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Mothers on Giftedness

  • 투고 : 2014.07.16
  • 심사 : 2014.08.08
  • 발행 : 2014.08.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자들의 정의가 반영되어 있는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SRBCSS-R)에 비추어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갖고 있는 영재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 18명과 중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 32명에게서 영재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활용하여 단어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단어분석에서는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독서, 과학, 제작 등의 단어에 영재성을 연결시키고 있는 반면, 중등 과학영재들 둔 어머니들은 문제, 문제풀이, 수학 등에 영재성을 연결시키고 있었다. 프레임 분석에서는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창의성, 동기 등의 범주에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반면, 중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은 학습, 동기 등의 범주에 강하게 연결시켜 인식하고 있다. 즉,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은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에 비추었을 때 일부의 요소만을 영재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하기 요구되며, 과학영재들에 적합한 교육을 위해서 부모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mothers of science gifted in respect to giftedness compared to the "Scale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R(SRBCSS-R)". For that, a survey of 18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and 32 mothers of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was conducted in relation to giftedness. The words and frame of this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perception were found to have a connected giftedness with reading, science, making something, etc..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perception were found to have a connected giftedness with problem, solving problem, mathematics, etc. in words analysis. Th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have a strong connection with category on creativity, motivation, etc..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were more inclined towards the category on learning, motivation, etc. in frame analysis. That is to say, the mothers of science gifted are perceptive about giftedness respect to some elements as the "Scale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R" on the giftedness. Therefore, a correct understanding about giftedness in respect to the mothers of science gifted is required and parent education is needed for appropriate science gifted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명숙, 서혜애, 이미순, 전미란, 진석언, 한기순 (2010). 영재교육과 재능계발. 서울: 시그마프레스.
  2. 남인용, 박한우 (2007).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한국정당학회보, 6, 79-107.
  3. 박경빈, 권혁민 (2011).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특성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1), 1-17.
  4. 박선자, 최경희, 이현주 (2009). 교육청 영재 교육원 과학 담당 교사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2), 119-137.
  5. 박성익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 교육과학사.
  6. 박한우, Leydesdorff, L.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8.
  7. 손동원 (2008). 사회 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8. 신희선, 김선자, 박종욱 (2010). 과학 관련 특목고에 진학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 부모들의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인식 및 과학교육참여에 대한 분석. 과학영재교육, 2(1), 27-43.
  9. 심재영, 김언주 (2003). 과학영재 집단의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1), 241-255.
  10. 이경화, 정혜영 (2004). 유아 영재성 확인을 위한 부모용 평정척도의 타당화. 유아교육논총, 13(2), 77-94.
  11. 이정희 (2005). 과학영재의 정의적 특성 및 영재성 인식에 관한 연구: 과학일지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10). 최신영재교육학 개론. 서울: 학지사.
  13. 이재호, 류지영, 진석언 (2011).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307-317.
  14. 임청환 (2008). 새로운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7차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과학수학교육연구, 31, 25-42.
  15. 정덕호, 이준기, 김선은, 박경진 (201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교육과정 목표와 교과서 학습 목표와의 일치성 분석-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 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4(7), 711-726. https://doi.org/10.5467/JKESS.2013.34.7.711
  16. 조석희 (1996). 일반학교에서의 영재교육 방법: 속진과 심화. 영재교육연구, 6(1), 31-51.
  17. 최순실, 김복순, 한석실 (1995). 자녀의 영재성과 영재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실태조사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 209-240.
  18. 한석실 (2005). 발달에 적합한 유아 영재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25-56.
  19. Bonacich, P. (1987).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 1170-1182. https://doi.org/10.1086/228631
  20. Bloom, B. S.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York: Ballantine Books.
  21. Gagne, F. (1993). Definition of giftedness. In Heller, K. A., Monks, F. J, and Passow, A. H.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Hartman, R. K., and Westberg, K. L. (2007).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 [이미순]. 서울: 박학사. (원본출간년도: 2004).
  23.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 Methods and application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피인용 문헌

  1.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Cognitive Frame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High School Science Subject vol.36, pp.4, 2015, https://doi.org/10.5467/JKESS.2015.36.4.404
  2. A Comparison of the Freshmen’s Cognitive Frame about the ‘Crisis of Earth’ vol.37, pp.2, 2016, https://doi.org/10.5467/JKESS.2016.37.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