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able 2. Criteria for analysis
Table 2. Continued
Table 3. Analysis of the number of scientific poems
Table 4. Analysis of types by the form of scientific poems
Table 5. Analysis of types by the contents of scientific poems
Table 6. Analysis of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benefits for writing scientific poems
Table 7. Analysis of perceptions on difficulties in the processes of writing scientific poems
References
- 강성주, 박희경(2011). 중학교 1학년 과학 영재의 가설-연역적 탐구 실험 글쓰기 유형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309-335. https://doi.org/10.9722/JGTE.2011.21.2.309
- 고성희, 이경화, 김정연(2018). 두줄쓰기 창의기법 적용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3), 69-78.
- 권혁순, 최은규, 노태희(2003).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하여 중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분석. 대한화학회지, 47(3), 265-272. https://doi.org/10.5012/jkcs.2003.47.3.265
- 김고운(2017). 교과서 수록 동시의 표현 방법 분석 및 지도방안 : 2009 개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두환, 이영준, 이상원(2015). 환경동시 쓰기활동이 초등학생 6학년 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6(3), 113-128.
- 김미혜(2011).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 시 쓰기 과제 구성 연구. 문학교육학, 34, 183-211.
- 김선민(2010). 시 창작의 창의성 발현 지도 방법 연구. 교육연구, 48. 51-78.
- 김선영, 박금미(2008). 자연체험에 기초한 동시 관련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8(6), 143-159.
- 김성규(2013). 초등학생, 예비교사와 교사의 실험기구 사용 방법에 대한 이해. 한국초등교육, 24(2), 129-150.
- 김영아(2014). STEAM 교육을 활용한 주제 중심 동시 교육 사례 연구. 문학교육학, 44, 207-244.
- 김혜란, 최선영(2015). PRIDE 융합인재교육 원리에 따른 초등 과학교육에서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1(2), 137-158.
- 김홍정, 홍옥수, 조향숙, 임성민(2013). 융합인재교육(STEAM) 실시에 따른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269-289.
-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2004).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 류성기(2018). 다문화 자녀를 위한 동시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법 연구. 국제언어문학, 39, 149-179.
- 류현종(2013). 초등학생들의 시 쓰기 활동에 나타난 역사 이해 및 재현 양상. 역사교육연구, 17, 151-220.
- 박경빈, 류지영, 방승진, 육근철, 윤여홍, 박인호, 이미순, 이선영, 이재호, 전미란, 전영석, 조석희, 진석언(2014). 한눈에 보는 영재교육. 서울: 학지사.
-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 박은주, 허근(2014). Jigsaw를 활용한 영어 동시 쓰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과교육, 13(1), 65-88.
- 서장원(2015). 초등학생의 스포츠 "동시"에 나타난 체육수업의 모습과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2(1), 25-51.
- 손정우(2009). 과학글쓰기를 통한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연구. 과학영재교육, 1(3), 21-32.
-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최원호, 신영준, 한재영, 최정훈(2009). 초등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과 이해. 서울: 북스힐.
- 송신철, 심규철(2015). 생명과학 관련 주제에 대한 과학영재들의 글쓰기 특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9(1), 88-98. https://doi.org/10.21796/JSE.2015.39.1.88
- 신명렬, 이용섭(2011). IIM 기반 과학 글쓰기 수업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 탐구 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3), 267-277. https://doi.org/10.15523/JKSESE.2011.4.3.267
- 신지원, 최애란(2014).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107-122.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07
- 심성경, 이희자, 임선옥, 허은주, 이영희, 박순이, 박지애, 이효숙(2003). 동시짓기 및 관련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회지, 21(4), 5-27.
- 안주희, 여상인(2017). 초등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수업과 일반과학수업에서의 교수유형 분석. 과학영재교육, 9(1), 11-22.
- 양일호, 최현, 임성만(2014).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 10-20.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1.1.00010
- 유은정, 고선영(2013). 과학영재들의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가치판단과 의사결정 글쓰기 분석. 영재교육연구, 23(6), 861-879. https://doi.org/10.9722/JGTE.2013.23.6.861
- 이동엽(2013).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동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 이숙영(2008). 초등 예비교사들의 화학시화 작품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과학 수업 활용 방안 모색. 청주교육대학 석사학위논문.
- 이지영, 강훈식(2015).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상상화 특성 및 과학상상화 그리기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17-827.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817
- 이지윤, 강훈식(2018).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이 만든 과학유머의 유형 및 과학 유머 만들기에 대한 인식 분석. 과학교육, 37(3), 267-284.
- 이춘희, 장미정, 이유나(2016). 아동문학교육: 창의성 향상을 위한 이론과 실제. 서울: 태영출판사.
- 이해명 (200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 이혜정, 심규철(2012). 과학 영재의 세포 설명에 나타난 글쓰기 특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 141-155. https://doi.org/10.9722/JGTE.2012.22.1.141
- 장영란(2004). 감각적 탐색을 통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6, 253-277.
- 정은영, 권이영, 양주성, 고유미(2013).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의 과학 통합 탐구 능력. 과학교육연구지, 37(3), 525-537.
- 정신애, 권난주(2008).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과학동시를 활용하는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14-822.
- 조혜진, 이형철, 김은진(2011).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글쓰기가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2), 166-176. https://doi.org/10.15523/JKSESE.2011.4.2.166
- 진선희(2004). 시 텍스트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학년별 인식 및 선호 양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4(2), 85-126.
- 최경희(2004).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 쓰기 지도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 25, 245-278.
- 최선녀(2012). 초등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적 동시 쓰기지도 방안. 한민족어문학, 61, 379-421.
- 한재영, 김경진, 이석규, 최미화, 이덕환(2010). 화학 시화(詩畵)에 나타난 화학의 내용과 이미지. 교과교육학연구, 14(2), 397-410. https://doi.org/10.24231/RICI.2010.14.2.397
- 홍광표, 조준오(2015).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과학적 태도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3(1), 77-99.
- Cullinan, B., Scala, M. & Schroeder, V. (1995). Three voices: An invitation to poetry across the curriculum. York, ME: Stenhouse.
- Gustavson, C. B. (1999). The use of poetry in exploring the concepts of difference and diversity for gifted/talented students. The Journal of Poetry Therapy, 12(3), 155-159. https://doi.org/10.1023/A:1022960608891
- Herrick, R. S. & Cording, R. K. (2013). Using a poetry reading on hemoglobin to enhance subject matter.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0(2), 215-218. https://doi.org/10.1021/ed300129q
- Holmes, J. (2012). Science in modern poetry: New Directions. Liverpool: Liverpool University Press.
- Marcum-Dietich, N., Byrne E. & O'Hern, B. (2009). Marrying the muse and the thinker poetry as scientific writing. Science Activities: Classroom Projects and Curriculum Ideas, 45(4), 14-18. https://doi.org/10.3200/SATS.45.4.14-18
- Paiva, J. C., Morais, C. & Moreira, L. (2013). Specialization, chemistry, and poetry: Challenging chemistry boundarie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0(12), 577-1579.
Cited by
-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자유탐구 산출물 특성 분석 vol.39, pp.2, 2019, https://doi.org/10.15267/keses.2020.39.2.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