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isi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2초

QAM 신호에대한 MMA와 S-MMA 적응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MMA and S-MMA Adaptive Equalization Algorithm for QAM Signal)

  • 강대수;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9-2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시분산 채널에서 발생되는 진폭과 위상 찌그러짐을 동시에 보상할 수 있는 적응 등화 알고리즘인 MMA (Multiple Modulus Algorithm)와 S-MMA (Sliced-MMA)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기존 CMA 알고리즘은 진폭만을 복원하며 위상의 복원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위해 별도의 부가 회로가 필요케 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MMA 알고리즘에서는 개선된 비용 함수를 적용하였다. MMA 알고리즘에서는 탭 계수의 갱신을 위해 dispersion constant를 이용한 오차를 표현하고, S-MMA에서는 결정 장치의 출력 (Sliced-Symbol)을 고려한 dispersion constant를 이용한 오차를 표현하게 되어, 이와 같은 오차 신호의 차이로 인하여 적응 등화 알고리즘은 서로 상이한 성능을 갖게 된다. 논문에서 QAM 신호의 차수를 16과 64로 한 후 동일 채널을 통과하여 신호를 수신할 때 이들 적응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수로 복원 성상도, 잔류 isi, MD 및 SER을 적용하여 비교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S-MMA가 QAM의 차수가 높을수록 MMA보다 SER 성능이 개선으로 Roburstness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16-QAM 신호에 대한 CR-CMA와 CM-CMA의 적응 등화 성능 비교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CR-CMA and CM-CMA Adaptive Equalization in 16-QAM Signal)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15-120
    • /
    • 2011
  • 논문은 기존 CMA (Constant Modulus Algorithm) 적응 등화기의 성능인 수렴 특성과 잔류 부호 간 간섭을 개선하기위한 CR-CMA 와 CM-CMA의 성능 비교에 관한 것이다. 무선과 유선의 대역 제한 채널에서 발생되는 부호간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등화기에서 디지털 부호의 전송 시 학습열 없이 여분의 대역폭을 소비하지 않는 블라인드 방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간단한 연산의 장점을 갖는 CMA 방식의 비용 함수를 개량하여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새롭게 등장하는 방식 중에서 CR(Constellation Reduction)-CMA 방식과 CM (Constellation Matching)-CMA 방식에대한 성능 분석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복원 성상도, 수렴 속도 및 잔류 부호 간 간섭양에서 CR-CMA가 CM-CMA보다 우월한 등화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ordinate Reduction을 이용한 16-QAM 신호의 CMA 적응 등화 성능 개선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CMA Adaptive Equalization in 16-QAM Signal using the Coordinate Reduction)

  • 임승각;정영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07-113
    • /
    • 2011
  • 본 논문은 기존 CMA (Constant Modulus Algorithm) 적응 등화기의 성능인 수렴 특성과 잔류 부호간 간섭을 개선하기위하여 Coordinate Reduction을 적용한 CR(Coordinate Reduction)-CMA에대한 관한 것이다.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을 연결하는 무선과 유선의 대역 제한 채널에서 발생되는 부호간 간섭에의한 찌그러짐을 줄이기 위하여 등화기가 사용되며, 이의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는 CMA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채널을 통하여 대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등화에 필요한 오버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빠른 수렴 속도가 요구된다. 논문에서는 등화기 입력단에서 정상 등화 상태에서 오차를 주이는 수신 신호의 Coordinate를 reduce하는 새로운 비용 함수를 도입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 CMA 보다 빠른 수렴 속도와 적은 잔류 부호간 간섭양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6-QAM 신호 전송에서 mSE-MMA와 mDSE-MMA 적응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A Performance Comparison of mSE-MMA and mDSE-MMA Adaptive Equalization Algorithm in 16-QAM Signal Transmission)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61-66
    • /
    • 2021
  • 본 논문은 16-QAM 신호 전송시 비선형 통신 채널에서 발생되는 부호간 간섭을 줄일 수 있는 mSE-MMA와 mDSE-MMA 적응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이동 통신 단말에 적용되기 위하여 알고리즘은 기존 MMA의 연산량을 줄일 수 있지만, 이로 인하여 등화 성능의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성능 열화를 개선하기 위하여 적응을 위한 스텝 크기를 등화기의 출력이 송신 신호점을 중심으로 임의 반경내의 존재 여부에 따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스텝 크기를 변화시키는 개념을 SE-MMA와 DSE-MMA에 적용한 mSE-MMA와 mDSE-MMA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동일 채널과 잡음 환경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모든 성능 지수의 잔여량과 SER 성능에서 mSE-MMA가 mDSE-MMA 보다 우월하였으나, 수렴 속도에서는 mDSE-MMA가 mSE-MMA보다 약간 우월하였다.

