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n the Difficulties During Middle School Students' Finding Inquiry Topics on Open-Inquiry Activities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중 주제선정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 Received : 2011.09.09
  • Accepted : 2011.11.05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in engaging in open-inquiry activities - especially finding inquiry topics for student themselves.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1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open-inquiry worksheets from 4 months of activities. The investigation tools were composed of three domains for topic choice: selecting subjects, making 10 questions, and choosing a topic with the 10 ques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the domain of 'object selection' and 'finding inquiry topic.' Under the object selection domain, they showed burden of selection of unlimited subject, lack of knowledge on the science object, and lack of interest in object. Under the domain of finding inquiry topic, they have difficulties from their selected topics that were non-scientific, focus only on interest, lack of background information or those that could be resolved by short answers. Each student has difficulty in doing open-inquiry with relatively different seriousnes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an open inquiry program should be provided along with a systematic guide program on finding inquiry topic for open-inquiry activities to be a successful and continual performance gauge.

이 연구는 자유탐구의 주제 선정과정에서 중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 11명이 참여하였고, 자유탐구 활동지와 심층면담의 분석을 통해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자유탐구를 경험하면서 주제선정단계에서 한번 이상의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어려움의 경중은 개인차가 있었지만 주제 선정과정의 체계화된 안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자유탐구활동의 주제선정단계 중 탐구대상선정의 어려움으로는 제한 없는 탐구대상 선정에 대한 부담감, 과학적 탐구대상의 이해 부족,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호기심 부족이 나타났다. 탐구대상을 제한하는 것에 대해서는 학생 선택이 필요하다. 대상선택의 기회제공 유무를 판단하여 자유탐구의 본 취지가 수용된 전략적 지도가 필요하다. 자유탐구활동의 주제선정단계에서는 과학적이지 못한 주제 선정, 단답형식의 해결 가능한 주제 선정, 탐구의 실현 가능성 여부, 주제에 관한 선언적 지식의 부족, 재미에만 집중된 주제를 선택하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학생들은 자유탐구활동에 대한 경험 부족, 주제선정단계별 실패로 인한 흥미 저하, 자유탐구활동 자체에 대한 부담감을 이유로 자유탐구활동을 중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탐구활동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 주제선정단계에 대한 구조화된 안내가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형(2001). 중학생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문제해결 유형과 탐구수준 평가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중등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27(3), 260-268.
  3. 교육과학기술부(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 2007-79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서 III.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4. 교육과학기술부(2009). 중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교육과정평가원.
  5.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김영신(2003). 과학적 가설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58-469.
  6.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1998).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탐구보고서에서 나타난 변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79-301.
  7. 나현영(2011). 효과적인 자유탐구를 위한 단계별 지도방안 탐색.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승재, 조희형(1995). 과학학습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9. 박정희, 김정률, 박예리(2004). 탐구 학습에 관한 중등 과학교사들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731-738.
  10. 박종선, 송영욱, 김범기(2011).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43-152.
  11. 박종호, 김재영, 배진호(2001).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0(20), 271-280.
  12. 신미영, 최승언(2008). 8학년 학생들의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과학방법의 특징. 한국지구과학회지, 29(4), 341-351.
  13.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14. 양문천(2010). 중등 과학교과의 자유탐구 과정에대한 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봉우(2005). 외국 과학교육 과정의 탐구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73-884.
  16. 이혜정, 정진수, 박국태, 권용주(2004).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18-1027.
  17.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 홍은주, 임재근(2010).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91-303.
  18. 전민지(2009). 효과적인 초등학교 과학 자유탐구 지도방안 탐색.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전영석, 전민지(2009). 과학 자유 탐구를 지도할때 발생하는 어려움.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20. 조현준, 한인경, 김효남, 양일호(2008). 초등학교 과학 탐구 수업 실행의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01-921.
  21. 진순희, 장신호(2007).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 교 사들의 지도 경험. 초등 과학교육, 26(2), 181-191.
  22. 한재영, 이지영, 이혜인, 노태희(2006).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열린교육연구, 14(3), 103-117.
  23. Abe-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4), 417-436.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807)82:4<417::AID-SCE1>3.0.CO;2-E
  24. Anderson, R. 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1), 1- 12. https://doi.org/10.1023/A:1015171124982
  25. Christenbury, L & Kelly, P. (1983). Questioning: A path to critical thinking. Urbana, IL: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26. Herron, M. D. (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School Review, 79(2), 171- 212. https://doi.org/10.1086/442968
  27.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Academy Press.
  28. Schwab, J. J. (1960). Inquiry - The Science teacher and the educator. The Science Teacher, 68(2), 176-195.

Cited by

  1. 중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활동 중 물리 영역 탐구문제의 구성과 변인 추출 및 명료화 과정 vol.32, pp.5,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903
  2. 요인 분석을 통한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vol.32, pp.7,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204
  3.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과 실태 vol.23, pp.3, 2011, https://doi.org/10.9722/jgte.2013.23.3.373
  4.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 vol.33,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00
  5. 과학영재의 자유탐구를 안내하는 연구단계별 질문목록 개발 vol.24, pp.1, 2014, https://doi.org/10.9722/jgte.2014.24.1.63
  6.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ree-Inquiry Abilities vol.55, pp.4, 2011, https://doi.org/10.15812/ter.55.4.201612.501
  7. 중학생의 모둠 자유탐구 활동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효과에 대한 연구 vol.45, pp.2, 2011,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2.295
  8. 창의 산출물 활동이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vol.11, pp.3, 2011,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3.193
  9.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모형 개발 vol.40, pp.6,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6.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