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ctive monomer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3초

멜라민이 코팅된 수산화마그네슘 입자의 제조와 그 복합입자의 난연특성 (Preparation of Mg(OH)2-Melamine Core-Shell Particle and Its Flame Retardant Property)

  • 임형미;윤준호;정상옥;이동진;이승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691-698
    • /
    • 2010
  • Magnesium hydroxide-melamine core-shell particles were prepared through the coating of melamine monomer on the surface of magnesium hydroxide in the presence of phosphoric acid. The melamine monomer was dissolved in hot water but recrystallized on the surface of magnesium hydroxide by quenching to room temperature in the presence of phosphoric acid. The core-shell particle was applied to low-density polyethylene/ ethylene vinyl acetate (LDPE/EVA) resin by melt-compounding at $180^{\circ}C$ as flame retardant. The effect of magnesium hydroxide and melamine content has been studied on the flame retardancy of the core-shell particles in LDPE/EVA resin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process and purity of magnesi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prepared with sodium hydroxide rather than with ammonia solution revealed higher flame retardancy in core-shell particles with LDPE/EVA resin. At 50 wt% loading of flame retardant, core-shell particles revealed higher flame retardancy compared to that of the exclusive magnesium hydroxide in LDPE/EVA composite, and it was possible to satisfy the V0 grade in the UL-94 vertical test. The synergistic flame retardant effect of magnesium hydroxide and melamine core-shell particles was explained as being due to the endothermic decomposition of magnesium hydroxide and melamine, which was followed by the evolution of water from the magnesium hydroxide and porous char formation due to reactive nitrogen compounds, and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melamine.

광경화성 단분자를 이용한 광학 보상 휨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기광학 특성연구 (Study on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ly Compensated Be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UV Curable Monomer)

  • 임영진;전은정;권동원;김정환;정광운;이명훈;이승희
    • 폴리머
    • /
    • 제33권5호
    • /
    • pp.496-500
    • /
    • 2009
  • 광학 보상 휨 액정디스플레이(OCB-LCD)는 빠른 응답속도와 광 시야각 특성 때문에 응용 분야가 많다. 하지만 OCB-LCD는 초기에 splay 상태로 배열되어 있고 계조 구동은 bend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기 splay 상태에서 bend 상태로의 빠른 전이가 필요하다. 기존에 순간적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방식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임계 전압과 광경화성 반응성 단량체의 고분자화를 통한 표면 선경사각 형성으로 초기 상태부터 bend 상태를 갖는 OCB-LCD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액정 셀의 전기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조된 셀은 기존 OCB 셀에 비해 고 선경사각으로 인한 고속응답 특성을 보여주었고 액정 단량체에 의해 형성된 배향막 위의 고분자 층 형성에 따른 잔류 DC 값은 0.1 V 보다 적었다.

광경화형 자가광개시 아크릴레이트의 경화특성 및 도막물성 (Curing and Coating Properties of Photo-Curable Self-Photoinitiating Acrylate)

  • 한아람;홍진후;김현경
    • 접착 및 계면
    • /
    • 제15권1호
    • /
    • pp.22-30
    • /
    • 2014
  • 본 연구는 자가광개시형 아크릴레이트를 Michael addition 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하고 자유라디칼, 양이온 및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배합-경화-물성 상관관계를 유도하여 이들의 경화물성, 표면 물성을 Photo-DSC, 진자경도, 연필경도 및 내오염성 측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자유라디칼 반응형 모노머 첨가를 통해 경화 특성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었으나, 일정량 이상의 모노머 첨가 시 반응성 저하로 인해 경화성이 오히려 저하되었으며, 이는 자유라디칼 반응형 모노머에 의한 이동성의 향상이 SPIA의 경화 향상에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유 라디칼 광개시제에 의한 자유 라디칼의 생성과 자가광개시 반응에 의한 자유라디칼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반응에 참여되어 우수한 경화 특성을 보였으며, 양이온 시스템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경우 양이온계 광개시제와 양이온계 모노머가 라디칼 생성과 확산까지 촉진 시켜 우수한 경화특성을 보이며, 라디칼 중합에 비해 산소에 의한 영향이 적은 양이온 중합의 영향으로 표면물성을 비롯한 도막 물성 또한 가장 우수하였다.

