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soning skill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초거대 언어모델과 수학추론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Large Language Models and Mathematical Reasoning)

  • 권오욱;신종훈;서영애;임수종;허정;이기영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8권6호
    • /
    • pp.1-11
    • /
    • 2023
  • Large language models seem promising for handling reasoning problems, but their underlying solving mechanisms remain unclear. Large language models will establish a new paradigm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society as a whole. However, a major challenge of large language models is the massive resources required for training and operation. To address this issue, researchers are actively exploring compact large language models that retain the capabilities of large language models while notably reducing the model size. These research efforts are mainly focused on improving pretraining, instruction tuning, and alignment. On the other hand, chain-of-thought prompting is a technique aimed at enhancing the reasoning ability of large language models. It provides an answer through a series of intermediate reasoning steps when given a problem. By guiding the model through a multistep problem-solving process, chain-of-thought prompting may improve the model reasoning skills. Mathematical reasoning, which is a fundamental aspect of human intelligence,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advancing large language models toward human-level performance. As a result, mathematical reasoning is being widely explored in the context of large language models. This type of research extends to various domains such as geometry problem solving, tabular mathematical reasoning, visual question answering, and other areas.

건축전공 대학생과 건설회사 노동자의 역량 비교 분석 (A Study on comparing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and construction company workers)

  • 황태홍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31-38
    • /
    • 2021
  • 본 연구는 건축사회환경공학부 대학생과 건설회사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K-CESA 핵심역량 중 비인지적영역(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과 인지적 영역(의사소통역량, 종합적사고력)을 측정하고 분석했다. 건설회사 노동자 25명과 𐩒𐩒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3, 4학년 대학생 36명 통 71명을 대상으로 K-CESA 진단평가를 실시했다.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차이 검증인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했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했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회사 노동자와 건축사회환경공학부 학생간 다섯 가지 능력(자기관리역량의 목표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 대인관계역량의 협력, 중재, 리더십능력, 의사소통역량의 말하기 능력 및 종합적사고력역량의 분석적사고력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전문가 요구 분석 및 문헌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전문가 요구 분석과 문헌 분석을 통해 목표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과 분석적사고력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후속 연구를 통해, 다양한 전공과 공공기관, 기업, 기타 조직 노동자의 역량을 비교하고 대학생을 위한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신감,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tegrated-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Confidenc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 김미정;나은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83-692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의사소통능력, 학습자신감,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 41명으로 2023년 9월부터 11월까지 9주간 운영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후 학습자신감(t=-2.21, p=.033), 임상추론역량(t=-2.97, p=.005), 임상수행능력(t=-2.84, p=.007)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소통능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224, p=.824). 둘째,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수업 후 임상수행능력은 의사소통능력(r=.650, p<.001), 학습자신감(r=.440, p<.001), 임상추론역량(r=.824,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학습자신감과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며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한 시뮬레이션 실습 운영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전두엽연합령 기능에 따른 보존논리 형성 정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s of Prefrontal Lobe and the Formation of Conservation Logic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영신;나은미;권용주;정완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1호
    • /
    • pp.9-1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of prefrontal lobe on the formation of conservation scheme of elementary students. In this study, 107 students of 4th to 6th grades were selected from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area. As to the research,4 items for conservation logic test from GALT test sheet were used. The planning ability, inhibiting ability and reasoning ability were measured for the prefrontal lobe functions. About 30% of 4-6 grade students did not have volume conservation logic skills. The formation of conservations was not linear. Inhibit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level of conservation. And, conservation logic skil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gnitive variables. Reason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explained about 10% of the conservation logic in 4-6 grades.

