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happiness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7초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 간의 인과적 관계 -Process Macro를 적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s of Social Supports, Self-esteem, and Happiness of Adolescent Athletes- Focusing on the Mediation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 전욱휴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85-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행복감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청소년 운동선수 191명과 비교를 위한 일반고등학생 196명으로 총 387명이었으며, 검사지가 활용되었고,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운동선수들은 일반고등학교 학생들보나 사회적지지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도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직접영향이 있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행복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직접영향이 있었다. 넷째, 사회적지지는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행복감에 간접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학생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마련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초등학생의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낙관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avoring, Happiness and Optimis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박수련;김광수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3호
    • /
    • pp.465-484
    • /
    • 2012
  • 본 연구는 아동의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낙관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아동의 향유하기가 행복감 및 낙관성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행복감과 낙관성에 대한 향유하기의 설명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10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495명을 대상으로 향유하기 검사, 행복감 검사, 낙관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향유하기, 행복감, 낙관성 모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행복감의 하위요인(가정환경, 자아특성, 능력, 대인관계)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등학생의 향유하기는 행복감의 60.70%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향유하기는 낙관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등학생의 향유하기는 낙관성의 66.51%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이 향유하기와 행복감, 향유하기와 낙관성은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며, 향유하기가 행복감과 낙관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초등학생의 행복감 및 낙관성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방법으로서의 향유하기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아동의 향유하기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향유하기 프로그램 개발과 검증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 PDF

군인의 건강위험행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및 행복감과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behavior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nd happiness in soldiers)

  • 박민선;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59-1169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health risk behavio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nd happiness in soldi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Gangwon and Chungchong provinces from the first to the $15^{th}$ of October, 2016. Excluding five copies with incomplete answers, 20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were analyzed. Health risk behaviors (drinking and smoking), perceived oral health, OHIP-14 and happiness were measur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amount of daily cigarette consumption of soldiers (66 people) was an average of 10.11 cigarette. The mean of OHIP-14 and that of happiness were 4.43 and 4.05, respectively. The higher the quality perceived oral health, the better the OHIP-14 (r=0.234) and happiness (r=0.192) were. The higher the OHIP-14, the higher the happiness (r=0.357). OHIP-14 was related to army, perceived oral health and happin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7.0%. Conclusions: OHIP-14 is associated with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policies need to be developed to instill happiness in soldiers.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Factors Associated with Happiness in Primary School Children)

  • 이재경;조혜정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41-7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생태체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애착이론과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초4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 지역사회애착, 행복감은 5년 동안 감소추세로 나타났으며 초기값과 변화율의 분산값이 유의하여 개인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체계요인 중 학업 성취를 제외하고 모든 변인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4학년 시점에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당해년도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애착 초기값이 높을수록 행복감은 느리게 감소하는 반면에 5년 동안의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교사애착, 지역사회애착이 빠르게 감소할수록 행복감이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분석을 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청소년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Activities and Adjustment to School Lives by Teenager)

  • 염미진;정철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76-289
    • /
    • 2022
  • 본 연구는 학교생활적응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하는 중·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2주간(2021년 11월 1일-11월 15일) 조사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학업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심리적 행복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바람직한 여가활동, 높은 심리적 행복감, 낮은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에의 적응을 갖추는 삶을 살기 위한 방안 마련에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남녀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부모, 학업, 친구, 외모, 경제), 학교생활적응과 행복감의 관계성 연구: 매개관계를 중심으로 (A Relationship Study of Adolescents' Various Stress, School-life Adjustment, and Happiness: mediating effects)

  • 김선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61-169
    • /
    • 2020
  •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2018년도 조사' 중고등학교 자료 5,144명을 활용했고, 2017년 교육기본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학급을 표집단위로 크기비례확률 추출법을 활용하여 표집했다. 구조방정식과 다중집단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로, 첫째, 청소년들의 행복감에는 학업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 외모스트레스가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도 행복감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였고 각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는 부모스트레스, 경제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각 스트레스와 행복감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는 부모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와 경제적 스트레스만 학교생활적응을 통해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남녀차이에 대한 다중집단 구조분석 결과, 두 집단구조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집단의 매개효과 결과에서는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은 학업스트레스와 경제스트레스만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여학생은 학업, 경제와 부모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을 통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청소년들의 행복감에 대한 개입과 실천적 함의에 대한 제안과 과제가 제시되었다.

