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olysis

검색결과 1,536건 처리시간 0.039초

고분자 열분해에 의한 $MoSi_2$/SiC 세라믹 복합체 ($MoSi_2$/SiC Ceramic Composites Prepared by Polymer Pyrolysis)

  • 김범섭;김득중;김동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805-810
    • /
    • 2000
  • The formation,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MoSi2/SiC ceramic composites by polymer pyrolysis were investigated for the application of heating element material. Polymethylsiloxanes were mixed with Si, SiC, MoSi2 as filler and ceramic composites prepared by pyrolysis in N2 atmosphere at 1320~145$0^{\circ}C$ were studied. Dimensional change, density variation and phases were analyzed and correlated to the resulting material properties. Microstructures of ceramic composite prepared by polymer pyrolysis were composed of MoSi2, SiC and silicon oxycarbide glass matrix. Depending on the pyrolysis conditions, ceramic composites with a density of 86~90 TD%, a fracture strength of 213~284 MPa,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4~7$\times$10-6 were obtained.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specimen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temperature up to 50$0^{\circ}C$.

  • PDF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Microstructure of SBR and SBR Content in Blended Rubber Composites Using Pyrolytic Technique

  • Eunji Chae;Sung-Seen Choi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7권4호
    • /
    • pp.188-196
    • /
    • 2022
  • Styrene-butadiene rubber(SBR) is a copolymer of styrene and butadiene. It is composed of 1,2-unit, 1,4-unit, and styrene, and its properties are dependent on its microstructure. In general, rubber composites contain a single rubber or a blended rubber. Similarly, SBR is used by mixing with natural rubber(NR) and butadiene rubber(BR). The composition of a rubber article affects it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Herein, an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ing the microstructure of SBR using via pyrolysis is introduced.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is widely used to analyze the microstructure of polymeric materials. The microstructure of SBR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principal pyrolysis products formed from SBR, such as 4-vinylcyclohexene, styrene, 2-phenylpropene, 3-phenylcyclopentene, and 4-phenylcyclohexene. An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SBR/NR, SBR/BR, and SBR/NR/BR blends via pyrolysis is introduced. The composition of blended rubber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principal pyrolysis products formed from each rubber component.

폴리에틸렌 열분해 생성물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yrolysis Products of Polyethylene)

  • 이동환;최홍준;김대수;이봉희
    • 폴리머
    • /
    • 제32권2호
    • /
    • pp.157-162
    • /
    • 2008
  • LDPE, LLDPE 및 HDPE의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에 따른 저온 열분해 특성을 연구하였다. 실험범위는 반응온도에 대하여 $425^{\circ}C$에서 $500^{\circ}C$이었고 반응시간은 35분에서 65분이었다. 열분해 생성물들은 한국석유품질검사소의 석유제품 품질기준에 따라 휘발유, 등유, 경유 및 왁스로 분류하였다. TGA분석결과, 3종류의 시료 모두가 가열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열분해 개시온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정한 가열속도에서 열분해 개시온도는 LDFE$475^{\circ}C$ 이상에서는 모든 폴리에틸렌 시료의 전환율이 90 wt% 이상이었다. 휘발유와 등유의 수율은 $450^{\circ}C$, 65분에서 최대이었으며 $475^{\circ}C$ 이상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타이어의 열분해를 통한 에너지화 : 폐폴리프로필렌 첨가 시 열분해 오일의 탈황 효과 (Energy Recovery via Pyrolysis of Waste Tire Rubber : Desulfurization Effect of Pyrolysis Oil by Adding Waste Polypropylene)

  • 정재용;이은도;장원석;오문세;정수화
    • 에너지공학
    • /
    • 제26권3호
    • /
    • pp.97-10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폐타이어의 열분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450에서 $650^{\circ}C$ 범위에서 급속 열분해를 실시하였다. 반응 온도의 변화에 따른 열분해 오일의 특성을 관찰하고 특히 폐폴리프로필렌을 폐타이어와 혼합하여 열분해를 실시할 때 열분해 부산물 내 황의 거동을 살펴보았다. 열분해 오일의 수율은 반응 온도 $456^{\circ}C$에서 약 52wt.%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산된 오일의 GC-MS 분석 결과 반응 온도가 증가할수록 지방족 화합물의 함량은 줄어드는 반면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화합물은 리모넨(Limon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스타이렌(Styrene), 트리메틸벤젠(Trimethylbenzene) 그리고 메틸나프탈렌류(Methylnaphthalenes)이었으며 미량의 황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도 검출되었다. 폐폴리프로필렌을 폐타이어와 혼합 열분해 한 결과 열분해 오일 내 황의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Medium-Density Fiberboard의 급속 열분해 (Fast pyrolysis of Medium-Density Fiberboard Using a Fluidized Bed Reactor)

  • 박영권;박경선;박성훈
    • 공업화학
    • /
    • 제24권6호
    • /
    • pp.672-675
    • /
    • 2013
  • Medium-density fiberboard의 최적 열분해 조건을 찾기 위해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급속열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열분해 온도를 $425^{\circ}C$$575^{\circ}C$ 사이에서 변화시켰을 때, $525^{\circ}C$에서 최대 바이오오일 수율 52 wt%를 얻을 수 있었다. 열분해 온도가 높을수록 생성되는 바이오오일의 품질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온도에서 열분해 반응을 수행할 경우, 상당한 양의 oxygenates 및 acids 물질들이 분해되고, 대신 aromatics와 phenolics 같은 고부가가치 물질들이 생성되었다. 기체상 생성물의 대부분은 CO와 $CO_2$였다. 열분해 온도가 높을수록 CO와 $C_1-C_4$ 탄화수소 생성량이 많았다.

