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cylic acid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32초

Efficient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Salicylic Acid by Bactericidal ZnO

  • Karunakaran, Chockalingam;Naufal, Binu;Gomathisankar, Paramasivan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08-114
    • /
    • 2012
  • Salicylic acid degrades at different rates under UV-A light on $TiO_2$, ZnO, CuO, $Fe_2O_3$, $Fe_3O_4$ and $ZrO_2$ nanocrystals and all the oxides exhibit sustainable photocatalysis. While ZnO-photocatalysis displays Langmuir-Hinshelwood kinetics the others follow first order on [salicylic acid]. The degradation on all the oxides enhance with illumination intensity. Dissolved oxygen is essential for the photodegradation. ZnO is the most efficient photocatalyst to degrade salicylic acid. Besides serving as the effective photocatalyst to degrade salicylic acid it also acts as a bactericide and inactivates E.coli even in absence of direct light.

A Spectroscopic Study of Hydrogen Bonding between Riboflavin and Salicylic Acid Derivatives

  • Huh, Jae-Wook;Yu, Byung-Sul
    • 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30-137
    • /
    • 1976
  • Specific association phenomena of riboflayin-2',3',4',5',- tetraacetate and salicylic acid derivatives, such as salicylic acid, aspirin and salicylamide have been measured by infrared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Salicylic acid and riboflavin tetraacetate oxyl group of the former. Asprin and riboflavin tetraacetate form the 1:1 cyclic hydrogen bonded dimer by the same mode. Salicylamide froms the 1:1 cyclic hydrogen bonded dimer with riboflavin tetraacetate by using its amide group and carbonyl group. Salicylic acid derivatives are effective quenchers of the fluorescence of riboflavin tetraacetate. It is appeared that salifylamide is the strongest quencher among them. The quenching effect is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ssociation dimer.

  • PDF

Alleviating Effect of Salicylic Acid Pre-treatment on Soil Moisture Stress of Waxy Corn

  • Seo, Youngho;Ryu, Sihwan;Park, Jongyeol;Choi, Jaekeun;Park, Kijin;Kim, Kyungh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3-217
    • /
    • 2015
  • Soil moisture shortage can reduce yield of waxy corn because maize is one of the sensitive crops to the drought stress. Farmers cannot irrigate due to limited water resource and irrigating facilities although applying water is the most effective practice to solve the drought problem.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treatment effect of salicylic acid on reducing drought damage of waxy corn (Zea mays L.). Salicylic acid at concentration of 0.2 mM was applied at seven-leaf stage or ten-leaf stage three times. Drought stress was imposed by withholding irrigation from 11 days before anthesis to 10 days after anthesis.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significantly increased ear length by 11.0~12.3% and yield by 8.8~11.3% compared with non-treated control, indicating that the drought injuries of waxy corn can be alleviated through pre-treatment of salicylic acid at the vegetative stage.

스트레스 물질에 의한 벼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패턴 변화 (Alterations of Glutathione Peroxidase Patterns by Stressor Treatment in Rice Seedling Roots)

  • 김윤경;이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53-59
    • /
    • 2005
  • 동진벼 유묘 뿌리에 환원제인 ascorbic acid, 신호전달물질인 salicylic acid와 methyl jasmonic acid, 중금속인 $NiCl_2$$CuSO_4$ 및 NaCl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후 항산화효소인 glutathione peroxidase(GPX)의 활성과 동위효소의 패턴 변화를 살펴보았다. Ascorbic acid 처리에 의한 GPX의 총활성은 ascorbic acid 농도 증가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GPX활성 증가는 GPX1 동위효소의 현저한 활성증가에 기인하였다. GPX는 신호전달물질인 salicylic acid와 methyl jasmonic acid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응성을 보였다. GPX의 활성은 0.1 mM salicylic acid에 의해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이에 비해 GPX는 methyl jasmonic acid의 농도증가에 의존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1 mM methyl jasmonic acid에 의하여 약 3배의 활성증가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GPX1 동위효소는 salicylic acid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감소한 반면 methyl jasmonic acid 농도가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GPX의 총활성은 $NiCl_2$ 농도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었으나, $CuSO_4$ 처리군의 경우 GPX의 총비활성도는 0.5 mM $CuSO_4$에 의하여 약 2배 증가한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NiCl_2$$CuSO_4$ 처리에 의한 GPX 활성증가도 주로 GPX1 동위효소의 활성증가에 기인하였다. NaCl 처리에 의한 GPX 총활성은 300 mM NaCl 처리군에서 약 1.7배 증가되었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특이하게도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GPX2 동위효소 활성이 점차 증가하였다.

다양한 산화공정을 이용한 수중의 Chloramphenicol, Salicylic Acid 및 Ketoprofen 의약물질 제거 : 산화 동력학 평가 (Removal of Chloramphenicol, Salicylic Acid and Ketoprofen using Various Oxidation Processes : Oxidation Kinetic Evaluation)

  • 손희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9-2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화공정에서 chloramphenicol, salicylic acid 및 ketoprofen에 대한 제거특성을 평가하였다. 염소 투입농도에 따른 의약물질 3종의 제거특성을 살펴본 결과 chloramphenicol과 ketoprofen은 0.5~5.0 mg/L의 염소 투입농도에서 접촉시간 60분 동안 전혀 제거되지 않았으나 salicylic acid는 1.0 mg/L 이상의 염소 투입농도에서 제거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며, 접촉시간 및 염소 투입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율은 증가하였다. 오존 투입농도에 따른 의약물질 3종의 제거특성을 살펴본 결과 chloramphenicol과 ketoprofen은 0.2~2.0 mg/L의 오존 투입농도에서는 제거되지 않았으며, salicylic acid는 1.0~5.0 mg/L의 오존 투입농도에서 약 30~70%의 제거율을 보였다. 오존/과산화수소 투입농도별로 접촉시간에 따른 의약물질 3종의 제거특성을 살펴본 결과 오존단독 공정보다는 오존/과산화수소 공정에서의 제거율이 높았다. 염소, 오존 및 오존/과산화수소 투입농도별 의약물질 3종에 대한 산화분해 속도상수와 반감기를 살펴본 결과 염소, 오존 단독 투입에 비해 오존/과산화수소 공정에서의 산화분해 속도상수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산화수소/오존의 비가 1 이상에서는 산화분해 속도상수의 증가율이 둔화되었다. Salicylic acid의 경우는 염소와 오존처리에 의해서도 비교적 큰 산화분해 속도상수를 나타내어 산화공정에서 쉽게 제거가 가능하였다.

