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eneration of B cell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9초

DA-3711:A POTENT TISSUE-ENGINEERED ACTIVE INGREDIENTS FOR ANTI-AGING

  • Kim, B. M.;Lee, M.;Lee, J. H.;I. S. Doo;M. K. Son;S. H. Kang;Kim, W. B.;J. W. Kwo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659-659
    • /
    • 2003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potent anti-aging effect of DA-3711, a cosmetic ingredient derived from artificial skin culture. The artificial skin was originally developed as a skin replacement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skin wounds. To produce DA-3711, neonatal human fibroblasts were seeded into biocompatible collagen/chitosan/glycosaminoglycan (GAG) scaffolds and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supplemented with fetal bovine serum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Analysis of the culture broth (DA-3711) showed that growth factors such as VEGF, TGF-$\beta$, KGF were present a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that in the culture broth of fibroblasts cultured in monolayer. The biological activity of DA-3711 was assessed by measuring in vitro cell proliferation and collagen synthesis of normal human fibroblasts. Fibroblasts treated with 10% DA-3711 showed a 2-fold higher proliferation and 2 to 4-fold higher collagen synthesis than untreated cells. DA-3711 also exhibited anti-oxidative effects, since cells under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showed a 30% higher viability in DA-3711-containing medium than in medium without DA-3711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DA-3711 may have anti-aging effects by stimulating skin regeneration and protecting against oxidative stress.

  • PDF

모기유충 방제균 Bacillus sphaericus 1593의 형질전환 조건 (Transformation of Mosquito Larvicidal Bdillus sphaericus 1593 by Plasmid pGB215-110$\Delta$B)

  • 한길환;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6-163
    • /
    • 1995
  • Bacillus sphaericus 1593 is pathogenic to the larvae of a number of mosquito species that are known as important vectors for the transmission of certain human and animal diseases. As a preliminary experiment for developing a multfunctional B. sphaericus 1593 as a potent antagonist, we investigated the conditions for the protoplast transformation system of B. sphaericus 1593 using the plasmid pGB215-110$\Delta$B. The protoplast of B. sphaericus 1593 were obtained most efficiency by treating the cells with 500 $\mu$g/ml of lysozyme in the SMM buffer containing 0.5 M sucrose at pH 8.0 and 40$\circ$C for 60 minutes. The cell wall was regenerated on the plate containing 1.2% agar and 0.8 M mannitol. Under the best condition for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established in the work the highest frequency of transformation was achieved with the 40% PEG (M.W 4,000) treatment for 15 minutes of incubation at 4$\circ$C, and subsequently for 120 minutes incubation at 30$\circ$C for phenotypic expression. The highest transformation efficiency were observed at 1.0 $\mu$g/ml of the final concentration of the plasmid DNA and the plasmids were found to be fairly stable since about 70% of the plasmids were maintained after 8 successive daily transfers onto the fresh medium.

  • PDF

청상방풍탕 열수 추출물의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보습 효과 및 세포독성 평가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Whitening and Moisturizing Effects of Cheongsangbangpung-tang Aqueous Extracts with Cytotoxicity)

  • 우창윤;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9-70
    • /
    • 2017
  • 목 적: 본 연구는 한의학에서 면포질환에 빈번히 사용하는 대표적인 복합처방인 청상방풍탕의 열수 추출물 동결건조물의 피부 노화 개선 효과 평가를 위하여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각각 평가하였고, 기본적인 독성 평가의 일환으로 세포독성 또한 in vitro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human normal fibroblast(CRL-2076) 세포 및 B16/F10 murine melanoma(CRL-6475) 세포에 대한 청상방풍탕 열수 추출 동결건조물(수율 18.71%)의 세포독성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방법을 통해 평가하였고, B16/F10 melanoma cells의 melanin 생성 억제 정도 및 melanin 합성 필수 효소인 tyrosinase 활성 억제와 arbutin을 비교 평가하여 미백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효과를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beta}1$와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능을 비교, phosphoramidon disodium salt(PP)와 세포외 기질의 분해에 관여하는 elastase활성 억제를 비교, oleanolic acid(OA)와 hyaluronidase, collagenase 및 matrix metalloproteinase(MMP)-1 활성 억제를 비교하여 각각 평가하였고, 마우스 피부 수분함량 변화를 관찰하여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결 과: 본 실험의 결과, 청상방풍탕은 human normal fibroblast 세포 및 B16/F10 murine melanoma 세포에서 최고 농도인 500 mg/ml까지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세포외기질 파괴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hyaluronidase, elastase, collagenase 및 MMP-1 활성을 각각 억제하였고 melanin의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 및 B16/F10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차단함이 관찰되었다. 이와 더불어 정상매체 대조군에 비해 청상방풍탕 경구 투여군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마우스 피부 수분 함량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청상방풍탕은 세포 독성 없이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남이 관찰되어 차후 피부 개선 소재로서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나 금후 개별 구성 약재 각각에 대한 효능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적인 연구와 피부 보호 효과에 대한 in vivo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난백(Egg White)에서 추출한 리소좀 추출물(LOE)의 미백 효능 및 피부장벽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hitening Efficacy and Skin Barrier by Lysosome-related Organelle Extract (LOE) from Egg White)

