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a Model and Exemplary Unit of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의 모형 및 예시 단원 개발 연구

  • Received : 2016.05.04
  • Accepted : 2016.09.19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extbook i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in learning and teaching school mathemati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in view of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including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paper we first discuss the meaning of good mathematics textbook and analyze current mathematics textbooks to establish directions of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to student as well as teacher. And then we suggest a model and exemplary unit of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학교 수업에서 교과서는 학생과 교사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가장 중요한 매개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상당수 학생들은 교과서를 외면하고 학원교재나 참고서, 문제집 등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사뿐 아니라 학생 활용도가 실제로 높은 수학교과서에 대한 논의는 내실 있는 수학교육 실현의 측면에서 뿐 아니라 우리나라 공교육 정상화의 측면에서도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수학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건에 대한 기존의 논의 분석과 현행 수학교과서의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활용도가 높은 수학교과서는 어떠해야 할지 논의하고,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에 대한 한 가지 모형을 예시 단원과 함께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옥선, 김응환(2014). 수학교과서의 스토리텔링 내용 분석 및 활용실태조사 : 고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3), 337-358.
  2. 교육과학기술부(2012).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2012년 1월 11일 보도자료.
  3. 교육부(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2015년 3월 16일 보도자료.
  4. 교육인적자원부(2009). 교과서백서. 교육인적자원부.
  5. 권오남, 김미주, 조형미, 박지현(2013). '수학사탐구형' 고등학교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 사례. 수학교육 논문집 27(3), 221-248.
  6. 김원경, 조민식, 방금성, 김수미, 배수경, 오헤정, 지은정, 최형권, 황정하 (2013). 중학교 수학 (1). (주)비상교육.
  7. 도종훈(2015).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에 대한 논의. 2015국제수학교육학술대회 프로시딩.
  8. 김유정, 김지선, 박상의, 박규홍, 이재성(2012). 실생활 연계형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 개발-도형의 방정식 단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27(3), 179-203.
  9. 박만구(2014). 한국 국정 초등 수학교과서의 특징, 한국과학창의재단(2014). 수학교과서 국제 포럼 자료집.
  10. 박선화(2011). 좋은 수학 교과서-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과서연구 65, 8-13.
  11. 박소영, 김혜숙, 남창우, 윤지훈, 이동엽(2013). 자기 주도 학습 지원 교과서 일반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T 2013-5.
  12. 박진용, 신성균, 함승연, 이영아, 남창우, 손예희, 신명경, 김민정(2011). 수요자 중심의 교과서 체제 개발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PRO 2011-4.
  13. 배종수(2002). 좋은 교과서의 조건들. 교과서연구 39, 22-26.
  14. 백남진(2008). 교과서 내용 구성의 방향 탐색. 교육과학연구 39(1), 239-267.
  15. 송미영, 임혜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16. 시기자, 신진아, 박인용, 구남욱, 김완수, 구슬기, 김준엽, 박찬호, 김수영(2014).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인지적.정의적 특성 및 변화 추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4-8.
  17. 신인선, 신현용, 조민식, 이수진, 김정은, 문주호, 반은섭, 백수연, 김인수(2015). 주제 중심의 중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8. 이재학,고호경,권영철,김선희,김영진,김정자,도종훈,박윤범,박혜숙,서보억,신준국,신현용,원유미, 이경언,이근숙,전윤배,정상권,최민식,허선희(2012). 중학교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19. 이재학,도종훈,박윤범,박혜숙,신준국,김정자,허선희(2013). 중학교 수학 (1) 스토리텔링 모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27(3), 301-319.
  20. 주형미, 가은아, 곽영순, 김명정, 문영주, 변희현, 안종욱, 윤현진, 이영아(2013). 핵심역량 중심의 교과서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T 2013-4.
  21. 주형미, 양윤정, 남창우(2014). 교과서 완결 학습 체제 구현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T 2014-2.
  22. 최승현, 박상욱, 황혜정(2014).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23-43.
  23. 황선욱, 박혜숙, 이광연, 고호경, 이종규, 한준희, 박문환, 박상의(2015). 주제 중심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모형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24. 허숙(2009). 국가교육과정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육과정 연구 27(3), 1-13.
  25. 홍원표, 박성수, 조기형, 이영아, 도종훈(2015). 실용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2014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최종보고서.
  26. 홍후조, 백혜조, 임혜진(2013). 학습자 중심의 '참고서가 필요 없는', '확장된' 교과서의 의미와 구현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255-283.
  27. Laurinolli, T., Lindroos-Heinanen, R., Luoma-aho, E., Ankilampi, T., Selenius, R.(2014). Laskutaito 7. 이지영 옮김(2014). 핀란드 중학교 수학교과서 7. 솔빛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