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ogallol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초

대나무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 임진아;나영순;백승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06-310
    • /
    • 2004
  • 본 연구는 왕대나무 줄기의 생리황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왕대나무 줄기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왕대나무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RC_{50}$)은 $116.75\;{\mu}g/mL$로 나타났고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0.92 mg/mL)을 첨가하였을 때 43.88%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은 추출물($50\;{\mu}g/mL$)을 첨가하여 TBA값을 측정한 결과 배양시간 4일과 6일 경과 후 각각 74.76%, 54.48% 감소율을 보임으로써 효과적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추출물(0.2 mg/mL)을 첨가하였을 때 pH 1.2 조건에서 43.0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왕대나무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왕대나무의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는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ction of Ginkgo Bibloba Extract in the Isolated Rabbit Corpus Cavernosum

  • Chung, Woo-Sik;Choi, Young-Deuk;Park, Young-Yo;Hah, Jong-Si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9권1호
    • /
    • pp.61-67
    • /
    • 1995
  • The extract of Ginkgo bibloba (EGb) is a complex mixture of natural products from the Ginkgo leaves and clinica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and peripheral circulatory disturbances due to its combined activity of several vasoactive principl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ction of EGb and its mechanism in isolated rabbit corporal smooth muscl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material as a pharmacoerecting agent. Strips of rabbit corpus cavernosum were mounted in organ chambers to measure isometric tension. EGb began to exert an relaxing effect at 1 mg/ml in the submaximally precontracted muscle strips with phenylephrine $(PHE,\;5{\times}10^{-6}\;M)$; causing concentration-dependent relaxation with maximal effect at $3{\sim}5\;mg/ml$. That relaxation was partially inhibited by removal of the smooth muscle endothelium or by pretreatment with a NO scavenger, pyrogallol $(10^{-4}\;M)$ or the guanylate cyclase inhibitor, methylene blue $(10^{-4}\;M)$. Pretreatment with EGb (3 mg/ml) inhibited PHE- $(5{\times}10^{-6}\;M)$ or KCI- (20 and 40 mM) induced contraction of muscle strip. In calcium-free high potassium solution EGb depressed the basal tone of the depolarized muscle strip and inhibited calcium-induced contraction when $CaCl_2$ $(10^{-4}\;M)$ was add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b relaxes rabbit corpus cavernosal smooth muscle through multiple action mechanisms that include increasing the release of nitric oxide from the corporal sinusoidal endothelium, sequestration of intracytosolic calcium, and maybe a hyperpolarizing action.

  • PDF

마황(麻黃) 추출물이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phedras Herba on the activity of antioxidant)

  • 송성민;임형호;권기록;임태진;송윤경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0권2호통권23호
    • /
    • pp.57-65
    • /
    • 200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Ephedrae Herba extract. Methods : Total antioxidant status was examined by total antioxidant capacity(TAC), total antioxidant response(TAR) against potent free radical reactions, total phenolic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on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mitochondria. Results : 1. TAC and TAR of Ephedrae Herba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5mg/ml were 3.76 and 1.65 mM Trolox equivalents , respectively. 2. Total phenolic content of Ephedrae Herba extract at the concenuation of 5mg/ml was 3.52 mM gallic acid equivalent. 3. Concentration of Ephedrae Herba extract at whic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hibited by 50% was 0.46mg/ml as compared to 100% by pyrogallol solution as a reference. 4. Ephedrae Herba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2mg/ml significantly decreased TBARS concentration by 97%, showing that Ephedrae Herba extract prevented lipid peroxidation at the low concentration. Conclusion : Thus antioxidant effects of Ephedrae Herba extract appear to be due to, at least in part, the prevention from free radicalsinduced oxidation, followed by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랫드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양파 추출물이 수은에 의해 유도된 독성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nion Extracts on Mercury-Induced Toxic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 Hepatocyte Primary Culture)

  • 임태진;임상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6-15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랫드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양파추출물이 수은에 의해 유발된 세포독성,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수은 농도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0, 1, 5, 10, 30 및 50 ppm의 다양한 농도의 $HgCl_2$로 6시간 동안 간세포를 일차배양하였다. 간세포 독성과 생존율은 배양액의 GOT와 LDH 활성 및 MTT 값으로 결정하였고, 지질과산화는 TBARS 농도로 측정하였다. 항산화에 미치는 효과는 catalase, GSH-Px, GSH-Rd 활성 및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으로 결정하였다. 10 ppm 이상의 $HgCl_2$ 농도는 GOT 활성을 증가시켰고 %MTT 감소를 현저히 억제시켰으며 TBARS 농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30 ppm 이상의 $HgCl_2$ 농도는 LDH 활성을 증가시켜 수은이 농도 의존적으로 간세포 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촉진시켰다. 6시간 동안 30 ppm 농도의 $HgCl_2$, 처리는 간세포의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수은 독성에 대한 양파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30 ppm의 수은 존재하에 0, 0.01, 0.05, 0.1 및 0.3 mg/ml의 다양한 농도의 양파추출물로 6시간 동안 간세포를 일차배양하였다. 0.05 mg/ml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30 ppm 농도의 수은에 의해 증가된 GOT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MTT 감소를 증가시켰다. 또한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은 수은에 의해 증가된 LDH 활성과 TBARS 농도를 감소시켜 양파추출물이 수은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0.05 mg/ml와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수은에 의해 각각 억제된 catalase와 GSH-Px 활성을 증가시켰으나 GSH-Rd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양파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증가하여 5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은 pyrogallol 용액의 흡광도 감소를 100%로 기준하였을 때 93% 이상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수은은 간독성 증가, 간세포 생존율 감소, 지질과산화 촉진 및 catalase, GSH-Px, GSH-Rd 등의 항산화효소 활성 감소를 유발시켰으며, 양파추출물은 catalase와 GSH-Px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free radical을 소거시켜 수은에 의해 유발된 독성 및 지질과산화를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및 간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nt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the Dried Radish (Raphanus sativus L.) with Pressurized Roasting)

