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inquiry

검색결과 1,350건 처리시간 0.029초

생명공학 단원의 제한 효소 지도 작성 탐구실험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an Inquiry Experiment Class on Restriction Enzyme Mapping in Biotechnology Chapter)

  • 정수연;장정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3호
    • /
    • pp.293-311
    • /
    • 2022
  • 본 연구는 분자생물학 기초 소양 함양을 위한 제한 효소 지도 작성의 탐구실험을 구성하였고,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학생 중심의 제한 효소 지도 작성 탐구실험 수업을 통해 탐구실험 능력과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탐구실험 수업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있어 '그렇다' 이상으로 응답한 비율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서 높은 것으로 보아 유의미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한 효소 지도 작성을 위한 연속의 5단계로 구성하여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과학 분야 학업에 대한 흥미 유발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가 높아졌고, 구체적인 과학 학습 동기, 과학 진로 포부 및 체험 자료로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탐구실험 수업의 과학 환경이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과학긍정경험의 향상으로 이어져 수업의 집중과 수업의 질적 향상, 학생간의 적극적인 의사 소통과 상호 협력의 중요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또 탐구실험 수업이 진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분자생물학의 기초 소양 함양과 이공계 진학의 토대가 될 것이다.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에 의한 '과학탐구'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cience Inquiry' by Professional Factors of Teaching Practice for Science Inquiry)

  • 이동승;박종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197-203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과학 교육 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 중 과학탐구 관련 연구들을 주제별,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별로 분석함으로써 과학탐구지도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6개의 국내 과학교육 관련 학회의 홈페이지에서 탐구, 과학탐구를 키워드로 하여 463편을 수집하였다. SEF(2006)의 교사 전문성 개발 틀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463편의 논문 중 217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선정된 연구대상은 분석틀의 5가지 요소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고 유목화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과학교육전문가 2인과 박사과정 대학원생 4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연구에 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학습 환경 조성, 과학탐구 수업 계획 및 적용, 과학탐구 평가, 교사의 과학탐구능력 등의 5가지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를 포함하는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의 주제들을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과학탐구 학습 환경 조성, 과학탐구 평가, 교사의 과학탐구능력에 관한 연구가 적었다. 그리고 유목화 된 주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 과학교수 활동과 학습 자료 연구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교수 활동의 주체인 교사에 초점을 둔 연구는 거의 없었다. 교사에 초점을 두면서 과학탐구 학습 환경 조성, 과학탐구 평가, 교사의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진다면 교사의 수업 실행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또한 교실에서 과학탐구 수행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tific Inquiry Class Using Data Measured with Digital Inquiry Tool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etencies)

  • 정은주;손정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205-213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S시의 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을 실험집단, 3개 학급을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하였고, 실험집단은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을 하였다. 수업 후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의 협력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환경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과 실태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Open-Inquiry Activity and Field Survey)

  • 홍지혜;홍훈기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373-38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80명을 대상으로 자유탐구 경험과 운영 방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 실태를 알아보고자 19명의 실제 자유탐구 수행 모습을 관찰하고 수행 단계별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 응답 내용과 비교하였다. 설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과학영재 학생들은 평균 3.25회의 자유탐구 수행 경험을 갖고 있었으며, 개별 연구보다 소집단 연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제 선정 방안과 관련하여 교사의 개입보다는 개인이 원하는 주제로 자유탐구를 진행하기를 선호하였으며, 과학영재 학생들의 실제 자유탐구 수행 모습에서 학생들은 본인 스스로 처음부터 끝까지 탐구를 진행하는 데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체험 교실이 저소득층 아동의 과학 탐구, 과학 태도 및 자아 존중감과 자기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cience Inquiry, Science Attitude, Self-esteem, and Self-competence on Children in Low-income Family through Science Experience Class)

  • 김원희;김은진;이석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4호
    • /
    • pp.415-424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eal the effects of a science experience class, in which children of low-income family(LIF) were involved. The children's science inquiry skills, science-related attitude, self-esteem and self-competence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the science experience class. Not only 61 children in LIF but also 75 ordinary ones participated in the class and the tests to collect the data, and interviews in which 9 children of each group participated were conducted as wel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science experience class, the children in LIF's average point of science inquiry skills increased meaningfully, but ordinary children's did not. Second, the science attitude's points of both increased meaningfully. Third, the children in LIF's average self-esteem point increased meaningfully, but the ordinary group's did not. Fourth, the children in LIF' self-competence increased meaningfully, but the other's did not. The children from both groups were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science experience class. Especially, compared with ordinary children, the children in LIF who have fewer chances of science experience than other children were more positively influenced m every aspect of this study.

