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n exuda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리기다소나무재의 수지 삼출성과 접착 특성 (Bonding Properties and Resin Exudation Characteristics of Pitch Pine)

  • 노정관;김윤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213-220
    • /
    • 2018
  • 리기다소나무를 구조용 집성재의 재료로 이용하기 위해 판면의 옹이와 대패가공 후 방치시간에 따른 수지 삼출량이 레조르시놀수지로 접착한 판재의 접착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고온($120{\sim}95^{\circ}C$) 및 저온($65{\sim}50^{\circ}C$)에서 건조한 리기다소나무의 수지 삼출량은 판목면이 정목면 보다 저온건조재가 고온건조재보다 많았다. 방치시간별로는 저온건조재는 3일째 고온건조재는 7일째에 최고함량을 보였고, 이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여 15~90일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접착성능은 수지의 삼출이 많은 2~3일까지는 낮았으나 15일 이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고온 및 저온 건조재 모두 방치시간에 관계없이 KS 기준의 접착성능을 만족하였다. 옹이부가 포함된 적층 구성에서의 접착강도는 KS의 접착강도 기준 이상이었으나 목파율은 기준인 65% 이상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적층 단면구성(정목+정목, 판목+판목, 정목+판목)에 따른 접착성능은 고온 및 저온건조재 모두 모든 적층구성에서 KS의 기준을 크게 상회하였다.

저압증기폭쇄(低壓蒸氣爆碎)처리가 고온영역(高溫領域)하에서의 목재(木材) 수지삼출(樹脂渗出) 예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Pressure Steam Explosion Treatment on Prevention of Resin Exudation from Wood under High Temperature Surroundings)

  • 이남호;박희준;;진영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9-18
    • /
    • 2004
  • 본 과제는 Spruce재가 사우나와 같은 고온 공간용 부재(部材)로 사용되어질 때 나타나는 수지삼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그 방안을 제시코저 수행하였다. 건식(乾式)공간용 부재(部材)의 경우 적절한 열기건조가 이루어진다면 별도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더라도 110℃의 수지삼출 안정선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고주파진공건조에 의해 수지삼출 안정선이 열기건조보다 약 20℃ 정도 더 상승하였다. 습식(濕式)폭로시험에서는 저압증기폭쇄처리재의 경우 열기건조재나 고주파진공건조재 모두 수지가 전혀 삼출되지 않은 반면에, 무처리재의 경우 건조방법에 관계없이 130℃ 이상의 폭로조건에서는 수지삼출의 정도가 건식(乾式)폭로시험의 경우보다 심한 것으로 나타나, 수지삼출을 예방하기 위하여 인공건조중 저(低)함수율 상태의 건조말기에 고온(高溫)을 적용하여 건조하는 것보다는 건조전 고(高)함수율 상태에서 과열(過熱)증기로 분무(噴霧)처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낙엽송 열기건조재의 수지삼출예방을 위한 처리기술 (Treatments to Prevent Kiln-dried Larch Boards from Resin Exudation)

  • 강호양;김수원
    • 농업과학연구
    • /
    • 제31권1호
    • /
    • pp.9-14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deresinning the larch boards dried in a conventional kiln. Prior to heat treatment they were steamed in an autoclave for 5 hours or frozen for 24 hours at a temperature of $-35^{\circ}C$. The velocities of ultra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specimens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with their resin contents. It was found that the specimens heated at $100^{\circ}C$ for 5 hours contained less resin that those heated at $200^{\circ}C$ for an hour. Both treatments of steaming and freezing were effective for deresinning and the former was better than the latter. The ultrasonic velocities measured before the heat treat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o the resin contents of the specimens, but those measured after the heat treatment a positive correlation. This difference may be attributed to the viscosity of resin.

  • PDF

잣나무 간벌(間伐)통나무와 수심재(髓心材)의 가열판식(加熱板式) 진공건조(眞空乾燥)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Vacuum Drying Heated by Hot Plates for the Thinned Logs and Pillars of Korean Pine)

  • 정희석;이남호;박정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4호
    • /
    • pp.51-60
    • /
    • 1997
  •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ir-and vacuum-drying heated by hot plates for 8~14cm-diameter logs or 6~12cm-thick pillars of Pinus koraiensis. And we evaluated the effects of longitudinal kerf and vacuum drying heated by hot plates. The vacuum drying times from green to 10.9~18.6% MC were 15 days, and these times were one-fifth compared to the air-drying times. The longitudinal kerf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rying rates during both air-drying and vacuum drying. But drying defects such as surface checks and V-shaped cracks were effectively prevented during air-drying and vacuum drying by longitudinal kerfing. The vacuum drying was more advantageous than air-drying for preventing of surface checks, end checks and V-shaped cracks, and especially, the vacuum dried pillars with longitudinal kerf were almost free from drying defects. In accelerated weathering conditions the resin did not exude for all specimens.

