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pening period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7초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관(關)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연구(硏究) -제2보(第2報) 신미성분(辛味成分)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after-ripening of hot pepper fruits -(Part 2) Changes in hot-taste component-)

  • 이성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1호
    • /
    • pp.29-34
    • /
    • 1971
  •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신미성분(辛味成分)의 추숙(追熟)에 따른 변동(變動)을 측정(測定). 고찰(考察)하였다. (1) 추숙중(追熟中)의 각(各) stage의 sample을 진공동결건조(眞空凍結乾燥)하므로서 생리작용(生理作用)을 정지(停止)시켜 capsaicinoid의 함량(含量)을 측정(測定) 하였든 바 추숙(追熟)에 따라 줄곧 증가(增加)하였다. (2) capsaicin의 vanilly amine부(部)의 생합성과정(生合成過程)을 고찰(考察)하기 위하여 추숙(追熟)에 따른 phenylalanine 함량(含量) 과 PAL활성도(活性度)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므로서 capsaicin이 추숙(追熱)에 따라 서서(徐徐)히 생성(生成)되어 최종대사산물(最終代謝産物)로서 축적(蓄積)되어 나가는 것으로 추정(推定) 할 수 있었다. (3) lignin 양물질(樣物質)은 추숙(追熟)에 따라 capsaicinoid와 한가지로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4) polyphenol물질함량(物質含量)과 polyphenol oxidase 활성도(活性度)는 상온구(常溫區)보다 저온구(低溫區)가 높았다.

  • PDF

수도(水稻)의 등숙생리(登熟生理)에 관(關)한 연구 -II 진흥(振興)과 IR667의 경별(莖別) 등숙분석(登熟分析) (Studies on Ripening Physiology of Rice Plant -II Analysis of Ripening Structure at Tiller Level in Jinheung and IR667)

  • 박훈;권항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5-82
    • /
    • 1972
  • 등숙기간(登熟期間)(출수전(出穗前) 10일(日)부터 출수후(出穗後) 30일(日)까지)의 기상요인(氣象要因)의 등숙율(登熟率)에 주는 영향(影響)은 군락단위(群落單位)나 그 군락(群落)의 경단위(莖單位)에서 동일(同一)하다는 가설(假說)을 제기(提起) 검토(檢討)한 결과긍정(結果肯正)되었으며 경별(莖別) 등숙구조(登熟構造)를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등숙적온(登熟適溫)(등숙(登熟)에 지장없는 등숙기간(登熟期間)의 평균기온(平均氣溫))은 진흥(振興)에서 $21^{\circ}C$ IR667-수원 214에서 $22^{\circ}C$였다. 2. 최소등숙일사량(最少登熟日射量)(등숙(登熟)에 충분(充分)한 등숙기간(登熟期間)의 최소평균일사량(最少平均日射量) $cal\;cm^{-2}\;day^{-1}$)은 진흥(振興)에서 240보다 크지 않고 IR677에서 270보다 크다. 3. 진흥(振興)은 주간(主稈)얼자의 제(第)1 분얼경까지 주간(主稈)의 등숙율(登熟率)과 같았으나 IR667은 주간(主稈) 제(第) 4얼자부터 등숙률(登熟率)이 감소(減少)하며 주간(主稈)의 입수(粒數)가 IR667에서 더욱 많으므로 IR667의 수량(收量)은 주간비율(主稈比率)을 높임으로서 이룩될 수 있다. 4. 수원(水原)에서 최종출수한계일(最終出穗限界日)은 진흥(振興)은 8월30일이고 IR667은 8월25일로 나타났다.

