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gifted

검색결과 987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The Percep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of a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toward Its Educational Programs)

  • 강경희;정충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51-759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 부설 과학 영재교육원 중등영재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대학교 부설 과학 영재교육원 중등영재교육과정 수강생 18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영재 학생들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재 학생들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을 더 많이 알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 등에서 향상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현재 영재교육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그 프로그램에서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각 영재교육기관별로 이루어진 인식 조사 결과를 종합하고 그를 바탕으로 향후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개선점을 도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 동시 특성 및 과학 동시 쓰기에 대한 인식 비교 (Comparing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Writing Science Poems for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 김민지;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130-148
    • /
    • 2019
  •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poems written by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writing scientific poem. To do this, 5~6 graders (n=100) at two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and 5~6 graders (n=93) at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Scientific poems written by the stu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numbers and types. Their perceptions of writing scientific poems were also analyz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group interview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eneral students wrote more scientific poems than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for thirty minutes. The general students mainly named the titles in a direct way, whil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did it in an implicit way. The free verse poems in both general students and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ppeared most frequently, and the prose or narrative poems also often appeared. The general and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frequently used impersonation, and some students did not use metaphors. They didn't connect the scientific knowledge for multiple grade. While the poems of the general students evenly included the scientific knowledge for various academic fields, those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tended to include the scientific knowledge for physics or chemistry. The poem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tended to include more science process skills, especially in basic inquiry skills,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wrote scientific poems in a more expanded form regarding the scientific knowledge, than the general students.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perceived the educational benefits of writing scientific poems more positively based on variou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However, many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students had also several difficulties in the processes of writing scientific poem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들의 과학창의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ience Gifted Program on Scientific Creativity and Recognition of that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신애경;강민석;김범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23-33
    • /
    • 2011
  •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영재학급 5학년 20명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8차시에 걸쳐 과학영재교육을 실시하였다. 과학창의성 검사지,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설문지, 면담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영재학생들의 과학창의성을 향상시켰다. 학생들에게 사전 사후에 과학창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과학창의성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유창성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영재학생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수업, 학습자료, 영재교사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설문지 분석을 통해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실험과 주제탐구와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고, 프로그램을 제작 및 운영할 때에는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가 선행되어야 하며, 내용수준 및 과제의 양은 학생들이 소화해낼 수 있는 정도로 조정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게 되었다.

  • PDF

과학영재 학생의 학습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소집단에서의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Jeonnam Province -Focused on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in Small Group-)

  • 한광래;박해균;류재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51-6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ifted students'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in small grouped classes and to classify them into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an instrument to measure gifted student's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was developed. The subjects were 16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s at H-area gifted center in rural area. Video recorded was classified each 5minutes by resear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erbal interactions were about 27% and non-verbal interactions were about 73%. Activities unrelated to learning were about 20%. Second, high achievement gifted students enjoyed verbal interactions including discussions. Third, gifted students can be classified 3 types(Spoken-centered, Written-centered and Played-centered) by interac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gifted student's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as well as students. Small-grouped instructions according to characteristic and levels of gifted students are needed in gifted science education.

제주지역 초등정보영재 교육 운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Jeju Area)

  • 김종훈;변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144-156
    • /
    • 2006
  • 우리나라가 21세기 첨단지식기반의 정보화 세계화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고급 인적자원을 조기에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보과학영역에서의 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고도의 정보사회에 부응할 수 있게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및 여러 영재교육기관에서 정보과학 영재를 선발하여 교육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대학부설 과학 영재교육원과 다른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초등정보영재 교육 운영에 대한 제주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을 토대로 보다 더 나은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 이봉우;손정우;최원호;이인호;전영석;최정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52-26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80 science teachers that taught gifted students were requested to write an anecdotal report regarding gifted education and presented 215 difficulties. By means of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these difficulties were grouped into several catego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fell into three categories: 'difficulties relating to environment (23.7%)', 'difficulties relating to students(16.7%)', 'difficulties relating to teachers(59.5%)'. Most serious difficulty was 'insufficient educational program'. and many teachers felt difficulty in develop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we discussed some features of each categories of difficulties.