  • 최다희;전경찬;윤지희;민지호;박시준;김정수;황이택;황형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89-397
    • /
    • 2019
  • 리소좀(lysosome)은 진핵세포에서 에너지 대사 및 세포 내 소화 작용에 관여하는 세포 소기관으로 protease, nuclease, glycosidase, lipase, phosphatase 들이 다수 존재한다. 우리는 선행 연구결과들을 통해 난백 리소좀의 멜라닌 색소 탈색능을 보고하였다[8]. 그러나 B16F10 melanocyte 세포주에서 난백 리소좀에 의한 멜라닌 함량 변화 및 피부장벽 조절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계란 난백(egg white)으로부터 추출한 lysosome-related organelle extract (LOE)에 의한 세포 내 멜라닌 함량 변화 및 피부장벽 강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LOE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B16F10 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주에서 LOE에 의한 세포독성은 0에서 20 mg/mL 농도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나, 40 mg/mL 부터 세포독성이 관찰되어 이후 모든 실험에서 최대 농도값을 20 mg/mL로 설정하였다. 먼저 LOE를 이용한 melanin contents assay 결과, 음성 대조군인 α-MSH 처리군 대비 LOE 처리군 5, 10, 20 mg/mL 농도에서 61.5 ± 4.0%, 61.4 ± 7.3%, 58.3 ± 8.3%로 세포 내 멜라닌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20 mg/mL 농도 조건에서 MITF 발현 억제도 관찰하였다. LOE의 피부 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각질형성세포주(HaCaT)를 이용하여 TEER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assay를 수행한 결과, LOE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TEER 저항값이 증가하여 LOE가 피부장벽 강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부 염증 유발을 위한 TNF-α 처리조건에서도 LOE는 TEER 저항값을 증가시켜 염증 유발 조건에서도 LOE에 의해 피부장벽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cell migration assay를 통해 LOE에 의한 세포이동 촉진 효과를 관찰한 결과, LOE는 세포분열 및 세포이동을 촉진시켰다. 위 결과들을 통해 LOE는 미백 기능 뿐 아니라 피부재생 및 피부장벽 강화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소재이며, 효소안정화 및 제형화 기술이 접목된다면 향후 새로운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도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3 차원 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조직공학용 3 차원 구조체 (Three-Dimensional Printed 3D Structure for Tissue Engineering)

  • 박정훈;장진아;조동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10호
    • /
    • pp.817-829
    • /
    • 2014
  • 조직공학 분야에서의 3 차원 구조체는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미세 환경을 제공하고, 재생하고자 하는 조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탱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까지 다양한 생체재료 및 이의 가공 기법들이 이러한 3 차원 구조체를 제작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특히, 3 차원 프린팅 기술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원하는 외부 형상과 내부 구조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오늘날 조직공학 분야에 많이 이용되고 있고, 이 기술을 통해 새로운 조직공학적 접근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조직공학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3 차원 프린팅 기술과, 이를 통해 제작된 기능성 인공지지체 및 세포 프린팅 구조체, 그리고 이의 다양한 조직공학적 적용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한다.

Recent Progress on Skin-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Pigs

  • Kumar, B. Mohana;Patil, Rajreddy;Lee, Sung-Lim;Rho, Gyu-Jin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283-290
    • /
    • 2012
  • Skin serves as an easily accessible source of multipotent stem cells with potential for cellular therapies. In pigs, stem cells from skin tissues of fetal and adult origins have been demonstrated as either floating spheres (cell aggregates) or adherent spindle-shaped mesenchymal stem cell (MSC)-like cells depending on culture conditions. The cells isolated from the epidermis and dermis of porcine skin showed plastic adherent growth in the presence of serum and positively expressed a range of surface and intracellular markers that are considered to be specific for MSCs. The properties of primitive stem cells have been observed with the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and markers related to pluripotency. Further, studies have shown the ability of skin-derived MSCs to differentiate in vitro along mesodermal, neuronal and germ-line lineages. Moreover, preclinical studies have also been performed to assess their in vivo potential, and the findings appear to be effective in tissue regeneration at the defected site after transplantation. The present review describes the recent progress on the biological features of porcine skin-derived MSCs as adherent cells, and summarizes their potential in advancing stem cell based therapies.