코로나 전후 행복 이슈 변화 분석 및 행복 증진 방안 연구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the Analysis of Happiness Issues Before and After Pandemic)

  • 김가혜;이소현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3호
    • /
    • pp.81-103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정신건강과 웰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세계 행복 보고서를 통해 꾸준하게 대중의 행복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전염병의 장기화로 인한 스트레스 누적이 사람들의 행복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팬데믹 이후 '우울', '불안'과 같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알렸고, 수치상으로 행복 지수가 낮아졌음을 밝혔다. 전염병 이후 한국 사회에서 대중들이 느끼는 행복의 이슈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이슈를 분석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한국인의 행복이슈에 생긴 변화를 파악하고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코로나19 이전 데이터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코로나19 이후 데이터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로 시기를 나누어 수집하였다. ERG 이론에 기반한 하위 키워드 32가지를 검색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코로나19 전후 토픽 모델링 결과를 국회 미래연구원에서 발표한 '행복 지표 2.0'의 '건강', '안전', '경제', '교육', '관계 및 사회참여', '여가', '삶의 만족' 영역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토픽과 키워드의 세부적인 의미에서 코로나19 전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영역의 관점에서 행복 증진 방안을 토픽과 키워드를 비교 해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실제 대중들의 '행복' 관련 의견을 마이닝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시사한다. 또한, 기존 행복 증진 불행 경감 방안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객관적인 행복 지표 영역을 활용해 행복 증진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감정노동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Work Environment and Emotional Labor on Happiness Index)

  • 주은주;권영채;남문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2-222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rrelations in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index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nurses' happiness at work. Methods: Resources were gathered from 291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e. Random sampling of nurses in nine hospitals in G-do was done between July 15 and August 14, 2014.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 test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SPSS/WIN 18.0. Results: Mean scores (scale of 5) were nurses' work environment, 2.81, emotional labor, 3.24, and happiness index, 2.9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happiness index for: age, marriage, children, clinical experience, position, payment, and future work plan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emotional labor,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index but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appiness index and work environment. Happiness index was influenced by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future work plans.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6%.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and reduce the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index of hospital nurses.

가족응집성과 청소년의 행복: 청소년의 긍정태도의 매개효과 (Family Cohesion and Happiness of Youth: Mediating Effects of a Positive Attitude)

  • 김민지;고재홍
    • 아동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3-94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family cohesion influences adolescents' positive attitude formation and their happiness as classified into hedonistic happiness and eudaimonistic happiness. We also examined whether adolescents' positive attitude functions as a mediator between family cohesion and the two kinds of happiness. Particularly, positive attitude consists of three subfactors: positive perspective, self-positivity, and social positivity.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which subfactor primarily plays a mediating role. Methods: A total of 32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Results and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attitude was shown to function as a mediator between family cohesion and two kinds of happiness. Second, through an analysis of multiple mediation, self-positivity and social positivity were found to be mediators between family cohesion and hedonistic happiness. However, positive perspective and self-positivity were revealed to serve as mediators between family cohesion and eudaimonistic happiness. Only self-positivity, being considered as a core construct of positive attitude, turned out to be a common mediator between family cohesion and the two kinds of happiness.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for Adolescents and Happiness)

  • 서종수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권4호
    • /
    • pp.595-61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happiness of adolescents. For this research a survey on academic stres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happiness was conducted with a total 487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Daegu city. The collected data was statically processed by using SPSS 20.0 according to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cademic stress affected the adolescents' happiness. The higher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was, the smaller the adolescent's happiness. secon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happiness, conflict management and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played a moderating role to reducing the academic stress.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played a moderating role on the effect that academic stress had on adolescent happi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practically applied as basic information to increase happiness on adolescents. In addition, the results provided valuable insights for developing program the intervene for adolescents'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