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cience subject selection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6초

다양한 형상의 동일 기종 항공기에 대한 성능개량 최적 구현 방안 연구 (The Study of Optimal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for Aircraft of Various Variants within the Same Type)

  • 김영일;안승범;최명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1-320
    • /
    • 2022
  •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optimal method of improving performance for aircraft having various variants within the same type. The study defined configuration of an entire fleet of aircraft being subject to a performance improvement program. And selected the most complicated aircraft configuration among them as a Standard Aircraft for modification by according to the proposed Aircraft Selection Process for developing an optimal Aircraft Performance Improvement Process. Based on the selected the Standard Aircraft, drew a system integration design result and carried out Evaluation Test and obtained Airworthiness Certification. Created the database with the design data of the Standard Aircraft, Evaluation Test, and Airworthiness Certification results, and applied it to variants of aircraft to complet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program with optimized schedules and costs.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IFF performance improvement program, drew optimal system integration design and completed the program with minimized schedule.

Bayesian mixed models for longitudinal genetic data: theory, concepts, and simulation studies

  • Chung, Wonil;Cho, Youngkwa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0권1호
    • /
    • pp.8.1-8.14
    • /
    • 2022
  • Despite the success of recent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investigating longitudinal traits, a large fraction of overall heritability remains unexplained. This suggests that some of the missing heritability may be accounted for by gene-gene and gene-time/environment interactions. In this paper, we develop a Bayesian variable selection method for longitudinal genetic data based on mixed models. The method jointly models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s of all candidate genetic variants and non-genetic factors and has higher statistical power than previous approaches. To account for the within-subject dependence structure, we propose a grid-based approach that models only one fixed-dimensional covariance matrix, which is thus applicable to data where subjects have different numbers of time points. We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of our Bayesian method and then illustrate its performance using data from the 1000 Genome Project with various simulation settings. Several simulation studies show that our multivariate method increases the statistical power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univariate method and can detect gene-time/ environment interactions well. We further evaluate our method with different numbers of individuals, variants, and causal variants, as well as different trait-heritability, and conclude that our method performs reasonably well with various simulation settings.

공공도서관의 복지서비스정보 제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vision of Welfare Service Information in Public Libraries)

  • 김영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87-408
    • /
    • 2023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복지서비스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논하고, 복지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선정·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조사, 사례조사, 설문조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86.7%는 공공도서관의 복지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복지정보는 그 생산주체에 따라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복지정보 수집·선정은 네 가지 정보 유형에 따라 달리한다. 복지정보는 그 유형 및 도서관의 종류에 따라 정보의 구성 요소를 달리해서 제공한다.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복지정보를 제공하고, 이 경우 복지정보를 웹페이지 형태와 게시판을 이용하여 홈페이지에 올린다.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 및 균형성에 대한 예비 교사 및 현직 교사의 인식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oherence and Balance of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 이기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23-39
    • /
    • 2013
  • 자신이 경험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과학 교사가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정합성과 균형성에 초점을 맞춰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프로그램을 이수한 20명의 예비 교사와 39명의 현직 교사가 참여 하였으며, 선택형 및 개방형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보통' 정도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계획 및 준비'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높은 것으로, '직업적 책무'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4개 범주 모두에서 예비 교사에 비해 현직 교사가 프로그램의 정합성을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균형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모두 이론적 요소에 비해 실천적 요소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행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이 임용 고사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4개 영역(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일반교육학, 교생실습)이 학교 현장과 보다 더 연계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정합적이고 균형적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위한 대안적 방법을 논의하였다.

