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emotion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학습정서와 과학적 상상력 비교 (Comparison of Science Academic Emotion and Scientific Imagination of Students between a Science Gifted Class and a Gener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 안태훈;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2호
    • /
    • pp.155-16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ience academic emotion and scientific imagination of students between a science gifted class and a gener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Sample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212 fifth and sixth grader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scientific academic emotion of students in a science gift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class. Second, boredom and laziness of negative scientific academic emotion were higher scores in general students, whereas, angry area was higher scores of students in a science gifted class. Third, scientific imagination of students in a science gift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class. Fourth, both groups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imagination and positive science academic emotion. Especially, interest area of positive scientific academic emotion in both of the two groups influenced scientific imagination.

정서의 심리적 모델: 개별 정서 모델, 평가 모델, 차원 모델을 중심으로 (Review on Discrete, Appraisal, and Dimensional Models of Emotion)

  • 손진훈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9-186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is to review three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s that explain scientific construct of emotion, that are the discrete emotion model, appraisal model, and dimensional model. Background: To develop emotion sensitive interface is the fusion area of emotion and scientific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have a balanced mixture of both the scientific theory of emotion and practical engineering technology. Extensional theories of the emotional structure can provide engineers with relevant knowledge in functional application of the systems.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literature review on the basic emotion model and the circuit model of discrete emotion model as well as representative theories was done. Secondly, review on the classical and modern theories of the appraisal model emphasizing cognitive appraisal in emotion provoking events was conducted. Lastly, a review on dimensional theories describing emotion by dimensions and representative theories was conducted. Results: The paper compared the three models based on the prime points of the each model. In addition, this paper also made a comment on a need for a comprehensive model an alternative to each model, which is componential model by Scherer(2001) describing numerous emotional aspects. Conclusion: However, this review suggests a need for an evolved comprehensive model taking consideration of social context effect and discrete neural circuit while pinpointing the limitation of componential model. Application: Insight obtained by extensive scientific research in human emotion can be valuable in development of emotion sensitive interface and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과학적 관찰과 규칙성 발견 활동에서 나타나는 감성단어 유형과 과학 지식 생성력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Types of Emotional Words and Abilities of Science-Knowledge Generation in Students' Scientific Observation and Rule-Discovery)

  • 권용주;신동훈;한혜영;박윤복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06-111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학생들이 과학적 관찰 및 규칙 발견 활동을 수행할 때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 단어의 유형과 빈도, 강도를 분석하고, 둘째, 과학 지식 생성력과 과학적 감성지수(ISE)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과학적 감성을 정의하고, 효과적인 지식 생성 활동을 위해 겨울눈과 화석 관찰, 씨앗과 암석 분류의 4개의 과제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원양성대학교 4학년 학생 161명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각 과제를 수행하면서 인지적 사고과정과 느낀 과학적 감성을 기록하고 형용사 이모티콘 척도 용지에 자신의 감성 강도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관찰 활동에서는 '흥미-수용-사랑-거부' 의 순으로 감성유형이 나타났고, 규칙성 발견 활동에서는 '흥미-거부-수용-기대' 의 순으로 감성유형이 나타났다 각각의 감성 단어 빈도는 감성 강도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학적 감성 빈도(FSE)와 과학적 감성 강도(SSE)를 곱한 과학적 감성지수(ISE)는 과학적 감성능력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과학 지식 생성력과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개별적인 과학적 감성 지수에서는 '수용-사랑-슬픔-흥미' 순으로 과학 지식 생성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AE-Artificial Emotion

  • Xuyan, Tu;Liqun, Ha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146-149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the concept of “Artificial Emotion”(AE). The goal of AE is simulation, extension and expansion of natural emotion, especially human emotion. The object of AE is machine emotion and emotion machine. The contents of AE are emotion recognition, emotion measurement, emotion understanding emotion representation emotion generation, emotion processing, emotion control and emotion communication. The methodology, technology, scientific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value of artificial emotion are discussed

  • PDF

과학 교육에서 정서 연구의 역사와 최근 동향에 관한 고찰 (A Review of the History of and Recent Trends on Emo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오필석;한문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3-11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육에서 정서 연구의 역사를 살펴보고 최근 연구 동향을 탐색하여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들에 대해 고찰하고 그 내용을 연구 문제에 따라 정리하였다. 그 결과, 과학 교육에서 정서 연구는 여러 가지 개념이 혼재된 상태에서 출발하여 과학적 태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가 구분되면서 좀 더 체계적인 면모를 갖추게 되었고, 이후 과학 학습에 관련된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로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인지와 정서 사이에는 복잡한 관계가 있으며, 정서를 과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인 요인으로만 취급하는 이분법적인 시도에 제한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는 달리 최근 인식적 정서에 관한 연구는 과학적 실천에 정서가 동반되고 인지와 정서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통합되어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적 실천을 통해 과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를 이해하고 부정적인 정서까지도 교육적으로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생물분류탐구과정에서 호르몬 변화를 이용한 부정감성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Negative Emotion Prediction Model by Cortisol-Hormonal Change During the Biological Classification)

