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nup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2초

고정된 사각형 수중 및 부유식 구조물에 의한 고립파의 처오름높이 저감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n Reduced Runup Height of Solitary Wave by Fixed Submerged and Floating Rectangular Obstacles)

  • 신충훈;김형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211-221
    • /
    • 2022
  • 파의 처오름높이는 제방, 호안 및 방파제와 같은 해안 구조물의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수압 수치모형인 SWASH(Zijlema et al., 2011)를 이용해 고정된 수중 및 부유식 사각형 구조물에 의한 고립파의 처오름높이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SWASH 수치모형이 고립파의 전파, 쇄파 및 처오름현상을 매우 잘 재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중 및 부유식 사각형 구조물에 의한 고립파의 파랑변형을 잘 재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중 및 부유식 사각형 구조물의 처오름높이 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부유식 구조물의 에너지 감쇠효과는 수중 구조물보다 크고, 처오름높이 저감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TP로 피복된 경사식구조물의 처오름높이 산정식: 사면경사 1:1.5 조건 (Empirical Formula for Wave Runup of Rubble-Mound Structure Covered by Tetrapods: 1:1.5 Slope Condition)

  • 이종인;배일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845-852
    • /
    • 2015
  • 파랑의 처오름높이는 항만 및 호안구조물의 마루높이 산정에 있어 주요한 설계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TTP로 피복된 경사식구조물을 대상으로 2차원 수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에 적용된 실험파는 불규칙파로서 구조물 toe 위치에서 비쇄파, 쇄파 및 쇄파된 파의 조건을 포함한다. 본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사면경사 1:1.5인 경사식구조물의 처오름높이를 산정할 수 있는 경험식을 쇄파 유사성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결과는 기존 연구결과인 van der Meer and Stam(1992)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시간차를 지닌 단층파괴 활동이 동해안 처오름 높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ult Failure with Time Difference on the Runup Height of East Coast of Korea)

  • 정태화;손상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223-229
    • /
    • 2020
  • 시간차를 지닌 단층파괴 활동은 지진해일의 초기파형 생성에 영향을 끼치며, 이로 인해 해안에서의 처오름 높이에도 변화를 준다. 이러한 단층파괴 활동이 처오름 높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본 서해역에 다수의 가상 단층파괴를 가정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소단층들이 해안선에 평행하게 위치한 경우에는 시간차를 지닌 단층파괴가 처오름 높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으나, 해안선에 수직으로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초기파형의 중첩효과가 두드러지게 발생하여 해안선에서 처오름 높이가 증가하였다.

TTP로 피복된 경사식구조물의 처오름높이 산정식: 사면경사 및 피복층 두께 효과 (Empirical Formula for Wave Runup of Rubble-Mound Structure Covered by Tetrapods: Effects of Front Slope and Armour Layer Thickness)

  • 이종인;배일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1051-1059
    • /
    • 2015
  • 파랑의 처오름높이는 항만 및 호안구조물 설계의 주요한 설계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고, 불규칙파 조건에서의 파랑의 처오름높이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실험에 적용된 경사식구조물 모형은 사면경사가 1:2이고, TTP로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상대파고 (toe 위치에서의 유의파고와 수심의 비)은 0.14~0.56 범위에서 수행되었고, 제안된 처오름높이 산정식은 쇄파 유사성 매개변수가 2~6인 적용 범위를 갖는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사면경사 1:2의 처오름높이가 1:1.5인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실험조건에서 피복층의 두께가 약 2배될 때 처오름높이는 평균 5% 감소하였다.

마루높이 설정을 위한 월파확률의 신뢰성 해석 (Reliability Analysis of the Expected Overtopping Probability of Rubble Mound Breakwater)

  • Kweon, Hyuck-Min;Suh, Kyung-Doug;Lee, Young-Yeol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3년도 한국해안해양공학발표논문집
    • /
    • pp.376-381
    • /
    • 2003
  • The reliability analysis of overtopping probability is proposed. In order to estimate the expected overtopping probability of the rubble mound breakwater, the experimental results of individual wave runup height is applied for the analysis of irregular wave system. The joint distribution of wave heights and periods is used for the input data of runup calculation because the runup height depends on the wave height and period. The runup heights during the one event that the design wave attacks the rubble mound breakwater extend to the one life cycle of 60 years. Utilizing the Monte-Carlo method, the one life cycle is tried more about 60 times for obtaining the expected value of overtopping probability. It is found that the inclusion of the variability of wave tidal and wave steepness has great influence on the computation of the expected overtopping probability of rubble mound breakwater. The previous design disregarding the tidal fluctuation largely overestimates or underestimates the expected overtopping probability depending on tidal range and wave steepness.