라디칼 개시제를 이용한 MA-PLA 제조 및 바이오플라스틱 PLA/PA11 블렌드의 상용성 개선 (Preparation of MA-PLA Using Radical Initiator and Miscibility Improvement of PLA/PA11 Blends)

  • 이종은;김한얼;남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6-85
    • /
    • 2019
  • Vegetable oil은 자연 유래 물질로 낮은 가격 및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으로 최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vegetable oil 내의 이중결합의 낮은 반응성으로 인해 고분자 합성의 기반 물질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Tung oil은 ${\alpha}$-eleostearic acid를 주성분으로 하는데, 이 구조는 3개의 이중결합이 공명구조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다른 vegetable oil과는 달리 높은 반응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ung oil을 styrene 및 divinylbenzene 등의 monomer와 양이온 중합을 통해 tung oil의 관능기 치환 과정이 없는 열경화성 수지를 합성하였으며, 각 monomer의 조성이 합성된 열경화성 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열적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ung oil-styrene-divinybenzene copolymer는 단일 Tg를 갖는 homogeneous한 열경화성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통해 tung oil 및 styrene은 soft segment로써 합성된 copolymer에 elastic한 성질을 부여하고, divinylbenzene은 hard segment로 작용하여 합성된 copolymer에 brittle한 성질을 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oning,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Human Extracellular Superoxide Dismutase in SF9 Insect Cells

  • Shrestha, Pravesh;Yun, Ji-Hye;Kim, Woo Taek;Kim, Tae-Yoon;Lee, Weontae
    • Molecules and Cells
    • /
    • 제39권3호
    • /
    • pp.242-249
    • /
    • 2016
  • A balance between production and degrad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s critical for maintaining cellular homeostasis. Increased levels of ROS during oxidative stress are associated with disease conditions. Antioxidant enzymes, such as extracellular superoxide dismutase (EC-SOD), in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neutralize the toxicity of superoxide. Recent studie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C-SOD in protecting the brain, lungs, and other tissues from oxidative stress. Therefore, EC-SOD would be an excellent therapeutic drug for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oxidative stress. We cloned both the full length (residues 1-240) and truncated (residues 19-240) forms of human EC-SOD (hEC-SOD) into the donor plasmid pFastBacHTb. After transposition, the bacmid was transfected into the Sf9-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and the expressed hEC-SOD purified using FLAG-tag.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hEC-SOD is present both as a monomer (33 kDa) and a dimer (66 kDa), as detected by the FLAG antibody. A water-soluble tetrazolium (WST-1) assay showed that both full length and truncated hEC-SOD proteins were enzymatically active. We showed that a potent superoxide dismutase inhibitor, diethyldithiocarbamate (DDC), inhibits hEC-SOD activity.

석유화학공업에서의 투과증발막의 응용 (Application of Pervaporation Membrane Process in Petrochemical Industry)

  • 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17권1호
    • /
    • pp.1-13
    • /
    • 2007
  • 분리막을 이용한 투과증발공정은 에너지 소모가 적고 설치비와 운영비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증류공정을 대신할 수 있는 공정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석유화학공정은 공정 중에 에너지 소모가 크고, 많은 화합물들이 공비혼합물을 이루고, 새로운 공정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투과증발공정은 증류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매우 유력한 후보이다. 벤젠/시클로헥산을 포함하는 방향족 화합물의 분리, 올레핀/파라핀 분리, 자일렌 이성질체의 분리, 반응성 단량체의 회수, 가솔린으로부터 황 화합물의 제거 등에 투과증발공정을 응용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상용화가 되고 있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강인성에 비닐계 단량체가 미치는 효과 (Effect of Vinylic Monomers on Toughness of Unsaturated Polyester)