  • 송영복;최정선;이지은;노정숙;김미정;조은주;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79-1186
    • /
    • 2010
  • 무말랭이 및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in vitro와 LLC-$PK_1$ cellular system에서 살펴보았다.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과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IC_{50}$로 비교해 보았을 때 DPPH(646.70 vs $135.45\;{\mu}g/mL$), superoxide anion(896.10 vs $566.98\;{\mu}g/mL$) 및 hydroxyl radical(722.26 vs $531.84\;{\mu}g/mL$)에 대한 가압볶음 열수 추출물의 효과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러한 유리기 소거효과는 LLC-PK1 cell에서 pyrogallol, SNP 및 SIN-1 처리로 superoxide, nitric oxide 및 peroxynitrite를 생성하여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 다음 무말랭이 및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추출물을 첨가하였을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고, 과산화물 생성량이 감소하여 세포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산화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는 무말랭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모든 유리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러한 무말랭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무에 함유되어 있는 함황 물질, 유리아미노산, 배당체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효과가 더 높은 이유는 무말랭이에 함유된 유효성분이가압볶음에 의해 증가되고 더불어 볶음과정 중에서 생성된 maillard 생성물의 항산화성 때문으로 생각된다. 무말랭이의 환원당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볶음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이에 반해 maillard 생성물의 중간산물인 5-hydroxymethyl-2-furfural(5-HMF) 함량은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것이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에서는 0.57 mg/g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압볶음 무말랭이 차의 섭취는 체내 유리기에 의한 산화적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자호(紫胡)의 발아특성(發芽特性)과 발아억제물질(發芽抑制物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Seed Germination Characters and Germination Inhibitors of Bupleurum falcatum L.)

  • 이상현;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76-283
    • /
    • 1997
  • 본 실험(實驗)은 자호종자(紫胡種子)의 발아적정온도(發芽適定溫度)를 구명(究明)하고, 유수 황산(流水 黃酸) 및 $GA_3$ 처리(處理)가 시호종자의 발아(發芽)에 미치 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며, 발아억제물질(發芽抑制物質)을 검정(檢定)하고자 수행(遂行)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공시품종(供試品種)모두 암상태(暗狀態)에서 15, 20, 25및 $30^{\circ}C$ 처리(處理)에서는 $15^{\circ}C$에서 발아율(發芽率)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황산0.1및 1.0%를 5, 10 및 60분간처리 하였을 경우는 두 품종 모두 5분간 처 리 하였을 때 발아율이 높았으며, 유수(流水)에 1, 2및 5일간 처리하였을 경우는 두 품종 모두 2일간 처리 하였을 때 발아율이 가장높았고, 10, 50 및 100ppm의 $GA_3$를 처리하였을 경우는 두 품종 모두 100ppm에서 발아율이 높았다. 이상 모든 처리(處理)의 품종간 비교에서는 처리에 상관(相關)없이 정선종이 삼조종보다 발아율이 높게 나타났다. 2. SEM으로 관소(觀素)한 결과(結果) 무처리 에 북(比)해 유수(流水)에 2일간 처리한 경우는 시호종자의 종피 에 붙어 있던 많은 발아억제물질(發芽抑制物質)같은 것이 씻겨져 종피 표면(種皮 表面)이 깨끗하였다. 3. 시호종자 EtOH 추출물 농도(抽出物 濃度)가 4000ppm일 때 정선종에서는 41.7%, 삼도종에서는 58.3%의 상추종자 발아율을 나타내어 추출(抽出)농도가 높아질수록 상추종자 발아억제 현상(發芽抑制 現象)이 심(甚)하게 나타났다. 4. Phenolic acids의 검정(檢定)에 있어서는 두 품종에서 orchinol, Pyrogallol 및 p-hydroxybenzoic acid의 함양(含量)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삼도종은 정선종에 비하여 salicylic acid와vanillic acid의 함량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 PDF

