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location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32초

연령층별로 본 대구시 주거지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Location by Age Groupings in Daegu Metropolitan)

  • 윤창훈;김철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9-56
    • /
    • 2003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locations by age, and to offer a groundwork that can be utilized to direct setting of residential development and housing policies. The main findings are drawn as follows: First, it determines the age groupings which can describ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residential location, which is broken down into two social subgroups - the older group aged 50 and over, and the younger group, being our educational target. Second, actuality of our education is to influence residential location. Third, four groups that can describe residential location are abstracted. Fourth, the prime of manhood and old age prime of life have been superior within inner zone, while middle age and those who are obliged to support the older group have been superior around the outer zone.

서울시 거주 가구의 주거입지 변화 패턴 (The Patterns of Residential Changes among Households in the City of Seoul)

  • 윤복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49-5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henomenon of the residential movement and important factors in the city of Seoul. First, The patterns of residential location during 1975-1994 in terms of macro aspects are to be investigated. Second, Residential patterns among household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data in terms of micro aspects are to be indentified. Methodology applied to the study is regression analysis using 1975-1994statistical data and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factors of residential movement in the city of Seoul are explained by the changes of the economic structure, residential environm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ousing policy. That is.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systems, the number of homeownership scheme holders, crime rates, increase of residential areas effect on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 in the city center of Seoul 2) According to the income groups and resident characteristics, Residential location patterns are different in residential location choice and the scope of spatial migration.

  • PDF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Location Factors)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3-188
    • /
    • 2017
  • 본 연구는 수도권, 부산 경남 및 대구 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개별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개별 입지요인별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로, 주거 입지요인이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통해, 역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입지요인이 차별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과 입지요인은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주고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인 이주민의 주택 소유구조 및 주거입지 선호 특성 -미국 워싱턴 주 사례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Housing ownership Structure and Residential Location Preference of Korean Immigrants: Case Study of Korean Immigrants in Washington State)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60-675
    • /
    • 2012
  • 본 연구는 미국 내 한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이주경험 및 주거실태, 주거입지 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주민의 개별 특성이 주택 소유구조와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워싱턴 주에 거주하는 한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결과를 토대로 이항로짓모형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응답자들의 주택 소유구조를 보면, 응답자들은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주기간이 길수록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로,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주거 입지요인으로는 치안, 자연환경, 직장근접, 학군 등 환경/쾌적성, 학군인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로, 응답자의 개별특성이 주택 소유구조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 회귀분석 결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자가주택 보유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로, 응답자의 개별특성과 주택 소유구조가 응답자의 입지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항로짓 회귀분석 결과, (1) 주거입지 요인으로 자가주택 소유자가 임대주택 소유자보다 학군을 선호하며, (2) 40대 이상의 연령대가 30대 이하의 연령대보다 안전/쾌적성을 선호하며, (3) 이주기간이 10년 이상인 응답자가 이주기간이 10년 미만인 응답자보다 안전/쾌적성을 선호하며, (4) 워싱턴 주 이외에 지역에 최초로 이주한 응답자가 워싱턴 주에 이주한 응답자보다 안전/쾌적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PDF

수도권 가구의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선호요인 분석 - 대구·경북 가구사례와의 비교분석 - (Analysis of Residential Location Preference Factors by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in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Households :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ase of Daegu·Gyeongbuk Households)

  • 박원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15-528
    • /
    • 2015
  • 이 연구는 수도권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특성별로 주거입지 선호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대구 경북 가구사례와 비교분석하여 주거입지 선호의 지역별 차별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수도권 가구들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주거입지 요인은 대중교통 접근성, 안전성, 생활환경 순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수도권 가구는 편리하고 안전한 삶의 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둘째로, 연령별 소득수준별 AHP 분석결과를 보면, 수도권 가구는 생애주기와 소득수준에 따라 선호하는 입지요인이 차별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로, 수도권 가구와 대구 경북 가구의 비교분석 결과를 보면, 수도권 가구는 대중교통 접근성과 안전성, 자연환경 등 쾌적하고 안전한 삶의 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반면, 대구 경북 가구는 향후 시세차익과 자가용교통 접근성 등 주택의 경제적 투자가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 PDF

