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academic emotion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초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학습정서와 과학적 상상력 비교 (Comparison of Science Academic Emotion and Scientific Imagination of Students between a Science Gifted Class and a Gener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 안태훈;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2호
    • /
    • pp.155-16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ience academic emotion and scientific imagination of students between a science gifted class and a gener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Sample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212 fifth and sixth grader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scientific academic emotion of students in a science gift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class. Second, boredom and laziness of negative scientific academic emotion were higher scores in general students, whereas, angry area was higher scores of students in a science gifted class. Third, scientific imagination of students in a science gift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class. Fourth, both groups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imagination and positive science academic emotion. Especially, interest area of positive scientific academic emotion in both of the two groups influenced scientific imagination.

Statistical Analysis on the Emotion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 Kou, Heung;Ko, Young Chu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44-15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motion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for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ing on the each emotions difference by the statistical variables, anxiety scores by gend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01 level(F=7.685). The males anxiety(2.478, standard deviation: 0.180)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females(3.076, standard deviation: 0.168). But fear, anger, activity, and sociability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spectivel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o see the emotions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analysis method of the linear regression line was used. As the result, anxiety, fear, anger, activity, and sociability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o unlike previous methods, the analysis method of the quadratic regression curve was used. As the result, anxiety, fear, anger, activity, and sociability showed did significantly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respectively within 5% of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o more than F=3.06. Therefore, the values on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ach anxiety, fear, anger, activity, and sociability showed a quadratic regression curve. That is, [Academic achievement]=$-0.9685{\times}[Anxiety]^2+5.1342{\times}[Anxiety]+8.2679$,[Academic achievement]=$-1.0638{\times}[Fear]^2+5.5694{\times}[Fear]+7.5635$,[Academic achievement]=$-1.3497{\times}[Anger]^2+9.1284{\times}[Anger]+0.6720$,[Academic achievement]=$-1.0589{\times}[Activity]^2+7.4386{\times}[Activity]+1.8272$,[Academic achievement]=$-1.6830{\times}[Sociability]^2+11.2325{\times}[Sociability]-3.8258$. Therefore, we were able to determin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were able to predict the degree of academic achievement by the each emotions scale. Second, when the each emotion scores of students was a moderate,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most excellent. So,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becom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e maintenance of medium degree of the each emotions scores is required.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정서 분석 (Analysis of Science Academic E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 김동현;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44-46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상황에서의 정서를 분석하여 실제 과학 수업 상황에서 다룰 수 있는 정의적 수준의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을 통해 추출한 14개 정서들에 대해 초등학교 6학년 642명에게 설문을 실시했고 각 정서의 핵심 유발 상황 및 강도와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14개 정서에 대한 정서 유발 핵심 상황이 각 정서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로 나누어 살펴보면 긍정 정서는 대체로 실험의 상황에서 나타났으며 부정 정서는 평가, 자신, 타인, 교수학습 방법 등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 정서 유발 상황을 분석 및 조절하고 정서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 수업 전략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14개 정서에 대한 강도와 빈도 분석에서 긍정 정서의 강도와 빈도가 부정 정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정 정서 중에서 강도와 빈도가 높게 나타난 지루함, 귀찮음, 답답함과 같은 부정 정서에 대해서는 정서 유발 상황을 분석 및 조절하거나 긍정 정서 유발을 통해 이러한 부정정서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과학 학습 상황에서의 정서를 살펴봄으로써 정의적 수준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과학관 전시물 연계 동화 활용 스토리텔링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정서에 변화를 가져온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Change the Science Academic E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Storytelling Classes Using Fairy Tales Connected to Exhibits in Science Museum)

  • 최소영;신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3호
    • /
    • pp.300-317
    • /
    • 2019
  • 본 연구는 과학관 전시물 연계 동화 활용 스토리텔링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긍정경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동화를 과학관 전시물과 연관시켜 학교 밖에서도 개인이 과학을 탐구할 수 있도록 탐방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초등교과서에 언급되어지는 동화 4종을 G 과학관 전시물과 연계시켜 활동지 4종류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활동지는 현직 초등교사 7명에게 검토를 의뢰하여 내용 검증을 거쳤다. 개발한 활동지를 통한 수업은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매번 1시간 30분씩 연속 4회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검사를 실시하여 본 활동이 과학긍정경험의 하위 영역 중 과학학습정서에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켰음을 확인하였다. 과학학습정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여 학생들과 참여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동화를 전시물과 함께 활용하면 과학적 호기심을 유발시켜 과학적 사고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과학적 흥미를 유발시켜 놀이장소로 인식하는 과학관 전시물체험을 통해 학습 부담감을 감소시켜 과학에 대한 과학학습정서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간호사가 지각한 리더의 감성지능과 자신의 감성지능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e's own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주윤수;한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4-202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e's own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346 clinical nurses, and analysed by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use of emotion of nurse (${\beta}$=.28), other's emotional appraisal of leader(${\beta}$=.25), regulation of emotion of leader(${\beta}$=.16), other's emotional appraisal of nurse(${\beta}$=14). These factors explained 36.7%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other's emotional appraisal of nurse(${\beta}$=.25), use of emotion of nurse(${\beta}$=.24), regulation of emotion of nurse(${\beta}$=.23), use of emotion of leader(${\beta}$=.20). These factors explained 43.6%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hospitals' management strategies for enhancemen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영재학생의 시험선발과 자동진급방법에 따른 영재학생의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ifted Students Academic Emotion, Metacognit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Gifted Students Selection Methods between the examination selection and the automatic promotion)