QE-MMA 적응 등화 알고리즘에서 양자화기 비트수와 Stepsize에 의한 성능 평가 (A Performance Evaluation of QE-MMA Adaptive Equalization Algorithm based on Quantizer-bit Number and Stepsize)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5-60
    • /
    • 2021
  • 본 논문은 시분산 채널에서 발생되는 비선형 찌그러짐에 의한 부호간 간섭을 줄일 수 있는 QE-MMA 적응 등화알고리즘에서 양자화 비트수와 stepsize에 의한 성능 평가에 관한 것이다. QE-MMA는 송신 신호 고차 통계치와 오차신호 부호만을 이용하는 SE-MMA에서 오차 신호의 크기를 power-of-two 연산을 적용하여 탭 계수 갱신 시 필요한 승산과 가산을 천이와 가산만으로 대체하여 H/W 응용을 용이하도록 제안되었다. 그러나 QE-MMA에서 오차의 부호를 얻기 위한 오차 신호의 발생 시 stepsize와 양자화기 비트수에 의해 적응 등화 성능이 상이하게 되며, 이를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QE-MMA 적응 알고리즘의 성능에서 정상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수렴 속도는 stepsize에 의해 결정되며 정상 상태 이후의 잔여량은 양자화 비트수에 의해 결정됨을 확인하였다.

Miced-MCMA 적응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 (Adaptive Blind Equalization Algorithm based on Mixed-Modified Constant Modulus Algorithm)

  • 정영화
    • 정보학연구
    • /
    • 제1권2호
    • /
    • pp.39-53
    • /
    • 1998
  • CMA나 MCMA 적응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은 특별한 형태의 신호점을 원하는 신호점로 간주하므로써 완전한 등화에 도달시에도 원래의 신호점과의 불일치로 인한 오차가 불가피하다. 본 논문에서는 축소 신호점 대신에 결정된 원래의 신호점을 이용한 새로운 오차함수를 도입하여 빠른 수렴 속도로 정상상태에 도달하며, 정상상태에서의 오차를 크게 개선한 새로운 적응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이 반송파 위상 복원을 가지는 CMA 및 MCMA등과 같은 CMA 계열의 적응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들에 비해 잔류 심볼간 간섭과 수렴 속도면에서 향상된 성능을 가짐을 확인 하였다.

  • PDF

적응 모듈러스와 적응 스텝 크기를 적용한 Hybrid-SMMA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Hybrid-SMMA Equalization Algorithm based on Adaptive Modulus and Adaptive Stepsize)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23-128
    • /
    • 2017
  • 본 논문은 SMMA (Sliced Multi Modulus Algorithm) 등화 알고리즘에서 등화기의 출력 전력에 비례하는 adaptive modulus와 adaptive stepsize를 적용하므로서 등화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Hybrid-SMMA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기존 SMMA 알고리즘에서는 등화기의 탭 계수 갱신을 위한 오차 신호를 발생할 때 송신측 신호의 통계 특성치인 modulus를 고정적으로 사용하지만, 제안 Hybrid-SMMA에서는 등화기 출력 신호의 전력에 비례토록 modulus와 오차 신호의 비선형성을 이용하여 stepsize를 적응적으로 변화시킨다. 제안 알고리즘의 개선된 등화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 방식이 기존 SMMA보다 모든 성능에서 우월함을 확인하였다.