  • PDF

Chitosan/whey Protein (CWP) Edible Films Efficiency for Controlling Mould Growth and on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During Storage of Göbek Kashar Cheese

  • Yangilar, Filiz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6-224
    • /
    • 2015
  • The objective of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chitosan and chitosan/whey protein on the chemical, microbi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Göbek Kashar cheese during ripening time (on 3rd, 30th, 60th and 90th d). Difference in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changes between sampl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p<0.05) during ripening period. Cheese samples with edible coating had statistically lower mould counts compared to the uncoated samples. Furthermore the highest and lowest mould counts were determined in control (4.20 Log CFU/g) and other samples (<1 Log CFU/g) at 60th and 90th d of storage. All samples exhibited higher levels of water soluble nitrogen and ripening index at the end of storage process. At the end of 90 day storage period, no signicant dierences in salt and fat values were observed among the cheeses studied. The edible coatings had a beneficial effect on the sensory quality of cheese samples. In the result of sensory analysis, while cheese C and the chitosan coated cheese samples were more preferred by the panellists, the chitosan/whey protein film-coated cheese samples received the lowest scores. This study shows coating suggests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eese during ripening time.

기후변화에 따른 벼 적정 등숙기간의 변동과 대책 (Climate Change Impacts on Optimum Ripening Periods of Rice Plant and Its Countermeasure in Rice Cultivation)

  • 윤성호;이정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70
    • /
    • 2001
  • It was unusual crop weather for 1998 and 1999 compared with normal in Korea. The consecutive days of the optimum ripening period for rice plant that had daily mean temperature 21~23$^{\circ}C$ for 40 days after flowering, increased with long anomalies in 1998~99. The air temperature during ripening period was much higher tha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lower sunshine hour than norm in the local adaptability tests of newly developed rice lines during those years. In response of rice cultivation to warming and cloudy weather during crop season, the yield shall be decreased. Most scientists agree that the rate of heating is accelerating and temperature change could become increasingly disruptive. Weather patterns should also become more erratic. Agrometeorologists could be analyzed yearly variations of temperature, sunshine hour and rainfall pattern focused on transient agroclimate change for last a decade. Rice agronomists could be established taking advantage of real time agricultural meteorology information system for fertilization, irrigation, pest control and harvest. Also they could b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response of the recommended and newly bred rice cultivars for suitable cropping plan such as cultural patterns and sowing or transplanting date. Rice breeders should be deeply considered introducing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vegetative type of flowering response like Togil rices as prospective rice cultivars corresponding to global warming because of the rices needed higher temperature at ripening stage than japonica rices, photoperiod-sensitive and thermo-sensitive ecotypes.

  • PDF

수도재배시기별 Japonica 및 Tongil형 품종의 영화간 등숙특성 발아세 및 미질연구 (Studies on the Ripening Characteristics, Germination Speed and Quality among Different Floret of Japonica and Tongil Type of Rice under Different Growing Season)

  • 권규칠;박성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10-323
    • /
    • 1989
  • 수도의 재배시기를 달리하고 Tongil형 3품종과 Japonica형 3품종 도합 6개 품종은 공시하여 동일 이삭내에서 개화시기가 다른 강.중.약세영화간의 등숙특성 발아세 및 미질에 관한 차이를 구명하고자 1988년 충청북도 농촌진흥원 답작포장에서 적파적식(5월 25일 이앙)과 만파만식(6월 10일 이앙)으로 재배하고 출수후 동일이삭내에서 1일, 5일, 8일에 개화한 영화들의 생리적 성숙기간 등숙속도, 천입종, 발아세 및 미질의 차이를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리적 성숙기간은 적파적식에서 출수후 1일 개화한 강세영화는 21일, 5일 개화한 중세영화는 25.5일, 8일 개화한 강세영화는 30일이었고, 만파만식에서는 각각 25일, 28.5일, 33일로 두 재배시기에서 강세영화와 약세영화간 차는 8~9일이었다. 2. 등숙속도는 적파적식에서 출수후 1일 개화한 영화는 1,104.7, 5일은 808, 8일은 593mg/1,000/day 이었고 만파만식에서는 각각 875, 702.2, 534.7mg/1,000/day으로 강세영화보다 약세영화가 현저히 낮았다. 3. 개화시기가 다른 세입간의 정상천입중 차는 적파적식 및 만파만식에서 공히 출수후 1일 개화한 입의 천입중이 25.6~27.1, 5일은 23.3~24.6, 8일은 20.9~22.9g으로 동일 이삭내에서 개화시기가 빠른 강세영화일수록 입중이 무거웠으며 현미 1,000 입중, 왕겨 1,000입도 같은 경향이었다. 4. 32$^{\circ}C$의 최아조건하에서 90% 이상의 발아세에 도달하는 기간은 품종군 공히 출수후 1일에 개화한 강세영화곡입이 24~48시간, 5일 개화한 중세영화 입이 48~72시간, 8일 개화한 약세영화곡입이 48~96시간 소요되어 강세영화곡입에서 높았고, 약세영화곡입으로 갈수록 낮아졌다. 5. Amylose함량은 태백벼와 화성벼의 경우 개화시기가 늦은 약세영화곡입에서 낮아졌고 삼강벼와 추청벼는 이와 상반되는 경향을 보여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Alkali 붕괴도도 Amylose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숙성 및 건조기간중 소금농도에 따른 Dry Sausage의 이화학적 성상 및 미생물의 증식 특성 (Effect of Added NaCl Levels on the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Dry Sausage during Ripening Period)

