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learning strategy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28초

PISA 2015 과학 영역에 나타난 학생 성취수준 집단 및 성별에 따른 교육맥락 변인의 특성 및 영향력 분석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contextual variables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levels and gender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2015 science domain)

  • 구자옥;구남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2호
    • /
    • pp.165-18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PISA 2015의 과학 영역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생의 성취수준 집단 및 성별 집단에 따른 다양한 교육맥락 변인의 특성과 학생들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PISA 2015는 과학이 주영역이었기 때문에 과학 영역과 관련된 교수 학습 변인 및 정의적 특성 관련 변인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서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 환경, 교사의 피드백 등과 같은 교수 학습 특성은 과학 교과의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적 특성을 매개로 과학 성취에도 간접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교사의 지지와 맞춤식 수업 등의 교수 방법은 성취수준이 낮은 집단의 정의적 특성향상에 상대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성취수준 집단 간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 집단에서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교수 학습 환경과 전략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by Science Teachers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 이재천;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5-328
    • /
    • 1999
  •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인식이 어떻게 하면 긍정적인 방향으로 행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가?에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서, 과학수업 과정에서 교사에 의한 학습환경의 분위기나 풍토를 조성하는 심리적 측면이 학생들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년간 동일한 교사로부터 과학수업을 받은 중 고등학교 2, 3학년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교사인식을 바탕으로 심리적 학습환경을 측정하고, 이 환경인식에 따른 과학불안 인식,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탐구능력, 과학성취도와의 관계 및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밝혀진 결과는 심리적 학습 환경은 학생들의 정의적 인식 성향과 인지적 학습결과에 직 간접적인 효과를 주며,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교사가 조성하는 수업태도, 인성특성, 학습분위기, 수업행동, 지원적 행동 등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인 행동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수업의 사태로써 유의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과학 성취에도 의미있게 작용한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 PDF

교과학습과 연계한 학습독서의 실제 (A Practice of Reading to Learn Linking the Subject Learning)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23-441
    • /
    • 2007
  • 독서능력은 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그리고 평생학습능력을 위한 핵심능력이며, 학습독서는 자원기반학습이나 탐구기반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독서의 한 방법으로서 통합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교과교사와의 협력을 통해서 완성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과정과 협동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학습모형으로서 독서기반 정보문제 해결모형을 소개한다.

  • PDF

초등과학 탐구수업에서 문제생성 학습전략의 효과 (The Effect of Question-Generating Strategy for Science Inquiry Instruction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김혜란;최선영;이길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4호
    • /
    • pp.700-70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question-generating strategy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To examine the effects of question-generating strategy this learn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5^{th}$ graders at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Students were taught for 6 weeks. Control group take traditional lessons and solve questions presented textbook. Question generated group generate questions, solve them and feed back by themsel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pil's enhancement of the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cientific attitude (p<.05). Thus question-generating strategy for elementary science inquiry instruction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rests in class is useful and better be widely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Balanced and Dominant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by Learning Factors of College Students

  • Kim, Ji Sim;Kim, Kyong Ah;Park, Mi Soon;Ahn, You Jung;Oh, Suk;Jin, Myung 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65-73
    • /
    • 2021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과 관련된 요인인 전공계열, 성취도, 학년에 따라 학습양식 및 학습전략에 차이가 있는지, 학습양식에 따라서도 학습전략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우세한 학습양식 중심으로 차이를 분석했던 선행연구들과 달리, 학습양식을 균형적, 우세한 학습양식으로 세분화하였다. M전문대학의 17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요인에 따른 학습양식과 학습전략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전략 활용수준에서는 정보입력 차원에서 학습양식에 따라 인지전략 활용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보처리 양식에 따라서는 모든 전략 활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활동적 학습자는 인지전략 활용수준이 높았고, 시각적 학습자는 외적전략 활용수준이 높았으며, 정보를 이해할 때 균형적 학습자는 내적전략 활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양식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학습전략 활용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과학교사의 교수 지향과 PCK 특징 (Characteristics of Teaching Orientation and PCK of Science Teachers in Online-offline Mixed Learning Environment)

