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cientific achievement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 학업 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Logical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전성수;박종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47-655
    • /
    • 2014
  •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이 학업성취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SCST), 과학 탐구능력 검사(TSPS), 논리적 사고력 검사(GALT)를 실시하였으며, 과학교과지필 평가와 과학교과 서술형 평가, 전체교과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각각의 능력의 하위 요소별로 학업 성취도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영향을 주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업성취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아래세 가지 유형의 성취도평가와의 상관관계를 구조적인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세 능력은 학습자의 과학교과 지필, 과학교과 서술형, 전체교과 학업 성취도 수준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하위 요소별로 그 상관정도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주고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전체 교과에 대한 학업 성취도 수준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의 효과 (The Effects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 김지영;성숙경;박종윤;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57-767
    • /
    • 2002
  •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과학탐구능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탐구실험 수업이 소집단의 구성방식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지수준이 동질인 집단과 이질인 집단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255명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실험 수업을 1년간 적용한 후 과학 학업성취도, 과학탐구능력, 학습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탐구실험은 이끌어내기, 친숙해지기, 구성하기, 확장하기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찰 현상을 학습과 연관시키고 실험을 설계하며 결론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통해 동료 및 교사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과학탐구능력 및 학습동기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모든 인지수준의 학생들에게 효과가 나타난 것은 아니었으나 대부분의 인지 수준에서 학업성취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학업성취에 비해 과학탐구능력의 향상정도가 낮았다. 소집단 구성에 따른 효과에서는 동질집단이 이질집단에 비해 성취도와 학습동기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탐구실험에서 상호작용이 중요하며,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성취도와 탐구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Name Card 기법을 적용한 초등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lementary Science Class with Name Card Method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 양승원;배진호;소금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1호
    • /
    • pp.129-13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elementary science class using name card method on scientific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Two sixth grade classe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o tre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lementary science class using name card method. General class according to teacher manual was implemented for the comparison group. Elementary science class applying name card method was conducted for 10 session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of 8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ience class with name card method was effective in improving scientific learning motivation. Second, elementary science class with name card method had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scientific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ience class with name card method was effective for scientific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고교생의 성별에 따른 과학과목의 성취도 차이의 원인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Causes of Sex Difference in Science Achievements by High School Students)

  • 이문원;조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7
    • /
    • 1985
  • It is well known that high school girls' mean achievement levels in science tests are lower than high school boys' and that fewer women than men are employed as scientists and engineers pursue scientific careers. Many research attributed the sex difference in achievement level in science and the lack of women in science among others, to the experiential differences in scientific activities and the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tists. Therefore, the study had its object to examine the sex difference by high school students in scientific experience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tists. The differences in science experiences were identified at eight schools over rural and urban areas in Kangwon province. Science activities surveyed included use of experimental materials and instruments, observation of scientific phenomena, and extracurricular scientific activities. Attitude scale contained the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research methods and philosophical views held by scientists. The study found sex differences in scientific experiences and attitudes. i. e.: fewer high school girls than boys had experience with scientific activities, especially wi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owever, girls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more active desire to participate in science. Consequently, the study implies that, in order to narrow the gaps between achievement levels for boys and girls, science education should take consideration of the sex difference in experiences with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 PDF

통합과학, 화학 I, 화학 II의 성취기준과 교과서 활동 및 평가 문항의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산·염기·중화반응'과 '산화·환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Activities, and Assessment Items in Integrated Science, Chemistry I, Chemistry II Textbooks on Science Core Competency: Focusing on Acid·Base·Neutralization and Oxidation·Reduction)

  • 고은아;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6호
    • /
    • pp.486-50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5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과학, 화학 I, 화학 II의 '산·염기·중화반응', '산화·환원' 관련 성취기준과 교과서 활동 및 평가 문항을 과학과 핵심역량과 과학과 핵심역량별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통합과학의 성취기준에는 과학적 사고력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순으로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나, 화학 I의 성취기준에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포함되어 있었고, 화학 II의 성취기준에는 과학적 사고력만 포함되어 있었다. 통합과학, 화학 I, 화학II 교과서의 '산·염기·중화반응', '산화·환원' 활동에는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고, 각 교과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사고력이 높은 비율로 포함되어 있었다. 통합과학, 화학 I, 화학 II 교과서의 '산·염기·중화반응', '산화·환원' 평가 문항에도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며, 각 교과에서 모두 과학적 사고력이 포함된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애니메이션 제작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s of STEAM Program Utilizing Animation Production about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Our Body')