EVA 수지 이용 연료유 생성을 위한 열분해 반응에서 실리카-알루미나 계열 무기물의 영향 (The Effects of Silica-Alumina Type Inorganic Compounds on the Pyrolysis Reaction of EVA to Produce Fuel-Oil)

  • 박영철;최주홍;오세희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706-713
    • /
    • 2011
  • The effects of silica-alumina type catalysts addition on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have been studied in a thermal analyzer (TGA, DSC) and a small batch reactor. The silica-alumina type compounds tested were kaolinite, bentonite, perlite, activated clay and clay. As the results of TGA experiments, pyrolysis starting temperature for EVA resin had the 1st pyrolysis temperature range of 300~$400^{\circ}C$ and the 2nd pyrolysis temperature range of 425~$525^{\circ}C$. The silica-alumina type catalysts did not affect the pyrolysis rate in EVA pyrolysis reaction. In the DSC experiments, addition of kaolinite and bentonite catalysts reduced the heat of fusion and heat of 2nd pyrolysis reaction. In the batch system experiments, the mixing of silica-alumina type catalysts enhanced the yield of fuel oil, and affected to the distribution of carbon numbers. In the silica-alumina type inorganic material used in this experiments, bentonite was the most effective from the pyrolysis heat, yiel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uel oil.

열분해에 의한 내충격 폴리스티렌 해중합 생성물의 분포 특성 (Produc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igh-Impact Polystyrene Depolymerization by Pyrolysis)

  • 이봉희;유홍정;김대수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64-68
    • /
    • 2005
  • 폐플라스틱으로 수거되는 내충격 폴리스티렌의 액상연료로서의 재활용을 위해 열분해에 의한 HIPS 해중합 특성을 연구하였다. 열분해 온도 및 열분해 시간이 HIPS의 열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HIPS의 열분해 반응 시작온도와 활성화에너지는 가열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전환율과 액체수율은 열분해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각각의 액체성분을 한국석유품질검사소 석유제품 품질기준에 기초하여 증류온도에 따라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로 분류하여 본 결과, 가솔린 > 중유 > 등유 > 경유 순이었다. 특히 가솔린 성분은 열분해된 HIPS의 51${\pm}$6 wt%를 차지하였다.

광곽향(patchouli) oil의 열분해 생성물 분석 (Pyrolysis products of Patchouli oil)

  • 이재곤;장희진;이영택;곽재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1-106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yrolysis products of patchouli oil by Curie-Point pyrolysis. The pyrolysis of patchouli oil was performed at the temperature of 16$0^{\circ}C$, 42$0^{\circ}C$, $650^{\circ}C$, 76$0^{\circ}C$, and 92$0^{\circ}C$ by Curie-Point Pyrolyzer. The pyrolysis produc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GC) and mass selective detector(MSD). Total 21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pyrolyzates of patchouli oil. The temperature for maximum formation of most of these compounds was in the range of 76$0^{\circ}C$~92$0^{\circ}C$. The major components were $\beta$-patchoulene, $\alpha$-guaiene, $\beta$-caryophyllene, $\alpha$-patchoulene, seychellene, $\delta$-guaiene, and patchouli alcohol. The numbers of the pyrolyzed products of patchouli oil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temperature, however, the yields of major components such as patchoulene, guaiene, seychellene and patchouli alcohol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of pyrolysis was raised to 92$0^{\circ}C$, the highest temperature in this experiment. The optimum temperature for formation of the pyrolysis products such as styrene, indane and naphthalene was at 92$0^{\circ}C$.

산업용 플라스틱 재료의 열분해 및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yrolysis and Combustion Properties on Industrial Plastics)

  • 임보수;안형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6-51
    • /
    • 2016
  • 산업용플라스틱의 열분해 및 연소시 연소가스 배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해가스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결과로써 PC의 경우 열분해는 $400{\sim}450^{\circ}C$에서 분해가 진행되어 약 $608^{\circ}C$에서 연소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연소 전까지의 중량감소 속도는 0.03g/min이었다. 둘째 PET의 경우는 PC와 유사하게 $420^{\circ}C$에서 분해가 시작하여 $620^{\circ}C$에서 완료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소 전 중량감소 속도는 0.044g/min인 것을 보였다. PET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분해속도는 염료가 첨가되어있는 경우 열분해속도가 느려지고 분해온도가 높아졌다.

ABC 분말소화약제의 열분해 시 목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the ABC Dry Chemical on Wood in Pyrolysis)

  • 고왕열;인세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1-7
    • /
    • 2018
  • 본 연구는 ABC 분말소화약제와 제1인산암모늄의 열분해생성물이 목재표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목재표면에서 열분해 생성물을 제거하였을 때 제1인산암모늄은 점도가 높은 투명한 열분해 생성물이 눌어붙어 제거하기 힘들었으나 ABC 분말소화약제는 덩어리진 형태로 쉽게 제거되었다. 열분석 결과 각 시료의 열분해 특성은 유사하나 열분해 잔존물의 중량이 ABC 분말소화약제는 55.9%, 제1인산암모늄은 25.2%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ABC 분말소화약제에 첨가된 첨가제가 열분해 잔존물의 중량 및 메타인산의 방신효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