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larly journal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6초

국내 정보학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0-2011 (Detecting Research Trends in Korean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000-2011)

  • 서은경;유소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5-239
    • /
    • 2013
  • 21세기에 들어서서 디지털 정보환경이 발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국내 정보학 연구 역시 많은 발전과 변화를 겪고 있는 것을 산학계 모두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 2000년부터 현재까지 어느 정도로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한 논문은 많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0년에서부터 2011기간동안 연구재단에 등재된 문헌정보학 관련 학회지에 수록된 정보학분야 논문 1,00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보학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시간에 따른 연구주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논문 데이터를 주제 범주화 한 후, 각 주제 범주 내에서의 논문 및 주요 키워드의 성장률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단어 동시출현 네트워크를 2000-2011년뿐 아니라 2000-2005년과 2006-2011년의 두 시기로 나누어 시각화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정보학 분야의 연구경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난 12년간의 한국의 정보학 연구는 정보시스템중심적 연구에서 이를 도서관에 적용하는 도서관응용적 연구로 나아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지식관리, 웹기반 시스템 평가, 정보검색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변화가 나타났다. 다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이 연구는 정보학 연구분야의 한국 로컬화의 변화를 찾아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장연구 현황 분석 (Analysis of the Trends in the Field Studi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정재영;박진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1-191
    • /
    • 2011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학술지의 최근 10년간 발표된 연구논문 2,165건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현장연구의 현황 즉, 양적 변화, 주제, 연구자, 연구비 지원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논문 중 현장연구는 691건으로 31.9%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현장연구의 주제를 도서관 유형별로 구분한 결과 공공도서관이 246편(35.6%)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도서관이 238편(34.4%), 학교도서관 141편(20.4%), 그리고 기타 66편(9.6%)으로 조사되었다. 문헌정보학 관련 주제별로 구분한 결과는 도서관운영 관련 연구가 328편(47.5%)으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봉사, 정보시스템 및 전자도서관, 이용자교육, 독서교육 순으로 조사되었다. 저자별 구분의 경우 교수가 329편(47.6%)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사서, 교수/사서, 교수/학생, 강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비지원 여부의 경우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는 경우가 145편으로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된 논문 195편 중 74.4%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학술진흥재단 27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9편, 교육인적자원부 4편 순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의 실천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연구 동향 분석 및 성공 요인 분석 (Analysis on Research Trends and Factor of Success to Communities of Practice in Korea)

  • 이은철;최문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38-447
    • /
    • 2015
  • 기업들이 지식경영을 표방하면서 비공식적으로 운영되던 CoP가 공식화되면서 Co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와 함께 2000년도 초반부터 CoP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CoP에 대한 연구가 10년 정도 이루어진 이 시점에서 CoP에 대한 연구의 동향과 핵심 연구 주제 및 성공 요인에 대해서 성찰해 보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P에 대한 연구 동향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선행연구들이 제시하는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 대상은 학술재단 등재지에 한에서 수집하였다. 그 결과 CoP에 대한 연구는 2000년도에 시작되어서 2012년까지 총 37편의 연구가 수행되었고, 연구의 유형으로는 사례연구 15건, CoP를 종속변인으로 사용한 연구 11건, CoP를 독립변인으로 사용한 연구 4건, 이론적인 담론을 다룬 연구 2건, CoP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 연구 4건이다. 사례 연구 가운데 CoP 성공요인을 제시한 연구는 7건이며, 이 연구들이 제시한 성공요인은 14가지이며, CoP의 성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은 공동체 외부에서 주어지는 지원이었다. CoP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연구는 모두 11건이었으며, 이 연구들이 제시한 성공요인은 13가지 이었다. 그리고 CoP의 성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팀효과성이었다.

나이브베이즈 분류모델과 협업필터링 기반 지능형 학술논문 추천시스템 연구 (A Study of Intelligent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Naive Bayes Text Classification and Collaborative Filtering)

  • 이상기;이병섭;박병용;황혜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227-249
    • /
    • 2010
  •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학술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보 과잉으로 인해 연구자들은 필요한 정보를 찾거나 필터링하는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예측하여 관심 가질만한 정보를 선별하여 추천하는 시스템을 전문가시스템, 데이터마이닝, 정보검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연구하여 왔다. 최근에는 콘텐츠기반추천시스템과 협업필터링을 결합하거나 다른 분야 모델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추천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추천시스템 문제를 해결하고 대규모 정보센터나 도서관에서 학술논문을 효율적이고 지능적으로 추천하기 위해 협업필터링과 나이브베이즈모델을 결합한 새로운 방식의 추천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즉, 협업필터링 방식으로 과도한 특성화(Over-specialization) 문제를 해결하고, 나이브베이즈모델을 통해 평가정보나 이용정보가 부족한 신규콘텐츠 추천문제를 해소하였다. 본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DSL에서 제공하는 식품과 전기 분야 학술논문에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현재 NDSL 이용자 4명에게 피드백을 받은 결과 추천논문에 상당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한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출판된 문헌정보학 저널을 기반으로 (Domain Analysis on the Field of Open Access by Co-Word Analysis: Based on Published Journa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uring 2013 to 2018)

