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etitive project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초고층 프로젝트에서의 학습곡선효과 상쇄요인 분석 및 작업 생산성 산정 방법 제시 (Analysis on Offset Factors of Learning Curve Effect and Estimation of Labor Productivity in High-rise Projects)

  • 이보경;박문서;이현수;김현수;문명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38-48
    • /
    • 2013
  • 건설 프로젝트 내의 작업의 반복성에 주목하여 건설산업에의 학습곡선효과 적용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충분한 반복 작업을 가지는 초고층 프로젝트에서 학습곡선효과가 실제로 발생하는가에 대한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이에 관해 기존의 연구들은 실제 건설 현장의 작업 생산성 데이터 분석을 통해 효과의 유무를 검증하였으나 작업 생산성의 향상 여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층 프로젝트에서 학습곡선효과가 발현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상쇄시키는 요인들을 찾고, 이를 반영한 작업 생산성 산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이론을 보완하고 건설산업에서의 학습곡선효과 이론을 재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모듈러 건축 타워크레인 운용 계획의 대안 평가 모델 -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를 중심으로 - (Alternative Evaluation Model for Tower Crane Operation Plan in Modular Construction - Focusing on Modular Unit Installation and Finishing works -)

  • 김주호;박문서;이현수;현호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50-60
    • /
    • 2018
  • 최근 인력자원 투입량 감소 및 공기단축이 가능한 모듈러 건축공법은 반복 공정이 많은 기숙사, 주거시설, 호텔 공사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공법은 유닛 설치비용을 제외한 현장 공사비에서 외장 마감공사 비용의 비중은 약 40%를 차지하며, 마감공사는 목표공기와 비용을 유지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모듈러 현장에서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 수행을 위해 한정된 장비가 후속 액티비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공유되어야 하며 현장 마감 비중이 커지는 모듈러 프로젝트일수록 공정관리에서 양중 계획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T/C 운용 계획은 단일 사이클 또는 다중 사이클의 형태를 가지게 되며 사이클 주기 조율은 장비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를 지원하기 위한 T/C 운용 계획의 대안을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듈러 건축 현장에서 T/C 운용의 사이클 주기 설정에 따른 운용방식의 대안을 평가하기 위해 유닛 양중 시간 및 주기, 외장재 양중 시간, 마감 작업 소요시간을 변수화하여 T/C 가동시간과 공정에 주는 영향을 파악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프로세스 분석을 바탕으로 작업 속도를 조절하여 T/C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한다. 본 연구는 양중 사이클 개념을 적용한 자원 평준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학술적 기여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현장관리자에게 장비 계획의 대안 선택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로공사 공정계획을 위한 공정 로직 및 건설장비 효율화 방안 (A methodology for an effective utiliz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for highway construction projects)

  • 송호정;최재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6-34
    • /
    • 2014
  • 도로공사는 선형적이고 반복적인 공사로 공사의 특성상 건설장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건설장비의 효율적 운용에 의한 생산성 향상 및 공사비 절감 효과가 크다. 또한, 도로공사는 시공순서, 현장상황, 적용 공법에 따라 다양한 건설 장비의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계획 시, 공종 간 연계에 따른 세부 작업 및 공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시공자는 현장조건에 맞는 작업을 선택하고 투입될 장비의 종류 및 성능, 수량 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적절한 건설장비 운용계획의 수립을 통한 경제성 향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한정된 유사 공사의 실적정보 및 체계적인 공사계획 방법의 부재로, 적정한 공정계획 수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공법 및 건설장비의 선정에 있어 대부분 경험과 직관에 의존한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그 결과 시공 이전 공정계획단계에서 수립된 계획은 실행단계에서의 충분한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그 활용도가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도로공사의 초기 공정계획 수립단계에서 적용가능한 주요 공종별 공정로직을 개발하고, 공종 별 세부 시공절차 분석을 통하여 현장상황 및 공종에 적용 가능한 건설장비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정로직에 따른 다양한 건설장비 대안들을 대상으로 프로세스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경제성 기반의 최적화 장비조합 방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을 이용하여, 계획단계에서의 수립된 다양한 공정계획에 대해 효율성을 평가하고 최적의 자원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건설 프로젝트 생산성 평가를 위한 측정 기준 수립 (Establishment of Measurement Standards for Productivity Assessment in Construction Project)

  • 김준영;윤인석;정민혁;주선우;박성은;홍영민;조종우;박문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12
    • /
    • 2022
  • 일반적인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계획 수립에 표준품셈 등 작업 물량-투입 품의 비율을 생산성의 기준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방식의 생산성 기준은 표준화된 반복작업이 많은 프로젝트에서 실효성이 높으나, 복잡성이 높은 대규모 프로젝트의 표준적인 생산성 관리 기준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는 기존 프로젝트의 실적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평균적 작업생산성보다는 당해 프로젝트의 생산성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양한 작업중단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작업시간의 영향성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부작업 프로세스에 작용하는 비작업요인의 영향성 산출을 통해 생산성을 평가하고 관리 포인트의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있는 생산성 측정 기준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세부작업 프로세스와 유형별 비작업요인을 정의한 후,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획득가능 생산성 개념을 활용하여 개선 가능한 생산성 향상의 정도와 각 비작업요인별 생산성 저하 영향도를 평가하는 방법론을 수립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현장에서 수집한 생산성 데이터를 토대로 사례분석을 수행하여 본 연구결과가 건설관리자에게 주요 생산성 관리 포인트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음을 검증한다.