  • PDF

IIM을 적용한 소집단 탐구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Using II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lementary students)

  • 박윤희;이하룡;문성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8-15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using IIM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in higher elementary grades. To verify research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f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two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 the research group was composed of thir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using IIM teaching model situation, and the other was composed of thirty students(comparative group) who participated in a teacher map- based learning situation. For six weeks, the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using IIM were executed in the research group, while the teacher-map based instruction was conducted in the comparative group Test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science process skill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research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scientific attitude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using the IIM teaching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eacher map-based teaching model on science process skills.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the objec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curriculu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curriculum.

  • PDF

뇌 기반 과학 교수 학습 모형을 적용한 "슬기로운 생활"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a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n ${\ulcorner}$Intelligent Life${\lrcorner}$ Course of Elementary School)

  • 임채성;하지연;김재영;김남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60-7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n the science related attitudes,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science knowledge of the 2nd graders in Intelligent Life course. For this study, 117 elementary students from four classes of the 2nd grade in Seoul were selected. In the comparison group, traditional instruction was implemented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struction according to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implemented for four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comparison and experimental groups in terms of the science related attitudes except for the sub-domains of interest and curiosity. And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programs improved a few scientific inquiry skills, especially observation and classification.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cience knowledge. In conclusion,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programs were more effective in improvement of the science related attitudes,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science knowledge of elementary students.

  • PDF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역진행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21세기 핵심 역량,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lementary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21st Century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 배진호;김진수;김은아;소금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476-48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on digital literacy, $21^{st}$ century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of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different $5^{th}$ grade classes in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were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whereas comparison group was taught general free inquiry lessons using ordinary teaching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on students' digital literacy. Second,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on students' $21^{st}$ century skills. Third,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 teaching with smart devices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o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Fourth,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caused an effectiveness on students' interests.

핵심역량과 과학과 교과역량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Awareness of Teachers for Core Competencies and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 하지훈;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4호
    • /
    • pp.426-44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getting the information for successful application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students' core competencies enhancement, through investigation about competencies discussed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analysis about perception of 1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Communication skill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Thinking ability what has been important traditionally is the middle of the ranking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that a competency is specific to a subject. From this point of view, Creative/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in science. They think that the enhancing of the ability of inquiry performance is highlighted in current science clas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inquiry model is the most effective in enhancing of scientific thinking and the ability of inquiry performance. And STS instruction model is in the other. PBL learning model and experimental inquiry model is the most effective in enhancing a competency has the highest feasibility like scientific thinking or the ability of inquiry performance.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탐구 학습 지향과 불일치 상황에 대한 대처 전략의 관계 비교 (The Relationship between Orientations toward Scientific Inquiry Learning and Coping Strategies for Anomalous Situations in Elementary Students: A Comparison between General and Science-Gifted Students)

  • 윤지영;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5-166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탐구 학습 지향을 조사하여 비교했다. 또한 이들의 과학 탐구 학습 지향과 불일치 상황에 대한 대처 전략의 관련성도 조사하여 비교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서 초등 일반 학생 61명과 과학영재 학생 53명을 선정한 뒤, 과학 탐구 학습 지향을 조사하는 설문과 불일치 상황에 대한 대처 전략을 조사하는 설문을 실시했다. 또한 일부 일반 학생 및 과학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개별로 실시했다. 연구 결과, 학년과 관계없이 과학 탐구 학습 지향 중에서 초등 일반 학생은 '개념이해' 지향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과학적 실천' 지향이 두번째로 많이 나타났다. 반면 초등 과학영재 학생은 '과학적 실천' 지향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개념이해'와 '복합' 지향도 비교적 자주 나타났다. '활동' 지향은 일부 일반 학생에게서만 나타났고, '공학적 실천' 지향은 일부 과학영재 학생에게서만 나타났으며, '과정기능' 지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 탐구 학습 지향과 불일치 상황에 대한 대처 전략 사이에 명확한 관련성을 확인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같은 과학 탐구 학습 지향을 가진 경우라도 불일치 상황에 대한 대처 전략을 선택하는 양상은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