소리쟁이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Antioxidative Activity of Rumex crispus L. Extract)

  • 임태진;최무영;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8-57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소리쟁이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소리쟁이 추출물의 농도는 2.15 mg/mL으로 ${\alpha}$-tocopherol의 $IC_{50}$(0.43 mg/m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총항산화능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으로 측정하였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0.47 및 2.33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alpha}$-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superoxide 소거활성은 각각 21.5 및 78.9%이었으며, catechin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 소리쟁이 추출물 20 및 100 ${\mu}g/mL$의 pe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62.5 및 156.4 ${\mu}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ascorbic acid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구리이온 환원력은 각각 0.28 및 1.88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alpha}$-tocopherol에 비해 유사하거나 높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은 hydroxyl 라디칼 및 peroxyl 라디칼로 유발된 supercoiled DNA strand 절단을 억제시켰다. 소리쟁이 추출물 0.5 및 5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8 및 3.85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0.5 mg/mL 농도의 첨가는 0.2 mM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8.5 및 63.5%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소리쟁이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 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양송이 유래 Polyphenoloxidase에 의한 Polyphenol 화합물의 효소적 갈변생성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polyphenol Compounds by polyphenoloxidase derived from Mushroom(Agaricus bisporus))

  • 오흥석;함승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1-346
    • /
    • 1992
  • 양송이(mushroom : Agaricus bisporus)로부터 polyphenol oxidase를 추출하여 4종류의 polyphenol 화합물과 반응시켜 양송이 효소 갈변반응생성물을 얻고, 이들 갈변물질들에 대하여 B. subtilis $H17(rec^+)$$M45(rec^-)$를 이용한 spore rec-assay, S.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 그리고 E. coli PQ37을 이용한 SOS chromotest를 실시하여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검토하였다. Spore rec-assay에서는 4가지 갈변물질 모두 B. subtilis $H17(rec^+)$$M45(rec^-)$ 두 균주에 대하여 생육저지대의 차이가 없었으므로 갈변물질 자체로서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시료 모두 돌연변이에 대하여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중 HHQ-MEBRP는 가장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Ames test에서는 4가지 시료 모두 돌연변이원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시료 $300\;{\mu}l$ 첨가시 $B({\alpha})P(20\;{\mu}g)$에 대하여 S. typhimurium TA98 및 TA100 두 균주에서 Ca-MEBRP와 HHQ-MEBRP는 $91{\sim}95%$, HCa-MEBRP와 Py-MEBRP는 $50{\sim}80%$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Trp-P-1(2\;{\mu}g)$에 대해서도 4가지 시료 모두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HQ-MEBRP는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에서 99%, HCa-MEBRP도 96%의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SOS chromotest에서도 spore rec-assay와 Ames test에서와 같이 시료 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NQO와 MMC와 같은 돌연변이원물질에 의한 SOS-inducing function에 대하여 억제효과가 있었으므로 항돌연변이원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배암차즈기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 임진아;윤보원;백승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3-188
    • /
    • 2007
  •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항산화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의 전자공여능(RC$_{50}$)은 51.10 ${\mu}$g/ml로 나타났고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0.92mg/ml)을 첨가하였을때 62.11%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은 추출물 (0.2mg/ml)을 첨가하여 지질과산화물을 측정한 결과 배양시간 1, 2, 4일 경과후 각각 72.86%, 77.18%, 78.32% 감소율을 보임으로써 효과적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은 gallic acid equivalents (GAE)로 측정되었고, 202.35${\pm}$ 1.26 GAE ${\mu}$ extract으로 조사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복합 생약추출물(0.2mg/ml)을 첨가하였을 때 pH 1.2조건에서 44.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냄으로써 기능성 식품 소재 및 식품 첨가물로써 사용가능 하리라 사료된다.

겨자(Brassica juncea)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Methanol Extract in Mustard)

  • 최규홍;윤형식;김정숙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7권
    • /
    • pp.165-174
    • /
    • 1989
  • 탈지 겨자박으로 부터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페놀산을 추출하여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항산화 효과를 0.02%(w/w)의 BHA, BHT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는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기질과 대조구를 $45{\pm}1^{\circ}C$에서 25일간 저장하면서 매5일간 과산화물가, TBA가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추정하였다. 1. BHA, BHT와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페놀산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구와 대조구의 25일 저장 후 과산화물가는 각각 31.9, 13.2, 16.6, 11.2, 35, 91이었다. 한편 같은 조건하에서 각 항산화성 물질의 TBA가는 0.24, 0.16, 0.19, 0.17, 0.35이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페놀산 추출물들은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2. 겨자의 총 페놀함량은 유리페놀산 및 불용성페놀산의 추출물이 각각 13.2mg/10ml. 340.5mg/10ml, 2.1mg/10ml였다. 3. 분리 동정된 페놀산은 catechol, methylcatechol, salicylic acid, cinnamic acid, pyrogallol, p-hydroxybenzoic acid, syringic acid, caffeic acid, sinapic acid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