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nd Medic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Life of Those Using the Facilities of the Capital Region

수도권 노인 주거.의료 서비스 시설과 그 이용자 생활의 공간적 특성

  • 송경언 (전북대학교 인문한국연구단) ;
  • 박삼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김상빈 (국가균형발전위원회)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e population of Korean Society is aging rapidly at a pace which is unprecedented in the world. This demographic change results in the various socio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accompanied by spatial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jor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edic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life of those using the facilities of the Capital Region in Korea.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residential medic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life of those using the facilities are influenced not only by the mobility of the elderly. but also by the distance between the facilities and Seoul and also by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the facilities. The location of the facilities and the mobility of the elderly, followed by the residential location of the family have an effect on everyday life of the elderly. Therefore, the location for residential medical facilities is not recommended to be far from the metropolitan area.

한국 사회의 고령화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힘든 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학적 변화는 공간적 변화가 수반되는 사회경제적, 문화적 변화를 가져온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을 대상으로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와 노인 생활의 공간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도권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의 입지와 그 이용자의 생활은 노인의 이동성뿐만 아니라 서울로부터의 거리, 거주환경 등의 영향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노인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차적으로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의 위치와 노인의 이동성이고, 이차적으로는 가족 거주지의 위치이다. 따라서 주거 의료 서비스의 위치가 대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