  • 이상호;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63-27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EAM program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we developed a STEAM program to utilize animation production about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our body' unit in 5th grade. The STEAM program was developed for a total of 9 sessions and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theoretical lesson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as consisted of 11 sessions and was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results of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TEAM program and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the domains of subject contents and teacher preference, which are the areas of scientific interest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is means that the STEAM program to utilize animation production about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our body'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positively influenced the academic achievement,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we need to develop STEAM programs more variously that utilize animation production and that it needs to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s.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성취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이경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15-425
    • /
    • 1998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성취도간의 관계와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성취도간의 관계와 차이가 성별, 지역별, 학년별로 조사되었다. 404명의 학생들이 군집 표집에 의해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하여 2개의 도구가 사용되었는데, 하나는 이경훈(1996, 1997)이 개발한 과학에 대한 태도의 ABC 척도와 수정과 학적태도척도(MSAS) 이다. 1.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5단계 평정 척도로 3.24로 중립적인 경향에서 약간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타났다. 2. 고등학생의 과학적 태도는 5단계 평정 척도로 3.37로 중립적인 경향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개방성>비판성>판단유보>객관성>정직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과학에 대한 태도는 대도시보다 중소 규모의 도시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학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있다. 그리고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 역시 대도시보다 중소 규모의 도시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학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여학생과 남학생틀의 과학적 태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는 0.5716 의 높은 상관을 보이는 반면에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는 0.2940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적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상관은 그보다 낮은 0.2340 올 나타냈다. 5. 조사 집단의 도시 유형별, 학년별, 성별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의 차이를 알아 보기위해 변량분석(ANOVA)을 한 결과 집단간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집단별로 과학적 태도를 통제한 후 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집단간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학에 대한 태도를 통제하고 과학적 태도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투입 시기가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과학적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Science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Achiev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Input time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 백남권;안영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2호
    • /
    • pp.123-130
    • /
    • 2004
  •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effects on Science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Achiev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Input time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As the object of the study, seventy-two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ree classes in the fifth grade of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T, Gyungsangnam-do. They were classified into the three groups such as Group A (Class 1), Group B (Class 2) and Group C (Class 3). The author threw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into the begining of a unit, during a unit, the end of a unit to each group, and explored the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learning effect of science inquiry ability, it was indicated that there was the highest effect in the case of throwing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into during a unit, but the effect reduced a little in the case of throwing them into the end of a unit. Secondly, the scientific attitudes tended to be reduced in the case of throwing them into during a unit, but there did not occur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irdly,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science achievement tended to be highest in the case of throwing them into the end of a unit. Such findings indicated that the time of throwing in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affected science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us, it will be said that teachers need to teach their students with the class strategies of considering various scientific elements revealed at the time of throwing in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 PDF

스토리텔링 활용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과학 관련 태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Instruction with Storytelling on the Achievement,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Interest in Elementary School)

  • 김효정;유병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7-220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instruction with storytelling on the achievement, attitude and interest in science. For this study, two classe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class and comparative class. All the resul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class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lastic achievement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class. However, the results of the t-test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due to achievement level showed a positive effect in the average level of students. And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ction of 'Combustion and Extinguishment'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the effect of instruction with storytelling on the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As a result of analysis by sub categories of science-related attitudes, storytelling was effective in attitude toward scie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ientific attitude. Third, instruction with storytelling didn't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in scientific interest. However, in the sub-part, they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in attention and satisfaction.

3차원 과학 평가틀을 활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분석 -초등학교 지구과학교과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tems using three dimensional scientific assessment framework)

  • 김은정;한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48-256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tems surveying to sixth-year student in elementary school utilizing three dimentional scientific assessment framework.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ing. Science contents territory of national level study achievements estimation were set a problem energy, substance, life, earth relatively evenly. Action territory was set a problem most 'Comprehension' territory. In the case of science situation area, 'Purity scientific situation' among 5 category appeared the mo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