  • PDF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 (The Preference for Science of the Elementary Students)

  • 전우수;임성민;윤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81-9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the promoting plan of science preference by survey and analysis of the preference for science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e preference for science is defined theoretically with three categories ; they are emotional response, behavioral response and value establishment. Causal factors of the science preference were composed of individual factor, educational factor and social factor. According to this theoretical model,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696 students of 4,5,6 grade of randomly selected eight elementary schools all over the nation. Elementary students liked science, but they didn't want to select their future job in science-technology area. The science preference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The science preference of 4th grad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dividual factor affected the curiosity. learning interest, subject accomplishment on the science and course selection in life. Educational factor not only directly affected the curiosity. learning interest, value establishment and belief of the science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the individual factor and social factor. Therefore, educational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on the science preference. Social factor only affected the value establishment and belief on the science. Elementary students wanted to team science through experiment and they wanted science to be easier than that of now. On the analysis of result, the promoting plan of the science preference was suggested.

  • PDF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중 주제선정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Investigation on the Difficulties During Middle School Students' Finding Inquiry Topics on Open-Inquiry Activities)

  • 정우경;이준기;오상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99-1213
    • /
    • 2011
  • 이 연구는 자유탐구의 주제 선정과정에서 중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 11명이 참여하였고, 자유탐구 활동지와 심층면담의 분석을 통해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자유탐구를 경험하면서 주제선정단계에서 한번 이상의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어려움의 경중은 개인차가 있었지만 주제 선정과정의 체계화된 안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자유탐구활동의 주제선정단계 중 탐구대상선정의 어려움으로는 제한 없는 탐구대상 선정에 대한 부담감, 과학적 탐구대상의 이해 부족,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호기심 부족이 나타났다. 탐구대상을 제한하는 것에 대해서는 학생 선택이 필요하다. 대상선택의 기회제공 유무를 판단하여 자유탐구의 본 취지가 수용된 전략적 지도가 필요하다. 자유탐구활동의 주제선정단계에서는 과학적이지 못한 주제 선정, 단답형식의 해결 가능한 주제 선정, 탐구의 실현 가능성 여부, 주제에 관한 선언적 지식의 부족, 재미에만 집중된 주제를 선택하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학생들은 자유탐구활동에 대한 경험 부족, 주제선정단계별 실패로 인한 흥미 저하, 자유탐구활동 자체에 대한 부담감을 이유로 자유탐구활동을 중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탐구활동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 주제선정단계에 대한 구조화된 안내가 이루어져야 한다.

휴양림 조성 대상지 선정을 위한 타당성 평가 연구 - 경기도 광주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easibility Assessment for Selecting Recreation Forest Sites: The Case of Gwangju-si in Gyeonggi-do)

  • 서정영;염성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959-969
    • /
    • 2019
  • This study sought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by develop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which is the base of ecotourism recreation, through utilizing forest resource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f Gwangju-si. The study conducted a feasibility assessment through on-site surveys such as the suitability of the candidate sites, location analysis, and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forest, before developing recreation forest sites in Gwangju-si and, based on the result, selected appropriate subject sites. The candidates for this study were 5 forest sites such as one site in the Mokheon-dong area, two in the Docheok-myeon area, and one in the Toechon-myeon area. For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was surveyed, its feasibility index and assessment process were investigated, and the local status and related regulations of Gyeonggi-do and Gwangju-si were reviewed. The final subject sites were selected after feasibility assessment utilizing assessment index in order to evaluate the candidate sites. The feasibility assessment was conducted after three separate on-site surveys for each candidate site between October 2018 and January 2019 utilizing "The Feasibility Assessment Criteria for Natural Recreation Forest (Notification 2018-71)" of the Korean Forest Service. The items instrumental to the feasibility assessment were classified into landscape, location, water system, induction of recreation, and development condition; the assessment was made after redefining each item into detailed items. Through this process, the Usan-ri area was selected as the final site for developing natural recreation forest, having obtained more than 100 points according to "The Feasibility Assessment Criteria for Natural Recreation Forest" of the Korean Forest Service. In order to develop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the Usan-ri area in the future, further discussion is necessary with the relevant depart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ecological zoning map.