  • 정진숙;최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278-289
    • /
    • 2015
  •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대상자의 선발 방법이다. 즉, 시험 선발과 자동 진급에 따라 선발된 영재학생간의 학업정서, 메타인지, 자기효능감을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선발 방법에 따른 영재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영재교육을 위한 영재교육대상자 판별 및 선발에 있어서의 타당한 근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선발방법에 따라 선발된 영재 학생간의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및 자기효능감의 연구에서는 시험 선발 영재학생과 자동 진급 영재 학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재라는 동질 집단 조건에서는 선발방법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동일한 선발된 방법에 따른 비교에서, 영재학생의 학업정서를 살펴보면, 시험선발의 경우 초등과 중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동진급에서는 중등의 영재교육기관별 분석에서 영재교육원 학생이 영재학급 학생보다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p<.05). 메타인지능력에서 있어서는 초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중등의 경우 시험선발에서 남학생이, 영재교육원 학생이 높았고(p<.05), 자동진급에서는 영재교육원 학생이 높았음을 알았다(p<.05). 또한 자기효능감에서는 선발 방식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단지 자동진급에서 영재교육원 학생이 영재학급학생보다 높았음을 알았다(p<.05).

  • PDF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EBS 교육방송 클립뱅크를 활용하는 전략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Strategies using EBS Clipbank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박동섭;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1호
    • /
    • pp.32-4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rther develop the strategies using EBS clipbank service and investigate the their effects of the science academic emotion on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Clipbank is service for educational purpose. EBS provides clipbank that holds about 210,000 video clips made from EBS programs. Two class of 6th grade were selected and instructed. Implementing and using the teaching strategies, a test was administered to examine the science academic emotion of the students effects using clipbank teaching. It had two rounds for inspection about operation of the strategies with curriculum. In the second research, by re-supplying a more sophisticated program strategy from first in putting feedback.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est wa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teachers can be used in class to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educational materials clipbank contents. Result of teachers survey, clipbank teaching was effective and teachers who using clipbank service will be the continue utilize clipbank. Second, the strategy for using clipbank teaching was effective on student's science academic emotion. And strategy was effectiv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In conclusion, the strategy for using clipbank teaching, made students feel that learning science was interesting. A lot of reseaches give that science can provide the ideas as a metheod to educational web-sites, educational web-sites can provide creative ideas to science learning strategy, but it is still lacking that research can be applied to education specifically on how to. This study will help elementary teachers adjust teaching to help students learn science with positive emotions.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기분인식과 정서표현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Mood Awareness and Emotional Express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 조명현;나진경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45-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분 인식과 정서 표현이 학업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부적인 관계를 약화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우선 정서 표현은 학업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정서표현성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 적응 간의 부적 관계를 완화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런 효과는 학업 스트레스가 심할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기분 인식의 두 요인인 기분모니터링과 기분명명화가 학업 스트레스-적응 간의 관계에서 보이는 다른 양상인데, 두 요인이 모두 학업 스트레스- 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과는 다르게, 기분 모니터링은 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한 반면 기분명명화는 조절효과 없이 주효과 만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기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스트레스 많은 상황에서 학업 적응에 도움이 되었고, 본인의 기분이 무엇인지 명명하는 것은 스트레스의 수준에 관계없이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기분 모니터링과 정서 표현이 학업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해야 하는 경우 인지적 행동적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이 연구의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이 함께 제시되었다.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he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on Suicidal Ideation in Firefighters :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a Moderator)

  • 김성정;육성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92-101
    • /
    • 2018
  • 본 연구는 외상사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소방공무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외상 후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상 후 스트레스, 한국판 자살생각, 인지적 정서조절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외상 후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낮은 외상 후 스트레스 집단에서 조절효과를 가졌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높은 외상 후 스트레스 집단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임상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등학생 과학 학습정서 검사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cience Academic Emotion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 김동현;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367-1384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 상황에서의 초등학생 정서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우선 예비 검사 도구개발은 기존에 연구된 과학 학습정서 분석 내용(김동현, 김효남, 2013)을 이용하였으며 타당화 과정인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과학 정의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거쳐 본 검사 도구를 완성하였다. 최초 174개의 예비검사도구 문항은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141개로 수정되었으며, 141개 문항을 초등학교 6학년 765명에 투입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즐거움소(搔)망료흥미(16), 지루함(9), 부끄러움(8), 불만(8), 분노(6), 불안(5), 귀찮음(4)의 7개 정서 56문항으로 축소되었다. 56문항에 대한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 후 모형의 부합도 검증을 위해 1,071명 대상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한 결과 최종 모형 수정으로 7개 정서 35문항으로 축소되었다. 이 7개 정서 35문항 모형은 부합도 검증에서 모델 ${\chi}^2$ 통계량과 기초부합지수(GFI)를 제외하고 개략화오차평균제곱(RMSEA), 표준잔차공분산지수(SRMR), Terker-Lewis 부합도(TLI), 비교부합지수(CFI)에서 모두 적합 수준으로 나타났다. 최종 모형의 신뢰도는 각 요인별 Cronbach ${\alpha}$ 계수에서 즐거움 만족 흥미 0.946, 지루함 0.813, 부끄러움 0.867, 불만 0.819, 분노 0.871, 불안 0.772, 귀찮음 0.809로 모두 0.7 이상이었다. 또한 과학 정의적 특성 검사와의 상관분석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검증되었다. 타당성을 검증 받은 본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과학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 정서와 관련된 수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조금이나마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