 개념을 대상으로 하며 각 개념별로 5가지의 하위 개념을 조사하였다. 진술형 문항에 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영재학생과 일반 학생의 물리 개념의 이해도 차이를 분석하였고, 선택형 문항에 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오개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열 개념, 전자기 개념, 힘 개념, 빛 개념에서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 이해도가 비교적 낮았으나, 과학 영재 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모든 물리 영역에서 개념 이해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과학 영재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물리 영역에 대한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 과학 영재 학생이나 일반 학생 모두 개념 이해도가 전자기 개념, 열 개념, 힘 개념, 빛 개념 순으로 낮아져서 과학 영재 학생이나 일반 학생이 각각서로 다른 어떤 특정 개념의 이해에 곤란을 겪는 것은 아니고, 동일 개념에 대해 비슷한 난이도를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대부분 비슷한 오개념 유형을 나타냈으며 과학 영재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오개념을 적게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도 일반 학생처럼 과학에 대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지만, 오개념이 정착되지 않아 학습 후 과학적 개념으로 쉽게 수정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The Comparis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Children's Characteristics on Reasoning Patterns in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es)

  • 이수진;배진호;김은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567-581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patterns of reasoning of both the scientifically-gifted and children of average ability as witnessed in their science problem solving skills. Science problem solving skills are one of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and by using methods such as individual interviews, inductive reasoning, abductive reasoning, and deductive reaso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hildren can be to be further explored and categorized. The study also compared the findings with those of average children.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efficient guidelines fur teaching the scientifically-gifted, to come up with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relevant programs, and to find suggestions for identifying such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scientifically-gifted were better than that of the average students. Secondly, all of the three reasoning patterns used revealed in creative science solving processes were different between the gifted and the average, especially in terms of abductive reasoning, which was proved to reveal the greatest disti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 PDF

과학영재교육센터 교육체제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dvancing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Gifted Youth)

  • 정원우;권용주;황석근
    • 영재교육연구
    • /
    • 제9권2호
    • /
    • pp.73-10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advanced system for educating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in the Center for Science Talented Education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everal suggestions based on analysis of current identifying-proces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were provided for advancing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center. First, this study suggested a three-step procedure to identify procedure emphasized students reasoning skills as one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 Second, this study provided an instructional model for developing hypothesis testing skills in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The model was originally based on Lawson's scientific reasoning processes and learning cycle mode. Third, this study also suggested an effectiv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Center for Science Talented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ways on research works for advancing the center, educating instructors, the cyber center for remote education, and international co-works for developing the gifted children's potential abilities.

  • PDF

과학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Skills)

  • 심혜진;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532-547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CSPS) process amongst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through the qualitative think-aloud research method,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ir CSP,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process skills, creative thinking, and finally, the affective domain used in their CSP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wo scientifically-gifted 6th grade students and one average student were selected. The results show that one gifted student with good creative thinking skills exhibited better performance in CSPS than the other gifted student, who had the highest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ase of the average student, in spite of her high level of factual knowledge, she had difficulty in proceeding in CSPS due to her shallow scientific knowledge along with her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given problem.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uccessful CSPS and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ducation of scientifically-gifted children. These factors were identified as scientific knowledge, understanding of the scientific process, creative thinking, the affective domain, and science problem solving skills.

  • PDF

뇌의 인지기능 특성을 통한 과학 영재성 판별 (Identifying the scientifically giftedness through brain's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stics)

  • 하종덕;송경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77-100
    • /
    • 2005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 동안 실시 되어온 과학영재성 판별방법과는 다른 접근을 시도하고자 수행되었다. 즉 그 동안의 판별은 주로 인지수행의 결과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본다면, 본 연구는 인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영재성 판별 및 뇌기능 연구방법과 뇌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문헌고찰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중 과학영재아 11명, 일반아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PC용 뇌파측정기를 통해 과학영재아와 일반아들의 뇌파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아들은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제를 수행 중에 좌뇌 보다는 우뇌의 활성도가 높았고, 평소와는 달리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 과제를 수행 중에는 좌.우뇌의 뇌파 특성이 모두 일반아들에 비해 세타파와 알파파의 활성도가 높았다. 또한 과학영재아들은 평소 특정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력과 같은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중에서 세타파의 활성도가 높고, 그 차이는 좌뇌에서 보다는 우뇌에서 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특정과제 수행 하에서의 뇌파특성은 과학영재 판별의 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과학 실험을 왜 할까? : 초등과학 영재아들이 생각하는 과학 실험의 목적 (Why do We do Science Experiments? :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Experiments)