  • 신현길;최성수;강익순;한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55-761
    • /
    • 1988
  • 식염의 1.7%, 2.2%, 2.7% 그리고 3.2%의 첨가수준에 따라 발효소세지의 숙성 및 건조중 이화학적 변화 및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Stahpylococcus aureus의 접종시험을 통해서 이들의 증식관계를 조사하였다. 소금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pH는 완만하게 떨어졌으며 모든 처리구 공히 원료혼합육 5.8 수준에서 최종제품 4.8-4.6의 pH를 나타내었다. 조직은 소금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저작성과 경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낮은 식염처리구에서는(1.7%, 2.2%)제품으로서의 조직을 갖지 못했다. 소금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총 세균수와 Lactobacilli수는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아울러 완만하게 증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원료혼합육 g당 $10^5$ cells수준으로 접종한 St. aureus는 소금의 첨가수준에 의하여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각 처리구 마차가지로 21일 숙성기간중 $10^4$ cells/g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Enterobacteriaceae는 소금의 첨가량이 낮아짐에 따라 그들이 생존기간이 길었다.

  • PDF

유화제 종류에 따른 nanoemulsion의 형성과 Ostwald ripen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Ostwald ripening stability of nanoemulsion with various emulsifiers)

  • 박은정;이의석;홍순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36-545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emulsifiers on the formation of nanoemulsions and their stability properties. MCT (medium chain triglyceride) nanoemulsions were prepared (10 wt% oil, 10 wt% emulsifiers, 20 mM bis-tris, pH 7) with emulsifier such as Tween 20 (Polyoxyethylene(20) sorbitan monolaurate), Almax 3800 (Sorbitan monooleate), soy lecithin, and SSL (sodium stearoyl lactylate) and changes in fat globule size with respect to storage period and stability properties by Turbiscan were investigated. In case of control nanoemulsion with 10 wt% Tween 20, the initial fat globule size was 89.0 nm and 113.4 nm after 28 day of storage and this large increase (ca. 24 nm) was thought to be caused by Ostwald ripening. When Tween 20 was partially replaced with Almax 3800, lecithin and SSL in nanoemulsions,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i.e., fat globule size and stability) were changed accordingly. In general, the intial fat globule siz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mulsifiers and the stability against Ostwald ripening increased. The most stable nanoemulsions against Ostwald ripening could be prepared with emulsifiers of Tween 20 and Almax 3800 or lecithin in the ratio of 6:4 (wt%), which was verified with Ostwald ripening rate (${\omega}$). In addition, the emulsion stability by Turbiscan was observed to be consistent with results of changes in fat globule size with storage period.