  • 김선겸;김완종;서태설;최현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3-356
    • /
    • 2019
  • 기존 상업 출판사 중심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체제가 가져온 위기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오픈액세스가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계량정보분석 기법 가운데 하나인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하여 오픈액세스 분야의 최신 연구 경향을 반영하는 지적구조를 제시하고 주제영역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두며, 기존에 수행되었던 오픈액세스 지적구조 분석 연구와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로부터 오픈액세스 관련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2013년 1월 1일부터 2018년 11월 31일까지 출판된 문헌정보학 분야 논문 총 761편을 수집하였으며, 이들 논문 가운데 제목과 초록으로부터 명사구 형태의 키워드 총 2,321개를 추출하였다. 오픈액세스 지적구조 분석을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13개의 세부 주제영역이 추출되었으며, 지적관계를 시각화하여 전역 및 지역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이 결과를 다차원축적지도에 표시하여 키워드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오픈액세스 영역에서의 연구 방향성 모색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학생 인성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Research Related to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Network Analysis)

  • 김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7-56
    • /
    • 2021
  •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대학생 인성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대학생 인성 관련 논문 194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인성 관련 연구는 2004년부터 발표되기 시작하여 2012년에 소폭 상승하였고, 2015년부터 상승곡선을 이어가다 2017년에 정점을 찍은 후, 하향추세인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연결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중심성을 가진 핵심 키워드는 '사회'와 '함양'이었다. 셋째, 1기(2004년-2010년)에는 개인적 차원과 인성의 인지적인 측면의 키워드, 2기(2011년-2015년)에는 사회적인 차원과 인성의 정서적인 측면의 키워드, 3기(2016년-2020년)에는 사회적인 차원과 인성의 인지·정서·행동적인 측면의 키워드가 핵심적이었다. 넷째,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능력, 생활, 대인, 만족, 적응의 키워드로 이루어진 토픽 2와 역량, 도덕, 시민, 사회, 실천으로 이루어진 토픽 1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1기에는 토픽 4 단독, 2기에는 토픽 1과 토픽 2의 순으로, 3기에는 토픽 2와 토픽 1의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 인성 관련 연구에 유용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의 데이터 출판경험 및 인식 연구 (A Study on Awareness and Experience of Data Publishing by Scientists)

  • 황혜경;정영임;조성남;서태설;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5-68
    • /
    • 2023
  • 본 연구는 오픈사이언스 연구환경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데이터 공유의 새로운 채널로 인정받고 있는 데이터 출판에 대한 국내 연구자의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문헌조사와 국내 과학기술분야 5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와 GeoAI 데이터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 출판에 대한 인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연구자들은 데이터에 대한 설명제공, 데이터로의 안정적 접근, 인용, 동료심사를 통한 품질확인을 데이터 저널의 장점으로 인식하였으나, 연구실적으로써의 데이터 논문 인정에는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또한 데이터 상세설명, 메타데이터 기술, 영구식별기호 부여 순으로 데이터 출판 속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리포지터리에 데이터 제출과 동료심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데이터 출판 촉진 요인으로 데이터 논문작성과 리포지터리 연계를 지원하는 투고심사시스템 개발과 데이터 인용을 지원하는 리포지터리 개발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국내 연구자들의 데이터 출판 경험과 인식은 향후 데이터 출판 서비스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다.

편집심사업무 관점에서 학술지 윤리강화를 위한 표절 검증사례 (Cases of Ethical Violation in Research Publications: Through Editorial Decision Making Process)