  • PDF

논리력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EPL기반 교육전략 (Education Strategy based on EPL for Heightening of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 한재협;손원성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95-9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사용자 중심 디자인 모델에 기반한 하이레벨(High Level)단계의 프로토타이핑 기법을 적용하여 응용프로그램 개발 교육모형을 제시하여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문제해결력과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응용프로그램 개발 교육의 새로운 접근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과학영재교육센터 교육체제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dvancing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Gifted Youth)

  • 정원우;권용주;황석근
    • 영재교육연구
    • /
    • 제9권2호
    • /
    • pp.73-10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advanced system for educating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in the Center for Science Talented Education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everal suggestions based on analysis of current identifying-proces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were provided for advancing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center. First, this study suggested a three-step procedure to identify procedure emphasized students reasoning skills as one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 Second, this study provided an instructional model for developing hypothesis testing skills in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The model was originally based on Lawson's scientific reasoning processes and learning cycle mode. Third, this study also suggested an effectiv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Center for Science Talented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ways on research works for advancing the center, educating instructors, the cyber center for remote education, and international co-works for developing the gifted children's potential abilities.

  • PDF

과학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과학비유탐구놀이 학습방법의 구안 (An approach to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through science inquiry play of analogy)

  • 현동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1호
    • /
    • pp.61-73
    • /
    • 1998
  • This research suggests science inquiry play of analogy as a teaming method to help the students in concrete operational stage to develop scientific thinking skills and to understand abstract science conceptions. The research focuses on/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and merits of the science inquiry plays, and the learning method by analogical reasoning. This learning through the science inquiry play of analogy can be considered as a meta-model for scientific thinking skill. The learning has the following processes: 1) Students analogize the abstract science conceptions and facts into play-type activities including the concrete contents such as students themselves, their physical-sensory motions, concrete objects, play methods, and play rules. 2) Students as analogized objects play a role physically and sensuously according to the methods and rules analogized in the play. 3) Students find out the concrete contents included in the science inquiry play of analogy, draw the results, and deduce the new conceptions from the results by reflective thinking and analogical reasoning.

  • PDF

비례 논리 형성에 미치는 학습자 요인 및 비례 논리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 분석 (A Study on Learner's Neuro-Cognitive Variables and An Analysis of Program Effects for Developing Proportional Reasoning Ability)

  • 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03-516
    • /
    • 1998
  • 본 연구는 형식적 조작기의 초기에 형성되며, 형식적 사고와 과학적 추론의 기초가 되는 비례 논리의 형성에 미치는 학습자 요인과 비례 논리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비례 논리 형성에 미치는 요인 분석을 위하여 형식적 사고기의 초기에 해당하는 중학교 1, 2, 3학년 학생 7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된 학생들에게 과학적 사고력 검사, WCST, 설계기능검사, 정신용량 검사, 인지양식 검사, 뇌기능 분화 검사, 동시적/연속적 처리 검사, 과학적 추론 검사를 실시하였다. 한편, 비례논리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해서 비례논리가 형성되지 않은 학생 133명에게 처치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자의 연령, 과학적 추론 능력, 정신용량, 동시적/연속적 정보처리 점수가 높을수록 비례논리 형성 정도가 높았다. 반면에 보속적 오류가 적을수록 비례논리 형성 정도가 높았다. 비례논리 형성에 높은 예언력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변인으로는 과학적 추론, 정보처리, 보속적 오류, 연령의 학습자 요인이다. 형식적 사고기의 연령에 있는 학생 중 비례논리가 형성되지 않은 학생을 위해서 비례 논리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 형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과 비례논리의 형성이 기타의 논리 형성과 과학 교과목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 PDF

물체의 '경사면이동현상'에 대한 아동의 지식 변화 (An Investigation of Children's Knowledge Change as a Result of the Sloping Phenomenon)

  • 김은영;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34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hildren's knowledge and reasoning skills due to the sloping phenomenon according to their ages and the types of tasks they were asked to perform, and (2)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s prior knowledge is changed to post knowledge through their reasoning. A total of 120 subjects, forty from each of the age groups 4, 6 and 8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are presented below : 8-year old 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prior knowledge than 6-year old children. The prior knowledge level of the "size" task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eight" task. 6-and 8-year old 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reasoning than 4-year old children. The reasoning level of the "size" task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eight" task. 6-and 8-year old 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post knowledge than 4-year old childre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post knowledge according to task difference. Through the different types of reasoning involved in the children's performances of the two tasks, changes in the prior knowledge of the sloping phenomenon were observed among all age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