  • 박진선;이일선;이준기;권용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185-192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생물분류탐구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정감성을 호르몬 변화로 예측할 수 있는 부정감성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적인 과학 탐구가 가능하도록 깃털 분류 탐구 활동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호르몬 변화 측정에 문제가 없는 서울, 안산, 청주 소재 중학교 2학년 47명(남 18, 여 29)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개인별로 깃털 분류 탐구 활동을 수행하였다. 깃털 분류 탐구 활동 전과 후에 형용사 이모티콘 척도법을 이용하여 부정감성 검사를 하였고, 타액 시료를 채취하여 코르티솔 호르몬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정감성 변화량과 타액 코르티솔 변화량 사이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R=0.39, P<0.001)가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생물분류탐구에서 나타나는 타액 코르티솔 변화량을 이용한 부정감성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 PDF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에세이 쓰기 활동에서의 과학적 사고력과 감성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tific Thinking and Emotions in Writing a Science Essay)

  • 임성만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341-350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과학적 사고력과 과학적 감성을 계발하기 위한 과학 에세이 쓰기 활동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G지역의 교사 양성 기관에 다니고 있는 1학년 학생 60명이 선택되었다. 60명의 초등 예비교사는 모두 '과학 탐구'와 관련된 교양 강의를 선택한 학생들이었다. 연구결과, 과학적 사고력과 관련된 글에서는 과학적인 방법인 '귀납'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과학적 감성과 관련된 글에서는 이야기의 배경, 매개체, 목적과 관련된 서술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초등 예비교사들은 글쓰기가 거듭되면서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과학'에 대한 이미지도 많은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번 연구는 과학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 다양하고 흥미로운 과학 탐구 활동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생물학 가설의 생성에서 나타난 과학적 감성의 생성 과정 (The Generating Processes of Scientific Emotion in the Generation of Biological Hypotheses)

  • 권용주;신동훈;박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03-513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학 가설 생성 중에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 생성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먼저 예비연구를 통해 잠정적 모형을 구성하고, 사고 발성법 훈련 계획을 확정하고, 표준화된 면접지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고 발성법과 회상적 면접법, 심층 면접을 이용한 삼각측정법으로 언어적 프로토콜과 행동 프로토콜을 수집하였다. 잠정적 모형을 근거를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이 분석틀을 이용하여 부호화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부호화 프로토콜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감성 생성의 4가지 유형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생성 유형은 기본 과정으로서 인식하기 전에 먼저 느끼는 과정을 설명한다. 두 번째 생성 유형은 회상적 과정으로서 과거의 감성기억이 되살아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세 번째 생성 유형은 인지적 과정으로서 인지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어나는 일련의 사고 과정에서 생성되는 감성을 설명한다. 네 번째 생성 유형은 귀인 과정으로서 인지적 목표의 달성 여부에 대한 귀인평가 과정에서 생성되는 감성을 설명한다. 기본 과정에서 생성한 감성은 기본 감성이라 하고, 회상 과정에서 생성한 감성은 회상 감성이라 하고, 인지적 과정에서 생성한 감성은 인지적 감성이라 하고, 귀인 과정에서 생성한 감성은 귀인감성이라 한다. 개발된 과학적 감성 생성 과정 유형은 감성 생성 과정 모형 개발과 감성적 두뇌 기반 학습 전략 수립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격자 증언 맥락에서 정서의 기능에 관한 서술적 고찰 (A Descriptive Study on the Function of Emotion in the Context of Eyewitness Testimony)

  • 이승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67-278
    • /
    • 2022
  • 본 연구는 목격자 증언 맥락에서 진술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의 기능에 관한 문헌 고찰을 시도하였다. 목격자 증언의 정확성과 정서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에서 소개된 주요 이론과 개념들, 연구 방법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해당 결과는 정서의 정의, 정서 유도 방식, 정서 측정 방식 순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정 정서, 각성, 스트레스, 기분을 중심으로 정서의 정의를 기술하였고, 정서 유도 방식은 실험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영상, 가상현실, 연구자가 연출한 모의 사건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정서 측정 방식은 자기보고식, 행동 측정, 정신생리학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객관적이고 과학적 정서 연구를 위한 접근 방식, 적절한 실험 설계와 기억 검사, 개인차 통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목격자 증언 맥락에서 진술 정확성에 미치는 정서의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선행 연구의 비일관된 결과를 검토하고, 관련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는 구조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이와 같은 지식은 목격자 증언의 신뢰성 판단에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캐주얼 티셔츠의 디자인 요소가 소비자 감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sign Factors from Casual T-shirt on Sensibility of Consumer)

  • 남혜진;이주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6권4호
    • /
    • pp.51-6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캐주얼 티셔츠의 디자인을 평가하는 감성 요소를 도출하고, 이것이 소비자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캐주얼 티셔츠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캐주얼 티셔츠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감성의 주요 하위차원으로는 맵시,평범성, 활동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캐주얼 티셔츠의 collar형태, 장식유형, 로고의 위치와 크기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소비자 감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의미 있는 감성 효과를 나타난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캐주얼 티셔츠의 디자인 기획 시에 체계적인 평가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