  • 정용재;장명덕;김한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2호
    • /
    • pp.189-203
    • /
    • 2011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ews of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about the purpose of scientists' experiments and school science experiments. The children's views were examined using a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And then the responses from the children were analyzed with categorizati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tists' experiments and school science experiments were classified to 2 top-level, 5 mid-level and 21 sub-level categori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 considered internal values of doing experiments are more worthy than the social and personal usefulness of the experiments. Third, the gifted children mentioned most frequently that the purposes of the scientist experiment is 'to get the evidences for their theory and argument which is unusual in the regular children's views. Also the discovery of new phenomena and materials, and the generation of new theories and ideas were mentioned as purposes of the scientist experiments. Fourth, the students frequently stated that school science experiments support effective learning of science subject enhancing subject interests and better explanation/understanding. Fifth, relatively many students thought that the purposes of school science experiments are different with those of scientist experiment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some educational suggestions are discussed.

과학자를 소재로 한 초등과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 Biographies of Scientists)

  • 박문영;이면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507-521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cience program using scientists as the material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in teaching science to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program included low modules, each of which was devised based on the literature examination of the lives, scientific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of four scientists: Ju-Myeong Seok, Jang-Chun Woo, L. Pasteur, and M. Curie. In this study, the four modules were applied and taught to fifteen gifted children in the 6th grade. After the program was taught to the children, post-questionnaires, examination of the subjects' output, in-depth interviews and classroom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and analyzed by the resear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showed a considerable amount of interest in the program, participated actively and enthusiastically in the given tasks until they solved the problems, and their output produced a number of novel ideas. The results of the post-questionnaires indicated that the program was appropriate fer the subjects and effective in teaching scientifically-gifted children. Moreover, the analysis of the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showed that the subjects had opportunities to think about scientific attitud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society and nations, the contributions that scientists can possibly make to society, and the identity of scientists, despite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 children.

  • PDF

정보영재아동의 정보과목과 과학과목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Information Subject and Science Subject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 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79-286
    • /
    • 2015
  • 현재 영재교육은 정부방침에 따라 융합형태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에 있어서 정보과목과 과학과목(물리, 화학, 생물, 지학)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정보과목과 생물과목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즉 정보과목을 잘하면 생물과목도 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머지 물리, 화학 및 지구과학과목에 대해서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에 있어서 과학과목의 비중, 교육내용의 구성 등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과학 영재아 부모들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A Study on the Parents of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Emphasis on the Recogni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 민보경;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23-831
    • /
    • 2008
  • 본 연구는 과학 영재아 부모들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부모교육과 프로그램에 관해 영재아 부모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설문지 신뢰도 Chronbach ${\alpha}=0.93$)를 개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과학 영재아 부모들은 121명이었다. 과학 영재아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 영재아 부모들은 부모교육을 필요로 하지만 그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부모들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으로 영재의 진로 지도와 창의성 교육, 상담과 토론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자녀의 진로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있는 부모들이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더 주장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 학생의 학습습관 및 시험불안 비교: 사이버교육센터의 수.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A Comparison of Study Habits and Test Anxiety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in Middle-School Children: Math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Gifted at Cyber Education Center and Non-gifted As Subjects)

  • 문정화;김선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831-84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교육센터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중학교 수 과학 영재와 일반 중학생의 학습습관과 시험불안에서의 차이 및 학습습관과 시험불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KAIST 사이버과학영재교육센터 수강생 중 중학교 1~3학년 영재 183명(남 127명, 여 56명), 서울 및 수도권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1~3학년 254명(남 128명, 여 126명)이다. 연구결과, 영재집단이 일반집단에 비해 학습습관이 더 우수하여, 학습과정에서 주의집중을 잘하고 학습 방법이나 요령이 더 능률적이며, 예습이나 복습을 더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험불안의 경우 영재집단이 일반 집단보다 더 낮게 측정되어 시험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나타나는 염려나 걱정 등을 덜 하고, 시험 상황에서 초조와 긴장과 같은 신체적 반응이 덜 나타났다. 또한 학습습관과 시험 불안은 전체집단에서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여 학습습관이 우수할수록 시험불안이 낮은 경향성이 있었다. 그러나 일반집단에서 시험불안과 학습습관의 하위변인인 학습기술적용행동 및 자율학습행동 간에는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