  • 황희중;이정완;김동호;신동진;김병구;김태중;이용기;김완기;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5호
    • /
    • pp.49-52
    • /
    • 2017
  • Purpose - To improve and strengthen existing publication and research ethics, KODISA has identified and presented various cases which have violated publication and research ethics and principles in recent years. The editorial office of KODISA has been providing and continues to provide advice and feedback on publication ethics to researchers during peer review and editorial decision making process. Providing advice and feedback on publication ethics will ensure researchers to have an opportunity to correct their mistakes or make appropriate decisions and avoid any violations in research ethic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different cases of ethical violation in research and inform and educate researchers to avoid any violations in publication and research ethics. Furthermore, this article will demonstrate how KODISA journals identify and penalize ethical violations and strengthens its publication ethics and practi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paper examines different types of ethical violation in publication and research ethics. The paper identifies and analyzes all ethical violations in research and combines them into five general categories. Those five general types of ethical violations are thoroughly examined and discussed. Results - Ethical violations of research occur in various forms at regular intervals; in other words, unethical researchers tend to commit different types of ethical violations repeatedly at same time. The five categories of ethical violation in research are as follows: (1) Arbitrary changes or additions in author(s) happen frequently in thesis/dissertation related publications. (2) Self plagiarism, submitting same work or mixture of previous works with or without using proper citations, also occurs frequently, but the most common type of plagiarism is changing the statistical results and using them to present a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3) Translation plagiarism, another ethical violation in publication, is difficult to detect but occurs frequently; (4) Fabrication of data or statistical analysis also occurs frequently. KODISA requires authors to submi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paper (the output of the statistical program) to prevent this type of ethical violation; (5) Mashup or aggregator plagiarism, submitting a mix of several different works with or without proper citations without alterations, is very difficult to detect, and KODISA journals consider this type of plagiarism as the worst ethical violation. Conclusions - There are some individual cases of ethical violation in research and publication that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five categories presented throughout the paper. KODISA and its editorial office should continue to develop, revise, and strengthen their publication ethics, to learn and share different ways to detect any ethical violations in research and publication, to train and educate its editorial members and researchers, and to analyze and share different cases of ethical violations with the scholarly community.

『대순사상논총』의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1집-25집(1996~2015) -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The Journal of Daesoon』 Vol.1-Vol.25 (1996~2015))

  • 장인호
    • 대순사상논총
    • /
    • 제27집
    • /
    • pp.201-243
    • /
    • 2016
  • 창간호인 1996년 1집부터 최근 2015년 25집까지(총26집) 『대순사상논총』에 게재된 학술논문 총358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우선, 『대순사상논총』지의 한국연구재단 등재를 위한 조건에서는 가장 중요한 학술지의 규칙성 및 정시성 등에서 자격에 미치지 못했다. 그리고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보면, 학술지의 논문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발행사항, 참고문헌 등 모든 면에서 원칙 및 규칙 등 일관성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양한 저자가 참여하고 있지만, 공동저자 논문 비율이 너무 낮았다. 학술지의 확대를 위해서는 대순사상에 대한 전문 연구자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소속기관 및 연구자들과 교류를 통해 연구 주제의 다양화를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순사상논총』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첫째, 학술지 발행주기의 규칙성 및 정시성을 위해 『대순사상논총』은 연2회 발행과 12편에서 15편 정도의 논문이 게재되는 것이 좋을것 같다. 둘째, 기본적인 검색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연구자들의 논문 공유를 위해서는 키워드와 초록은 한글과 영문으로 동시에 작성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적 분포도를 고려하고 다양하고 우수한 편집위원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대순사상의 특성을 주로 반영한 핵심영역과 대순사상과 융합을 할 수 있는 주변영역으로 적절이 배분되어야 한다. 여섯째, 논문의 첫 장에 중요한 서지사항이 모든 들어가는 것이 정보를 전달하는 면에서 필요하다. 일곱째, 권호 또는 Vol. no로 변환을 시도하고 발행 연월일을 명확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n th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Korea throughout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임윤진;손다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48-6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 핵심어의 구명 및 핵심어간의 연결 속성, 그리고 핵심어간의 확장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NCS관련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지 가운데 국가직무능력표준 또는 NCS를 키워드로 하는 논문이며, 총 345편의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동향의 분석 방법으로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논문의 제목에 나타난 용어에서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빈도분석을 위하여 KrKwic을 사용하였으며, 연결망 분석을 위하여 UCINET6.0, 연결망의 시각화를 위하여 NetDraw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는 2002년부터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오다가 2014년 이후 큰 폭의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교육과정, 분석, 활용, 직무, 대학, 교육' 등이 중점 키워드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의 하위 군집분석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취지와 목적을 실현하기 구체적인 전략 등에 관한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직업기초능력 향상과 대학생의 취업 관련 가능성에 탐색적 연구', '전문대학 중심의 전문교과의 교육과정 및 개편을 위한 실무적 연구', '고등학교 수준의 직업교육과정에 요구 및 인식에 관한 분석'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관한 국내 연구물의 키워드간의 연결 형성과정은 '직무${\rightarrow}$직무능력${\rightarrow}$국가직무능력표준(NCS)${\rightarrow}$교육${\rightarrow}$과정, 교육과정${\rightarrow}$개발, 대학${\rightarrow}$분석, 활용${\rightarrow}$자격, 적용, 개선${\rightarrow}$방안, 운영, 산업${\rightarrow}$설계${\rightarrow}$평가'의 형태로 확장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