  • PDF

산불 피해 소나무 목재의 해부 및 물리적 특성 - 피해 정도에 따른 차이- (Anato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Wood Damaged by Forest Fire - Difference by Damage Level -)

  • 권성민;전근우;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84-92
    • /
    • 2008
  • 강원도 양양 지역 산불 피해 소나무 목재의 피해 정도에 따른 해부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피해 정도에 따라 수피의 탄화 깊이가 깊어지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목질부까지 탄화가 진행되지는 않았으며 수지의 삼출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산불 피해목 변재의 생재함수율은 건전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심재의 경우에는 건전재보다 피해목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생재밀도는 피해재 심재가 건전재 심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변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형성층대를 관찰한 결과, 산불 피해를 강하게 입은 경우 형성층의 활동이 일어나지 않았고, 비교적 피해를 약하게 입은 경우에는 형성층의 활동이 관찰되었으나 세포분열 속도는 건전재보다 느렸다. 산불 피해를 강하게 입은 목재에서는 에피델리움세포와 방사조직의 세포벽이 짙게 염색되고 세포내에 과립형태의 물질이 관찰되었으며, 최외각 연륜 부위의 결정화도는 산불 피해재가 건전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재선충 접종목의 수분포텐셜 변화 (Changes in Water Potential of Pine Seedlings Inoculated with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이화용;구창덕;성주한;신준환;유종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37-343
    • /
    • 2010
  •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한 소나무묘목에서 잎의 수분포텐셜 변화를 식물수분시스템으로 측정하였다. 소나무재선충 접종 후 35일째 12시경에 소나무의 잎 수분포텐셜은 소나무소나무재선충 접종묘에서 -1.04 MPa, 비접종묘에서 -0.94 MPa로 소나무재선충 접종묘가 비접종묘보다 더 낮았다. 접종 후 56일째에는 해뜨기 직전 잎 수분포텐셜은 소나무재선충 접종묘가 -0.71 MPa, 비접종묘가 -0.26 MPa로 소나무재선충 접종묘가 더 낮았다. 접종 후 63일째에는 소나무소나무재선충 접종묘의 1년생 잎이 옅은 황색으로 되었다. 이때 접종묘의 근원부 단면에서는 수지가 나오지 않았다. 소나무재선충의 밀도는 접종 후 28일째에 최대가 되었다가 68일째에 급감하였다. 접종묘의 체관부와 수조직은 갈변되었으며 수지 유출은 접종 후 계속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나무재선충은 접종 1개월부터 소나무묘목에 수분 스트레스를 일으켰다.

과열증기 열처리 잣나무재의 물성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Lumber Heat-Treated by Superheated Steam)

  • 박용건;엄창득;박준호;장윤성;김광모;강춘원;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257-26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열처리 공정 제어 방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170^{\circ}C$, 0.4 MPa 조건의 과열증기에서 약 10시간 동안 열처리한 잣나무 판재의 물리 및 역학적 성질 변화를 무처리재 및 $220^{\circ}C$ 상압조건에서 일반 열처리한 목재와 비교하였다. 과열증기 처리재는 무처리재에 비해서 수분 흡습량 및 평형함수율이 낮아졌으며, 종압축 강도 및 휨 강도가 증가하였다. 흡습성은 일반 열처리재와 비슷하였으며, 일반 열처리 시 발생하기 쉬운 내부 할렬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과열증기 처리에 의해서 잣나무 내부에 있는 다량의 송진이 제거되는 효과도 나타내었다.

우수한 용융특성을 갖는 Cellulose acetate/Poly ethylene glycol 조성물의 제조 및 특성 해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Acetate/Poly Ethylene Glycol Blend Having High Melt Processibility)

  • 이해성;이성준;정상원;김현철;김은주;고영준;이세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0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cellulose acetate(CA)의 용융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polyethyleneglycol(PEG)를 도입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는 환경유해성 가소제의 사용 없이 열가공성이 향상 된 CA/PEG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CA의 최적 가소화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PEG 분자량, 농도, 및 혼입온도를 제어하여 CA/PEG 조성물의 가소화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CA와 PEG간의 혼화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조된 조성물의 열분석 및 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존 상용 CA 레진과의 가소제 용출특성, 기계적 물성 및 광학적 특성들의 비교분석을 통해 가소제에 의한 물성차이를 검토하였다. 결과: PEG의 도입을 통해 기존 상용 CA 레진과 유사한 가소화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최적의 가소화 조건은 PEG분자량 400, PEG 함량 30~40 phr, 가소화온도 $175{\sim}180^{\circ}C$에서 우수한 용융특성을 나타냄을 확인 하였다. 또한 기존의 CA 안경테 소재와 비교 시 우수한 광택특성 및 안정성을 확인 하였으며, 동등수준 이상의 기계적 물성을 보임을 확인 하였다. 결론: CA/PEG 조성물은 환경 친화적 안경테 소재로써 기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한 CA 안경테 소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