과학과 기술의 관계 (Relation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 김유신
    • 공학교육연구
    • /
    • 제1권1호
    • /
    • pp.57-79
    • /
    • 1998
  • 이 논문에서는 과학과 기술의 관계에 대해 기술은 응용 과학이라는 계층적 모델을 비판하고, 그 둘은 서로 독자적 영역을 가지면서 상호작용 한다는 상호작용 모델을 옹호한다. 상호작용은 모델에 의하면, 기술은 비록 과학으로부터 많은 지식을 빌려오지만 과학으로부터 오지않은 자신의 지식영역이 있다. 기술을 구성하는 여러 성분 중에서 특히 공학과학으로서의 기술에 중점을 두었고, 공학과학의 핵심을 설계에 있다는 것을 이야기 하고 공학설계의 특성에 관해 논의했다. 기술적 지식이 과학적 지식과 다른 것 중 하나는 기술적 지식의 변화 모델이 과학적 지식의 변화 모델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기술적 지식의 두 가지 중요한 모델인 쿤 방식의 모델과 변이-선택 모델을 논의하면서 두 모델의 약점을 이야기 했다. 과학과 기술의 상호과학적 지식의 작용은 '매개된 상호작용'이라는 모델을 제시했고 그 모델의 가능성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 했다. 산업계의 연구는 과학과 기술 사이의 상호작용의 한 형태이다. 이 산업계의 연구를 통해서 과학-기술은 점점 구조화되고 자율성을 띈다. 과학자와 공학자는 인격적 주체자이기 보다는 단순히 산업연구 구조의 한 부분이 되어 버린다.

  • PDF

평창지역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작업별 시업전후의 경쟁지수 비교 (Comparison of Competition Indices by Silvicultural Systems Before and After Treatments for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Pyeongchang)

  • 최현권;박병배;성주한;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515-521
    • /
    • 2013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일대의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택벌림화 작업, 이단림화 작업, 그리고 산벌림화 작업의 3가지 작업방법별 시업 전과 시업 후의 경쟁지수 변화를 평가함으로써 산림생태계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30m{\times}30m$(0.09 ha) 크기의 고정표본점을 각 작업방법별로 3반복으로 설치하고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정밀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조사된 자료에 근거하여 Hegyi의 거리종속 경쟁지수를 추정하였으며, 경쟁목의 범위는 중심목의 지표로부터 $50^{\circ}$로 시준된 각도에 의해 경쟁목을 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 작업방법별 그리고 시업 전후의 임분구조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Duncan의 다중검정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작업방법별 시업전후의 경쟁지수를 분석한 결과 작업방법에 관계없이 시업을 통해 임분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시업 전과 시업 후의 경쟁지수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여 각 작업방법별 임분의 공간 구조는 시업을 통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선정책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Books Selected in 'One Book, One City' Community Reading Promotion Campaign in Korea)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65-188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03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현황을 정리하고, 특별히 책의 선정과 관련된 경향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국내 1,170개 공공도서관 및 지자체의 홈페이지, 주요한 독서 및 문화관련 기관, 단체의 홈페이지, 지자체와 도서관의 보도자료 및 신문기사 등을 내용분석 및 문헌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립어린이청소년 도서관의 온라인목록을 검색하여, 2021년 기준 지자체 시행 57개 '한 책' 프로그램 및 그동안 '한 책' 프로그램들에서 선정된 책 729종 1,119권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지자체 시행 57개 '한 책' 프로그램과 이들이 2003년부터 2021년 사이 선정한 책들의 분석은 점점 더 많은 '한 책' 프로그램에서 연령별 책의 분산 선정, 책들 간 주제적 연관성 결여, 청소년수준 책, 신간 및 대중적 화제작 문학책의 선호 등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책의 선정 경향은 한 권의 책을 중심으로 한 집중성 결여를 초래하지만, 동시에 다양한 연령층의 지역주민에 대한 가시성 증대 및 관심계층의 확산이라는 긍정적 효과도 기대되었다. 향후 개별 '한 책' 프로그램의 책 선정의 과정, 목표와의 부합성 등에 대한 보다 심층적 분석과 설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