사과 품종별 성숙에 따른 유용성분 함량 변화 (Changes in Effective Component Contents of Apple Cultivars by Ripening)

  • 홍정진;설희경;김윤숙;정은호;김영봉;홍광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64-370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cultivars and determine the harvest period suited for the availability of biological activities in unripen apple. To analyze effective the components in the apple (Malus domestica), three cultivars, 'Summerking', 'Hongro', 'Fuji' were harvested from 40~50 days after full bloom to harvest time. Soluble solid content increased gradually by ripening but titratable acidity decreased with ripening regardless of the cultivars. The total phenol content significantly reduced with ripening from May 30 to July 30 (p<0.05). Substantially, the total phenol content of 'Hongro' in May 30 was four times higher than that of 'Summerking' in the same period and ten times higher than that of 'Hongro' in August 30. The total flavonoid content reduced with ripening regardless of cultivars (p<0.05) and that of 'Hongro' in May 30 was significantly highest (p<0.05). The ascorb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Hongro' in May 30 (p<0.05). The contents of tannin and ursolic acid significantly reduced with ripening from May 30 to July 30 (p<0.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Hogro and Fuji after July 30. Therefore, 'Hongro' harvested in May 30 was considered to be best in the utilization of the effective components of immature apple.

과맥의 파성에 대한 생리화학적 연구 제4보 등숙과정에 있어서의 종자단백질의 전기영동특성 변이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the Spring Habits in Naked Barley IV. Electrophoretic Variations in Seed Proteins during Ripening)

  • 최선영;이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5-59
    • /
    • 1982
  • 추파성정도가 다른 과맥품종의 등숙과정중 종자단백질의 변이를 acrylamide gel 전기영동으로 조사하여 파성과 종자단백질과의 관계를 추구하였다. 1. 7% acrylamide gel의 경우, 단백질 band는 품종에 관계없이 등숙정도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band수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출수후 38일에는 논산과: 13, 세도하다까: 15, 완주: 15개의 band를 볼 수 있었다. 2. 품종간에 큰 차이를 나타낸 단백질 구성분중 ⅰ band는 전조사기간에 걸쳐 세도하다까와 완주에서만 볼 수 있었으며 j band는 출수후 33일까지 전품종에서 볼 수 있었으나 그후 논산과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다. 3. urea 첨가 7% acrylamide gel에서의 단백질 band수는 등숙초기보다 등숙후기에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7% acrylamide gel에서 보다 적었다. 4. 품종간에 질적 차이를 보인 z bandsms ⅰ band 의 경우와의 대조적으로 전등숙기간에 걸쳐 논산과에서만 흔적으로 볼 수 있었다. u band는 출수기 23일까지 전품종에 존재하였으나 그후 논산과에서는 볼 수 없었으며 x band는 u band의 경우와 반대였다. 5. 전등숙기간에 걸쳐 양절형인 세도하다까의 전기영동류형은 논산과의 것보다 완주의 것과 훨씬 비슷하였는데 이는 양절형의 유전자형이 춘파형에 더 가깝다는 것을 시사한 것 같다.

  • PDF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관(關)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연구(硏究) -제3보(第3報) 지질(脂質)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after-ripening of hot pepper fruits -(Part 3) Changes in lipids-)

  • 이성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1호
    • /
    • pp.35-41
    • /
    • 1971
  •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따른 지질(脂質)의 변화(變化)를 중성지질(中性脂質)과 극성지질(極性脂質)로 분획(分劃)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중성지질(中性脂質)의 함량(含量)은 cli. stage에서 최저치(最低値)가되고 극성지질(極性脂質)의 함량(含量)은 post-cli. stage에서 격감(激減)하고있다. 2.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지방산(脂肪酸)으로서 주(主)가 되는 것은 linoleic acid이고 이것은 추숙(追熟)에 따라 점감(漸減)하고 있다. 3. 중성지질(中性脂質) fatty acid의 saturates/unsaturates치(値)가 cli. stage에서 최저(最低)가 되는데, 이것을 중성지질함량(中性脂質含量)도 cli.stage에서 최저(最低)를 가리키는 것과 아울러 생각할때 climacteric rise가중성지질(中性脂質)의 대사(代謝)와 관계(關係)가 있는것 같다. 4. 극성지질(極性脂質)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추숙(追熟)에 따라 linoleic acid가 줄곧 감소(減少)하고 linoleic acid가 증가(增加)하여 cli. stage에서 역전(逆轉)하고 있는데, 이것은 고추의 climacteric rise에 따라 일어나는 막성분(膜成分)의 변화(變化)를 가리키는 한 지표(指標)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