  • PDF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영재 학생의 행동 특성이 일반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of Influence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on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 윤서정;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3호
    • /
    • pp.353-368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er's perception for influence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on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To do this, we selected the 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conducting the regular science classes including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belonging to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and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 that the teachers mentioned seve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excellent in designing and performing experiments', 'playing a leading role in experiments', 'expressing their abundant prior knowledge frequently', 'attempting their tasks with curiosity and persistence', 'displaying scientific creativity', 'often asking scientific questions in detail', and 'expressing their opinions logically'. Thes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had positive effects on general students, such as 'providing them with a successful experience in conducting experiments', 'improving understanding of science class contents', 'developing scientific thinking and reflective thinking', and 'improving their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However, the excessive learning-driven behavior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had negative effects on general students, such as 'limiting opportunities for general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es', 'conducting passive exploration centered on results', and 'causing conflicts with general studen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과학영재아와 일반아의 기질 및 시험불안과의 관계 (The Temperament and Test-Anxiety of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강현아;조규성;김자홍;이국행;이정원;강금자;정덕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9-297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아의 기질특성을 분석하고 이 기질 특성이 시험불안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에서 교육받고 있는 92명의 중학생 과학영재아들과 97명의 전주시내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일반아들이다. 측정도구는 개정판기질차원척도(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TS-R)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아는 일반아에 비하여 집중성, 지속성 및 접근성 기질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일반집단은 활동성, 융통성, 긍정성 기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재아와 일반아의 우세기질에 대한 검증 결과 기질 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과학영재집단은 지속성 기질이, 일반집단은 융통성 기질이 우세기질로 나타났다. 과학영재아와 일반아의 기질 특성과 시험불안의 상관관계분석에서 과학영재아는 접근성, 지속성이 부적상관을 보였고, 일반집단은 집중성이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활동성은 두 집단 모두에서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활동성 기질은 시험불안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과학영재아를 판별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그들의 기질적 특성을 최대한 파악하여 과학영재의 기질특성에 맞는 학습활동을 제공하는데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며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하여 대상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학교와 영재교육원에서의 초등과학교육 비교 (Comparison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between Schools and A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 김회경;채동현;최영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42-250
    • /
    • 2011
  •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schools and education institutes for the gifted and survey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desired by students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t education institutes for the gifted. For this study,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a 5th-grade male student and a 6th-grade female student at the science class of the Education Institutes for the Gifted run by Iksan Education Office. Besides, printed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used to refer to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school, the student lear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defined by the government and the contents begin with elementary and basic ones and move step by step to deeper and wider scientific principles. On the contrary, in th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the contents of teaching materials are decided at the teacher's discretion, and because they target gifted children, their level is higher than that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school. Second, the most common teaching method in school is lecturing and, next, experiments, group activities, etc. On the contrary, in th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experiments are used most frequently, an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re adopted including lectures, project learning and cyber learning. Third, th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that gifted children wanted to learn are not limited to any specific area. Science education methods that gifted children wanted were various, including project learning, group activities, experiments, and report making and presentation.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Mothers on Giftedness)

  • 정덕호;박선옥;유효현;박정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561-5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자들의 정의가 반영되어 있는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SRBCSS-R)에 비추어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갖고 있는 영재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 18명과 중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 32명에게서 영재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활용하여 단어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단어분석에서는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독서, 과학, 제작 등의 단어에 영재성을 연결시키고 있는 반면, 중등 과학영재들 둔 어머니들은 문제, 문제풀이, 수학 등에 영재성을 연결시키고 있었다. 프레임 분석에서는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창의성, 동기 등의 범주에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반면, 중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은 학습, 동기 등의 범주에 강하게 연결시켜 인식하고 있다. 즉,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은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에 비추었을 때 일부의 요소만을 영재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하기 요구되며, 과학영재들에 적합한 교육을 위해서 부모교육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