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mathematics

검색결과 6,095건 처리시간 0.029초

개별지도가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dividual teaching strategies on mathematics attitud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of low achievement students in cultural mathematics)

  • 서종진;조승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87-301
    • /
    • 2018
  • 개별지도가 수학 기초 학력이 부진한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 태도에 미치는 영항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개별지도 집단(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수학 학업성취(미분과 적분 내용) 및 수학에 대한 태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내에서는 사전 수학 학업성취도와 사후 2차 수학 성취도간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 수학에 대한 태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비교집단 내에서는 사전 수학에 대한 태도와 사후 수학에 대한 태도 간의 상관이 있는 것을 나타났으며, 사후 수학에 대한 태도와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간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Conceptions of Mathematics in China: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

  • Yang, Xinr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79-97
    • /
    • 2013
  • This paper reports findings from a survey of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conceptions of mathematics with the adaption of the instrument of the "Conceptions of Mathematics" - Inventory in China. The survey included a sample of 414 Grade 10 students, 441 Grade 11 students, and 400 Grade 12 students from three province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T-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mainly focused on objectivity and reality of mathematics, without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ity, subjectivity, and creativity of mathematics. In addition, besides gender differences,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mong students from different grades, different areas, taught by teachers with different teach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in using reformed curriculum.

CAI 프로그램의 활용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중3 통계단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AI Program o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cusing on the lesson statistics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 이재국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23-131
    • /
    • 2000
  • In order to educate future leaders of the new age, we should help students to increase their basic knowledg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use multi-media, computer as well as old teaching-learning material to improve students' basic knowledge and to motivate their interest in mathematics in the small-sized Middle School situated on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village. In solving this problem, it is ultimately necessary that we should utilize CAI program o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basic concept, principle, law and to promote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dered on individual different 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is on the effect of students' interest and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when we develop CAI program focusing on the lesson statistics in the 3rd Grad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nd explain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statistics through using exact and various techniques of computers

  • PDF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발행 실태 조사 연구 (A historical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the publication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y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최종현 ;박교식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7-57
    • /
    • 2023
  • In the histor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the period led by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not be omitted. As a way to grasp the real state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t that time, there is a method of analyz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by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However, the actual state of the publication of them was not sufficiently known. For this reason, this study surveys the actual state of the publication of those textbooks. To this end, real information on textbooks owned currently by various institutions and information on the publication of those textbooks in the official gazette and documents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were checked and organized.

중등 수학교과서가 다루는 수학사의 비판과 대안 (Study on Criticism and Alternative 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Described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박제남;장동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157-196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중등 수학교과서에 기술되어 있는 수학사의 주요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리고 중등 수학교과서에 수학문화의 전이가 반영되어야함을 주장하는데 있다. 교과서에서 다루는 수학사는 기축시대와 고대 그리스에서 고대 이집트, 고 바빌로니아, 그리고 이슬람 수학을 제외한 유럽으로의 수학문화의 전이가 반영되어 있다. 우리는 이를 알아보고 수학사적 문제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김리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71-8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의 관계를 통합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 256명의 설문 조사의 통계적 분석 결과 두 요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 = .630, p<.05). 두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수학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직경력과 학위, 수학 교수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직경력, 학위, 교사 자격증으로 조사되었다. 이어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초등학교 교사와 면담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불안이 반드시 수학교수불안을 야기하는 유일한 원인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양적·질적 분석 결과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은 동일한 몇 가지 요인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두 요인 사이의 유사성이 발견되지만, 별개의 요인에 각각의 정서적 상태의 변화가 확인되는 점을 바탕으로 수학불안과 수학교수 불인이 동일한 정서적 상태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학불안만으로 수학교수불안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을 가정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서적 상태의 치료가 우선시된다기 보다 각각의 정서 상태에 맞는 방법들이 고안되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n assessment)

  • 권나영;오서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295-312
    • /
    • 2020
  • 본 연구는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에 근무하는 중학교 188명, 고등학교 125명의 수학교사로부터 평가에 관한 6가지 영역과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중요도-수행도 분석기법(IPA)을 사용하여 학교급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대부분의 영역에서 중학교 수학교사들이 고등학교에 비해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중요도-높은 수행도, 낮은 중요도-낮은 수행도가 많이 나타나고. 학교규모가 클수록 낮은 중요도-높은 수행도에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authentic assessment)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hentic Assessment Model Development in School Mathematics)

  • 손정화;강옥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77-9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의 통합된 부분으로 실제 상황에서 의미있는 실제적인 과제로 학생들의 진정한 수학적 활동 능력을 평가하는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체계로서 참평가의 정의 및 목표, 참평가 과제의 준거, 참평가 과제의 준거, 참평가 채점기준, 참평가 결과 보고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 개발을 위해 상황인지 수업설계 모형을 살펴보고, Guba & Lincoln의 제4세대 평가 모형, NAEP의 고차적 능력 평가 모형, Guliker, Bastiaens, & Kirschner의 참평가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이 모형들로부터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 요소 추출의 근거를 모색하였다. 추출한 참평가 모형의 요소들을 실제 상황에서 수업의 통합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교수 학습 참평가 모형으로 구안하여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은 전문가 검토 및 실제 교수 학습에 적용하여 모형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 PDF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의 모형 및 예시 단원 개발 연구 (Developing a Model and Exemplary Unit of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 도종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39-260
    • /
    • 2016
  • 학교 수업에서 교과서는 학생과 교사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가장 중요한 매개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상당수 학생들은 교과서를 외면하고 학원교재나 참고서, 문제집 등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사뿐 아니라 학생 활용도가 실제로 높은 수학교과서에 대한 논의는 내실 있는 수학교육 실현의 측면에서 뿐 아니라 우리나라 공교육 정상화의 측면에서도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수학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건에 대한 기존의 논의 분석과 현행 수학교과서의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활용도가 높은 수학교과서는 어떠해야 할지 논의하고,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에 대한 한 가지 모형을 예시 단원과 함께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