  • PDF

파랑 스펙트럼 형상에 따른 처오름 특성 (Runup Characteristics with the Variations of Wave Spectral Shape)

  • 박승민;윤종태;정원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381-387
    • /
    • 2014
  • 최근 우리나라 동해안에는 너울성 고파의 반복적인 내습이 빈발하고 있다. 외해에서 발생하여 갑작스런 내습과 함께 인명과 시설에 피해를 끼치는 너울성 고파를 대상으로 그 처오름 특성을 확인하였다. 파랑 스펙트럼의 형상을 정량화하기 위해 스펙트럼 형상모수 $Q_p$, ${\varepsilon}$, ${\nu}$ 등을 도입하여 이들 모수들과 유의파고 및 첨두주기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고, MIKE21 BW 모듈을 사용하여 완경사 해안에 대한 처오름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파고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낮은 $Q_p$를 추가적인 형상 변수로 채택하여 파랑 스펙트럼의 형상 변화에 따른 처오름 높이의 변화와 특성을 확인하였다.

불투수성 경사면에서 파의 처오름과 반사 (Runup and Reflection of Waves on Impermeable Slopes of Coastal Structures)

  • 이철응
    • 산업기술연구
    • /
    • 제21권B호
    • /
    • pp.175-185
    • /
    • 2001
  • A numerical model is represented to calculate the reflected waves, the runup of waves and the wave induced velocities on impermeable slopes for the normally incident wave trains of nonlinear monochromatic wave and solitary wave. The finite amplitude shallow water equations with the effects of bottom friction are solved numerically in time domain using an explicit dissipative Lax-Wendroff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numerical model is verified by comparisons with the other numerical results, the measured data and asymptotic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uprushing and downrushing of incident waves may be accurately predicted by the present numerical model. Therefore, the present numerical model can be applicable to swells as well as long waves.

  • PDF

Development of Wave Overtopping-Overflow Transition Model Based on Full-scale Experiments

  • Mase, Hajime;Kim, Sooyoul;Hasegawa, Makoto;Jeong, Jae-Hoon;Yoon, Jong-Sung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8-135
    • /
    • 2020
  • When high waves and storm surge strike simultaneous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uid field change drastically from overtopping according to the wave runup height to overflow through a transition state that combines overtopping and overflows. However, an estimation model or evaluation method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because there is not enough engineering data. This study developed a wave overtopping-overflow transition model based on a full-scale experiment involving wave overtopping and overflow transition, which appropriately reproduced the effect of waves or the temporal change in inundation flow. Using this model to perform a calculation for the wave overtopping and overflow transition process under typical circumstances, this study determined the wave runup height and features of the inundation flow under time series changes as an example.

조석, 파랑의 침투와 지하수 거동 (Tide, swash infiltration and groundwater behavior)

  • ;;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3-162
    • /
    • 1997
  • 시간평균된 해안의 지하수위는 내륙쪽에 강우가 없는 경우에도 평균해수면 (Mean Sea Level)보다 1내지 2미터 정도 높은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러한 해안의 지하수위상승현상은 주로 파랑과 조석의 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상승에 미치는 조석 및 파랑의 효과를 현장관측결과를 통해 정량적으로 보여주었으며, 또한 이들 각각의 작용에 기인한 지하수위상승에 대한 해석해 및 최근 이론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최근 지하수의 수리학적 모델링에 관한 연구에서 파랑의 침투 (wave runup infiltration)효과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는 바, 본 연구를 통해 종래에 보고된 바 없는 swash zone (shoreline과 runup limit사이)에서의 파랑의 침투속도(분포)를 지하수위관측자료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산정함으로써 해안의 지하수위예측모델링을 보다 정확히 수행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1992年 니카라구아 쓰나미의 범람 산정 (Runup Computation of 1992 Nicaraguan Tsunami)

  • 최병호;정홍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4-32
    • /
    • 1995
  • 1992年 니카라구아 서쪽해역에서 해저강진이 발생하여 이 지진에 의한 지진해파(쓰나미)는 태평양 연안을 엄습하여 적어도 95여명이 사망하고 155명이 부상했으며 3,0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전관의 연구(Imamura 등, 1993)에서는 1992年 Nicaragua 쓰나미의 발생과 전파과정이 보고되었는데 적용된 모형은 구면좌표의 원역모형과 직교좌표의 근역 모형으로서 해안에서 직립벽의 가정하에 산정된 결과는 실제 관측 결과와 범람비에 의해 보정되어야만 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역에 이동 경계를 채택하는 범람 모형을 사용하므로써 El Transito에서 관측된 6.4-9.9m의 범람고가 재현될 수 있는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