  • 이동호;정용균;최관영;김호겸;민경은;서관호;임정철;전일련
    • 폴리머
    • /
    • 제25권3호
    • /
    • pp.375-384
    • /
    • 2001
  • 불포화 폴리에스테르(unsaturated polyester: UP)의 희석제로 많이 사용되는 스티렌 단량체 (SM)대신에 단일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비닐 아세테이트(VAc), 메틸 아크릴레이트(MA)를 SM과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혼합초성에 따른 UP의 기계적 물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SM/MA 혼합계는 MA함량 증가에 따라 전체적으로 강인성의 향상이 나타난 반면, SM/VAc 혼합계의 경우에는 VAc 단량체치 함량 증가에 마른 강인성의 향상을 기대하기가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전체 계의 유리전이온도의 저하 효과와 상분리에 의한 응력 완화 효과에 미치는 각 단량체의 영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Holographic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s and Polymeric Photonic Crystals Formed by Holographic Photolithography

  • Kyu Thein;Meng Scott;Duran Hatice;Nanjundiah Kumar;Yandek Gregory R.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55-165
    • /
    • 2006
  • The present article describes the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observations on the formation of holographic,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s and electrically switchable, photonic crystals. A phase diagram of the starting mixture of nematic liquid crystal and photo-reactive triacrylate monomer was established by means of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cloud point measurement. Photolithographic patterns were imprinted on the starting mixture of LC/triacrylate via multi-beam interference. A similar study was extended to a dendrimer/photocurative mixture as well as to a single component system (tetra-acrylate). Theoretical modeling and numerical simulation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combination of Flory-Huggins free energy of mixing and Maier-Saupe free energy of nematic ordering. The combined free energy densiti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time-dependent Ginzburg-Landau (Model C) equations coupled with the photopolymerization rate equation to elucidate the spatio-temporal structure growth. The 2-D photonic structures thus simulated were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Furthermore, 3-D simulation was performed to guide the fabrication of assorted photonic crystals under various beam-geometries. Electro-optical performance such as diffraction efficiency was evaluated during the pattern photopolymerization process and also as a function of driving voltage.

Effect of plasma polymerized film on fouling of heat exchangers

  • Kim, Ki-Hwan;Park, Sung-Chang;doo-Jin choi;Jung, Hyung-Jin;Ha, Sam-Chul;Kim, Chul-Hwan;Koh, Seok-Keu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60-160
    • /
    • 1999
  • To reduce the fouling of heat exchangers, the plasma polymerized films was coated on the heat exchangers, and an effect of plasma polymerized film on fouling of heat exchangers was investigated. Monomer and reactive gases were used as the precursors of plasma polymerization. Plasma polymerized films were deposited with process parameters of pressure, power, and ratio of gases. Plasma polymerized films could be served as functional layers of good wettability and high resistance to corrosion. Wettability of plasma polymerized film could be controlled by the ratio change gas mixture. Hydrophilicity of plasma polymerized films on heat exchanger in air conditioner can provide improvement in performance of heat exchanger which results from good water drainage, decrease of pressure drop. DC-plasma polymerized films improve resistance to corrosion whcih is related to deposit formation in heat exchangers. The difference in the build up of fouling deposits between bare substrate and plasma polymerized substrate was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 effect of plasma polymerized film on fouling of heat exchangers was discussed in terms of surface properties such as wettability, surface chemical state.

  • PDF

Near-IR 분광법을 이용한 광 경화 중합반응 관찰 (Monitoring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using near-IR spectroscopic technique)

  • 정수정;홍진후;유정아
    • 분석과학
    • /
    • 제15권4호
    • /
    • pp.341-345
    • /
    • 2002
  • UV 광 중합 반응의 진행정도를 near-IR 분광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광중합반응의 반응체는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고 있는 아크릴 모노머를 사용하였으며 광 개시제로는 Darocur 1174를 사용하였다. 반응의 진척도는 광중합 반응의 정도를 나타내 주는 척도가 되는 중합 반응체인 아크릴 모노머의 -C=$CH_2$ 기와 관련된 흡수 띠인 1615 nm(6190 $cm^{-1}$)와 2105 nm(4750 $cm^{-1}$)에서 관찰된 띠 세기의 전환율로부터 구하였다. Near-IR 분광법이 광 중합 반응의 진행정도를 관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