소나무류(類) 침엽내(針葉內)의 salicylic acid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防除效果) (Effects of Controlling the Pine Needie Gall Midaes by Salicylic Acid Content in Needles of Some Pinus spp.)

  • 손두식;엄태진;최장옥;장약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31-37
    • /
    • 1999
  • 소나무, 해송의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율(蟲廮形成率)은 35~40%이나 버지니아소나무, 리기다소나무에는 산란(産卵)은 하나 충영(蟲廮)이 형성(形成)되지 않으므로 침엽내(針葉內)에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이 존재(存在)함을 알 수 있었다. 솔잎혹파리의 감수성(感受性) 수종(樹種)인 소나무, 해송의 침엽내(針葉內) free phenol상태의 salicylic acid는 소량(小量) 함유(含有)되어 있으나 내충성(耐蟲性) 소나무인 버지니아소나무, 리기다소나무에는 37~50ppm이 함유(含有)되어 있어 salicylic acid는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로 추정(推定)된다. 솔잎혹파리에 감수성(感受性) 수종(樹種)인 소나무와 해송에 salicylic acid의 용액(溶液)을 관수(灌水) 혹은 분말(粉末)을 뿌리에 주어 침엽내(針葉內) salicylic acid의 함량(含量)을 높여 줌으로써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하여 충영형성율(蟲廮形成率)을 17~19배(倍)로 감소(減少)시킬 수 있었다. Salicylic acid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防除)는 유충(幼蟲)이 알에서 부화(孵化)하기 전(前)에 처리(處理)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며, 해송과 버지니아소나무 교잡종(交雜種)의 충영형성율(蟲廮形成率)은 양친수종(兩親樹種)의 중단수치(中間數値)인 24%이나 교잡종중(交雜種中) 선발(選拔)한 개체(個體)에 따라 2.8%, 11.5%의 충영형성율(蟲廮形成率)을 나타내므로 침엽내(針葉內)salicylic acid의 함량(含量)에 의해서 솔잎혹파리에 대한 내충성(內蟲性) 개체(個体)를 선발(選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살리실릭애씨드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가 적용된 투명 클렌징 워터의 개발 (Development of Transparent Cleansing Water with Salicylic Acid and Capryloyl Salicylic Acid)

  • 여혜림;박인정;정소영;이소민;김형묵;이미기;곽병문;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7-95
    • /
    • 2022
  • 본 연구는 베타 하이드록시애씨드(beta-hydroxy acid, BHA)인 살리실릭애씨드와 지방족 하이드록시애씨드(lipo-hydroxy acid, LHA) 중 하나인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capryloyl salicylic acid)가 적용된 투명한 외관의 클렌징 워터 제품 개발에 관한 것이다. 에탄올, 폴리올 및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이용하여 지용성인 살리실릭애씨드와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상승시킨 후 2 종류의 PEG 계면활성제의 이중 마이셀 구조를 이용하여 현탁 및 석출 현상을 보완함으로써 투명 외관을 안정화하였다. 이러한 기술이 적용된 클렌징 워터를 개발하였고 광학 카메라와 이미지 분석기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세정 능력과 피부결 개선 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개된 가용화 기술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그동안 적용이 어려운 LHA의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제안하며 새로운 화학적 필링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Hydrazine-Copper 방법을 이용한 연속흐름제어장치를 통한 식물체의 nitrate 분석 (Continuous-Flow Analysis for Determination of Nitrate Using Hydrazine-Copper Method in Plan)

  • 박양호;박소현;이주영;장병춘;이기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04-208
    • /
    • 2006
  • 이연구의 목적은 연속흐름제어장치를 통한 식물체의 nitrate 분석방법 및 RQflex 방법 및 salicylic acid 방법과 비교를 통해 그 정확성을 확인하고자 함에 있다. 분석은 메론, 수박, 오이, 그리고 토마토 잎을 현장에서 채취 후, 분석시까지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후 분석하였다. RQflex로 측정한 결과가 CFA방법이나 salicylic acd 방법보다 약간 높게 나왔으며, CFA방법과 salicylic acid 방법과의 상관관계는 $R^2=0.9671$을 보였으며, RQflex와의 상관관계는 $R^2=0.9739$를 보였다.

GUS Expression Driven by Promoter of AtSAGT1 Gene Encoding a Salicylic Acid Glucosyltransferase 1 in Arabidopsis Plants

  • Sendon, Pamella Marie;Park, Jong-Beum;Park, Soon-Ki;Song, Jong Tae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2호
    • /
    • pp.83-87
    • /
    • 2013
  • AtSAGT1 encodes a salicylic acid (SA) glucosyltransferase enzyme that catalyzes the formation of SA glucoside and SA glucose ester. Here, the AtSAGT1 gene expression patterns were determined in AtSAGT1 promoter::GUS transgenic Arabidopsis plants. As a result, the factors regulating the induction of AtSAGT1 were identified as pathogen defense response, wound response, exogenous application of SA, and jasmonic acid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