터보 등화기를 적용한 SC-FDM의 링크-레벨 성능 (Link-level Performance of SC-FDM using a Turbo Equalizer)

  • 이중호;임재홍;윤석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1호
    • /
    • pp.26-32
    • /
    • 2014
  • 단일반송파기반 주파수다중화(SC-FDM) 방식은 각 사용자 입장에서는 단일반송파 전송 방식으로 피크대 평균 전력비(PAPR)가 낮다는 장점이 있어 전송전력에 제한이 있는 3GPP LTE의 상향링크 전송방식으로 채택되었다. 일반적으로 SC-FDM 신호의 수신은 주파수 영역 등화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채널에 깊은 널(null)이 존재하는 경우 잉여의 심볼 간 간섭과 잡음의 증폭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주파수 영역 터보 등화기를 사용하는 SC-FDM 수신기를 제안하고 이의 링크레벨 성능을 평가한다. 또한, 성능-복잡도 교환(Tradeoff)을 고려한 적절한 반복 횟수를 제시한다.

적응 등화를 위한 ISCA와 MSCA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ISCA and MSCA Algorithm for Adaptive Equalization)

  • 임승각;강대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1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전송시 시분산 통신 채널에서 발생되는 부호간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인 ISCA (Improved Square Contour Algorithm)과 MSCA (Modified Square Contour Algorithm)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송신 신호는 통신 채널에서 진폭과 위상 전달 특성의 비선형성으로 인하여 대역 제한 및 시분산되어 수신될 것이므로 수신측에서 적응 등화기를 사용하여 찌그러짐을 보상한 후 검출기를 통과시켜 "1"과 "0"을 판정하게 된다. 이때 수신기에서 사용되는 적응 등화기의 알고리즘에서는 Constellation Dependent Constant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의 계산을 위하여 ISCA와 MSCA에서는 2차 통계치만 이용하였다. 다른 알고리즘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연산으로 이들 2 가지의 전달 특성을 동시에 보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인 ISCA와 MSCA는 존의 SCA (Square Contour Algorithm) 알고리즘 성능을 더욱 개선시킨 것으로 이들의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복원 성상도, 잔류 isi양 및 MSE를 사용하였으며, 성능의 비교 결과 모든 비교 지수에서 ISCA 알고리즘이 MSCA 알고리즘보다 우월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등화 알고리즘이 정상 상태에서는 MSCA의 CME항에 의하여 성능의 미소 변화량이 ISCA 보다 적어져서 높은 안정성을 얻을 수 있었다.

Varying Stepsize를 이용한 QE-MMA 적응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QE-MMA Adaptive Equalization Algorithm based on Varying Stepsize)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01-106
    • /
    • 2020
  • 본 논문은 채널에서 발생되는 부호간 간섭을 줄일 수 있는 QE-MMA 적응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을 위하여 varying stepsize를 적용한 VS-QE-MMA (Varying Stepsize-Quantized Error-MMA)에 관한 것이다. 송신 신호의 고차 통계치와 오차 신호의 부호만을 이용하는 SE-MMA에서 오차 신호의 크기를 power-of-two 연산을 적용하여 탭 계수 갱신시 필요한 승산과 감산을 천이와 감산만으로 대체하여 H/W 응용을 용이하도록 QE-MMA가 등장하였다. QE-MMA는 이와 같이 연산량의 단순화에 의한 적응 등화 성능이 열화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 방식인 VS-QE-MMA에서는 적응을 위한 고정 stepsize를 오차 신호의 비선형 변환에 의한 varying stepsize를 적용하였다. 동일한 채널과 신호대 잡음비에서 제안 방식이 기존 QE-MMA보다 개선된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VS-QE-MMA가 QE-MMA보다 모든 성능 지수에서 우월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가 10dB 이상일 때 varying stepsize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