Combined effect of bisphosphonate and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on bone healing of rat calvarial defects

  • Kim, Ho-Chul;Song, Jae-Min;Kim, Chang-Joo;Yoon, Sang-Yong;Kim, In-Ryoung;Park, Bong-Soo;Shin, Sang-H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7권
    • /
    • pp.16.1-16.7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new bone formation using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rhBMP-2) and locally applied bisphosphonate in rat calvarial defects. Methods: Thirty-six rats were studied. Two circular 5 mm diameter bony defect were formed in the calvaria using a trephine bur. The bony defect were grafted with $Bio-Oss^{(R)}$ only (group 1, n = 9), $Bio-Oss^{(R)}$ wetted with rhBMP-2 (group 2, n = 9), $Bio-Oss^{(R)}$ wetted with rhBMP-2 and 1 mM alendronate (group 3, n = 9) and $Bio-Oss^{(R)}$ wetted with rhBMP-2 and 10 mM alendronate (group 4, n = 9). In each group, three animals were euthanized at 2, 4 and 8 weeks after surgery, respectively. The specimens were then analyzed by histology, histomorphometry and immunohistochemistry analysi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of bone formation area (p < 0.05) between group 4 and group 2, 3. Group 3 showed increase of new bone formation compared to group 2. In immunohistochemistry, collagen type I and osteoprotegerin (OPG) didn't show any difference. However,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RANKL) decreased with time dependent except group 4. Conclusion: Low concentration bisphosphonate and rhBMP-2 have synergic effect on bone regeneration and this is result from the decreased activity of RANKL of osteoblast.

투영기반 마이크로 광조형 기술을 이용한 3 차원 인산칼슘 인공지지체 제작 및 골 분화 영향 (Fabrication of Calcium Phosphate Scaffolds Using Projection-based Microstereolithography and Their Effects on Osteogenesis)

  • 설영준;박주영;조동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1호
    • /
    • pp.1237-1242
    • /
    • 2011
  • 인산칼슘 재료는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Hydroxyapatite)와 트리칼슘 포스페이트(Tricalcium-phosphate)를 포함하고 있으며, 인체 골 조직의 무기성분으로 세포 독성이 없고 생체 적합한 성질을 가지고 골 전도성이 있다. 또한 두 재료가 혼합되어 있는 이상 인산칼슘(Biphasic calcium phosphate) 재료는 골 유도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골 조직 재생에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인산칼슘 재료는 파우더 타입으로, 3 차원 자유형상의 인공지지체를 제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고분자 재료에 첨가하여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형상 제작 기술을 이용하여 원하는 내/외부 형상을 가지는 3 차원 인산칼슘 인공지지체를 제작하고, 골 조직 재생용 인공지지체로의 사용이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MC3T3-E1 를 이용한 세포 증식, 골 조직 분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Fumonisin $B_1$ induced renal toxicity in Sprague-Dawley rats

  • Lim, Chae-Woong;Yoon, Hyun-Sang;Rim, Byung-Moo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4
    • /
    • 1999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single intravenous dose of Fumonisin $B_1(FB_1$) of rat kidney on the time sequence.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intravenouslyin jected with FB$_1$at 1.25 mg/kg and were euthanized at 12 hrs, 1, 2, 4, and 6 days after the injection. In $FB_1$ treated rats, serum BUN and creatinine were elevated from 12 hrs. Microscopically, the initial target site was tubules of inner stripe, with mild degenerative and necrotic changes at 12 hrs, but the tubules recovered on day 4. In outer stripe, there were only a few scattered necrotic cells on day 1. These changes became more obvious over the time passed and most severe on day 4. On day 6, regeneration occurred, manifest as hypertrophic, basophilic tubular cells. The dying cells were proved to necrotic cells instead of apoptotic cells by TUNEL. Ultrastructural changes were cytoplasmic vacuole, dilated endoplasmic reticulum, swollen mitochondria, ballooned microvilli of the tubular cell in the outer strip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renal tubules of outer medulla were the target to $FB_1$-induced nephrotoxicity in the rat. However, initial target was mner stnpe of medulla.

  • PDF

홍해삼 추출물의 멜라닌 형성 억제를 통한 미백효과 및 피부 재생효과에 관한 연구 (Whitening Effect and Skin Regeneration Effect of Red Sea Cucumber Extract)

  • 전미지;김은지;;김가연;이승제;정인철;김상용;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81-687
    • /
    • 2018
  • 홍해삼 또는 Apostichopus japonicas는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는 stichopodiae의 한 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홍해삼의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홍해삼 추출물의 미백, 항주름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tyrosinase 활성 분석 결과, 홍해삼 추출물 $200{\mu}g/ml$에서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홍해삼은 tyrosinase, TRP-1, TRP-2, MITF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의 mRNA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어서 HaCaT과 human Fibroblast를 이용한 3차원 세포배양을 통해 홍해삼의 피부 턴오버 주기 개선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홍해삼이 높은 미백효과 및 주름개선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닐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