  • 김지수;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6호
    • /
    • pp.441-461
    • /
    • 2023
  •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과학교사의 교수 지향과 그에 따른 PCK의 특징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설문, 반구조화 면담, 수업관찰 및 현장노트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참여교사의 과학 교육 목표 지향과 과학 교수·학습 지향의 조합으로 범주화하여 '과학 개념 이해-강의식 수업' '과학 개념형성-탐구 수업' '과학 개념 및 탐구 과정 적용-탐구 수업' '과학 개념 및 탐구 과정 적용-강의식 수업' '과학 정보 분석 및 판단-탐구 수업' '과학적 태도 함양-탐구 수업' '과학적 태도 함양-강의식 수업' '과학·기술·사회 상호관계 인식 함양-탐구 수업'의 교수 지향을 추출하였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과학 교육 목표 지향과 관계없이 '탐구 수업 지향'의 교사는 '강의식 수업 지향'의 교사와 다르게 다양한 탐구 활동을 위한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개념 이해-강의식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학생 이해 점검을 위한 질문 전략, 반복 강의 전략 등의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과학 개념 형성-탐구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학생들의 과학 개념 형성을 위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실시간 모둠 활동을 수행하는 전략, 코로나 19 이전 수행하던 대면 모둠 활동을 가상 실험, 학생 개별 실험으로 대체하여 수행하는 전략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과학 개념 이해-강의식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학생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이 드러나지 않은 반면, '과학 개념 형성-탐구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탐구 수업 관련된 학생의 학습 어려움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과 연계를 위한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와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of Reading Strategy Contents for a Subject Linkage and it's Application to the Content Subject)

  • 소병문;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81-303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 전략 범주를 밝혀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를 구안하고, 교과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및 독서 전략 관련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 범주를 텍스트 영역과 인지 전략으로 설정하였다. 여기에 관련 선행 연구의 활동지를 참고해 재구조화한 4개 유형의 독해 기법을 더하여 최종적으로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를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교과 연계는 교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이뤄지며, 학습활동은 탐구 과제 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독서전략 적용 방안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의 학습활동을 대상으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독해 전략을 적용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를 활용한 교과 연계 방안은 교과 학습활동에 다양한 읽을 자료 제공을 통해 교과 수업을 심화하고, 독립된 독서 프로그램으로 확장해 학습내용을 익힐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과 인지 전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and Cognitive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286-294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in terms of science and cognitive strategies.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was measured by 4 variables; appropriateness, scientific ability, concreteness, and originality. Cognitive strategies were measured by 6 variables; surface(rehearsal), deep(elaboration and organization), and metacognitive strategies(planning, monitoring, and regulating). The KEDI Creative Problems Solving Test in Science(Cho et al., 1997) and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Pintrich & DeGroot, 1990) were administered to 72 subject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ur findings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and cognitive strategies. The surface cognitive strategy (rehearsal) positively predicted the total score, the scientific ability's score, the concrete score, and the original scor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The deep cognitive strategy(organization) positively predicted the appropriate score and the metacognitive strategy(planning) positively predicted the original score of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 PDF

중학교 학생의 과학 학습 방법 및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referred Methods and Strategies of Science Learn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효진;김연규;박현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52-56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교재를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전략을 조사${\cdot}$분석하였다. 검사도구로 Preferred Method of Study(PMOS)를 사용하였고, 임상 면담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학생들이 교과서 새 단원을 통독하는 횟수와 과학 점수간에는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주제의 유형보다는 시험의 유형에 따라 학습 방법 및 전략을 더 쉽게 바꾸는 경향이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과서를 학습할 때 좀처럼 요약, 도표, 그림 등과 같은 조직적인 도구를 활용하지 않았고, 한 가지의 학습 방법 및 전략을 선호${\cdot}$사용하였다. 또한 극소수의 학생(1%)만이 선행지식을 교과서 안의 새로운 개념과 연결시키려고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과학 교과를 공부할 때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자료로 교과서를 선택하지만 직접적인 학습에 있어서는 참고서와 문제집을 신뢰${\cdot}$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학습재로서의 교과서 개발과 효과적인 과학 교육을 위하여, 학습자의 학습 방법 및 전략과 인지심리학, 동기심리학 등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인지 수준의 이해를 통한 교수와 더불어 학생들의 학습 양태(learning style), 학습 방법 및 전략(learning method and strategy)을 파악하여 능동적인 의미구성의 장으로서 교과서의 역활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교과서 집필의 기초 자료로서 학생들의 교과서 활용 방안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 분석이 요구된다.

  • PDF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과학동시를 활용하는 전략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rategies using Children's Science Verses i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 정신애;권난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14-822
    • /
    • 2008
  • This study plans to develop strategies using children's verse in science education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children's verses on the attitude toward science. The study tried to determine strategies using children's science verse in order to find out their value. For the purpose of this, two classes of the 6th grade were selected in an elementary school for test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showed that strategies using children's verse in science education were developed and applied in teaching/learning purposes as well as in the area of literature. A strategy for remembering was applied widely. A strategy for understanding scientific principles and for quest methods, writing children's science verses directly helped in scientific conceptual formation. Instruction using children's science ver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Students maintained positive attitudes throughout instruction that used children's science verses. In conclusion, instruction using children's science verses can be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and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s can be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