포인트 프리미티브를 이용한 실시간 볼륨 렌더링 기법 (Real-time Volume Rendering using Point-Primitive)

  • 강동수;신병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229-1237
    • /
    • 2011
  • 직접 볼륨 렌더링은 반투명한 물체에 대한 고화질 영상 생성이 가능한 기법으로 광선 투사법이 대표적이다. 이것은 각 화소별로 오브젝트 공간상의 관심 영역을 샘플링하기 때문에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지만, 각 샘플점마다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텍스처 참조와 누적연산 때문에 렌더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연산 능력이 매우 커진 GPU를 이용해 광선 투사법을 가속화하는 기법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지만 이들 역시 전처리 단계 및 추가적인 메모리 사용이 불가피하다. 본 논문에서는 반투명 물체의 표현이 가능하고, 전처리 과정 및 추가적인 텍스처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존의 방법들보다 고속으로 볼륨 데이터를 가시화할 수 있는 포인트 프리미티브 기반의 새로운 볼륨 렌더링기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볼륨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포인트 프리미티브를 생성하고 이를 이미지 평면상에 투영하는 방식으로 수행속도가 매우 빠르다. 또한, 생성된 포인트 프리미티브를 실행시간에 추가 및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OTF를 변경해도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다.

단지공사의 토공구획 계획 모델 (An Earthwork Districting Model for Large Construction Projects)

  • 백현기;강상혁;서종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715-723
    • /
    • 2015
  • 단지 조성을 위한 토공사는 대상 부지의 지형고를 계획고와 맞추기 위한 대규모 토량이동으로 이루어지는 공사로 전체 공사비에 20~30%를 차지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한편 토공사는 주로 적재-운반-하차-복귀의 단순 작업사이클로 구성되어 있어 계획의 품질은 공기와 비용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단지 조성 공사에서 토공 운반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토량구획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모델은 구획 알고리즘과 simulated Annealing 알고리즘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러한 알고리즘은 국부해에 빠질 수 있는 현행 토공구획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제시된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단지공사 토량이동도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약 14%의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건축물 리모델링 프로젝트 사례적용에 의한 시공관리 개선방안 (Improve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for Building Remodeling Projects)

  • 여운용;윤유상;서상욱;임병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22-129
    • /
    • 2004
  • 현재 대부분의 리모델링 현장은 시설에 대한 사전정보부족, 공간적인 제약과 같은 예상치 못한 현장조건. 작업범위의 변경 등으로 인해 촉박한 공사기간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는 조악한 품질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다소 복잡한 작업체계를 가지고 있어 기존시설의 운영일정과 공사일정과의 충돌로 인한 갑작스런 작업대기시간의 발생 등 효율적인 공정관리에도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리모델링 사례를 통하여 현장관리 절차 및 사례현장에서 나타난 시공관리상 문제점의 개선과정을 통해 리모델링 공사현장의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관리방안의 수립을 위해 문헌을 통하여 관리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사례분석을 통해 공사단계별 현장관리절차, 관리사항을 파악하여 관리상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향후 리모델링 현장에서의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리스크 평가절차 도입을 통한 VE 대안 평가방법 개선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VE Alternatives using the Risk Assessment Process)

  • 박진호;김정훈;현창택;김현주;권석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32-42
    • /
    • 2018
  • 발주자, 건설사업관리자, 설계자, 시공자, VE 전문가 등 참여자 역량에 의해 성패가 좌우되는 VE 프로젝트에서는 체계적인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 VE 업무에서는 개략평가만을 실시하거나, 개략평가와 상세평가를 통합하여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중요한 대안일지라도 리스크에 대하여 평가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선행단계에서 제안된 대안이 후행단계에서 다시 기존안으로 돌아가는 회귀제안(returning alternatives)이 발생하여, 해당 대안에 대한 반복작업으로 인해 VE 업무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VE 대안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회귀제안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VE 대안의 리스크 평가절차(risk assessment process for VE alternatives)를 제안하였다. 이는 VE 대안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회귀제안을 최소화하기 위한 평가절차로서 의의가 있으며, 회귀제안에 대한 반복업무를 줄임으로써 VE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