런던지역 한인 이주민의 정착경로 및 주거입지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Immigration Path and Residential Location of Korean Immigrants in London Metropolitan Area)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67-491
    • /
    • 2015
  • 본 연구는 런던지역의 한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정착경로, 주거입지 및 주택소유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한인 이주민의 최초 주거입지 결정요인으로는 최초 이주시의 이주 상태, 이주지역 그리고 현지인 도움 여부인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로, 이주민의 현재 주거입지 결정요인으로는 소득수준, 영어 구사능력, 영국 교육 경험, 최초 거주지인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로, 이주민의 주택 소유구조 특성을 보면, 이주민들은 이주기간이 10년을 지나고, 소득수준이 5만 파운드를 넘어서면서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로, 이를 토대로 이주민들의 정착경로를 유형화하면, 이주초기부터 한인타운에 정착하는 민족공동체 지향 유형과 이주 초기부터 백인 주류층 거주지에 정착하는 백인주류층 지향 유형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런던지역 한인타운은 현재는 규모나 역할이 제한적이지만, 한인사회의 역량이 커짐에 따라 발전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 PDF

청년농업인의 거주지역 선택 결정요인 (Factors Influencing Young Farmers' Residential Location)

  • 황정임;최윤지;최정신;정용경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6권4호
    • /
    • pp.181-19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farmers' residential loc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residential location theory and previous studies on the stated preferenc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of young farmers, this study develops a spatial econometrics model using housing and neighborhood variables, accessibility variables, natural environment variables and farm economics and management variabl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higher rate of young farmer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igher population density, higher housing price, closer distance to city centers and Eup districts compared to Myeon districts. In addition, areas which have higher rate of farmers with high sales and growing certain crops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are revealed to have higher rate of young farmers. This study presents that maintaining rural vitality is also crucial for attracting young farmers to rural areas and remaining them in the farm as active agricultural workforce.

서울 아파트 가구의 주거만족도의 원천에 관한 연구 -중심지와 외곽지 고충과 저층단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Sourc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Apartment Households in Seoul : A Contextual Analysis)

  • 김용일;여홍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7-58
    • /
    • 1989
  • ^x Residential satisfaction by apartment housing type and by location was examined in Seoul Korea for a sample of 303 housewives disaggregated into four housing subgroups. These group differ i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 by housing type and location.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and in their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several community, neighborhood and housing unit attributes. A regression model of satisfaction for entire sample explain about 45% of the variation, but this conceals the compositional and the contextual differences between groups. Seperate regression for the four groups explain an average of 63% of the variation in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s of high-rise and low-rise apartments both of center and periphery location differ significantly both from each other. Results show that certain dwelling, neighborhood and community context elicit dissatisfaction across the full sample. The objective contextual factor of housing type prove significant in most compositional subsamples, indicating that sourc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re not same in everywhere.

  • PDF

은평구 장기전세주택 입주민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Hift)

  • 허용;홍형옥;이현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56-260
    • /
    • 2011
  • In 200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roduced new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called SHift that works as rental deposit b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Hift. This research has shown conclusively that there is a link between the Location of apartment, Internal Premises, External Premises and satisfaction of SHift residents. The main factor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Hift residents are Location of economical factor. The factor analysis of the 12 factors of variable are confirmed by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is analysis is evaluate on discri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welling circumstance an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economical factor was the main factor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eneral overview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Hift residents satisfaction is "quite good". But there are maby problems on SHift.

  • PDF

수도권 노인 주거.의료 서비스 시설과 그 이용자 생활의 공간적 특성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nd Medic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Life of Those Using the Facilities of the Capital Region)

  • 송경언;박삼옥;김상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4-417
    • /
    • 2008
  • 한국 사회의 고령화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힘든 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학적 변화는 공간적 변화가 수반되는 사회경제적, 문화적 변화를 가져온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을 대상으로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와 노인 생활의 공간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도권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의 입지와 그 이용자의 생활은 노인의 이동성뿐만 아니라 서울로부터의 거리, 거주환경 등의 영향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노인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차적으로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의 위치와 노인의 이동성이고, 이차적으로는 가족 거주지의 위치이다. 따라서 주거 의료 서비스의 위치가 대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