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nching failure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초

장지간 PSC 바닥판의 정적펀칭강도 (Punching Strength of Long-Span PSC Deck Slabs)

  • 황훈희;조창빈;윤혜진;김성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봄학술 발표회 논문집(I)
    • /
    • pp.467-470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tic strength of long-span PSC deck slabs. In the previous study, the minimum thickness of PSC deck slabs in the composite two-girder bridge was proposed. To examine the structural behavior and safety of the PSC deck slab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osed minimum thickness, 1/3 scaled PSC deck slabs in the composite two-girder bridge were tested under the static loading.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dicted values proposed by the code and Matsui. Test results showed ultimate static strength of the PSC deck slab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osed minimum thickness have enough margin of safety. The static failure mode of each test specimen was punching shear mode.

  • PDF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뚫림 전단강도에 대한 래티스 보강상세의 영향 (Effects of details of lattice reinforcement for punching shear strength of slab-column connections)

  • 김유니;박홍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20
    • /
    • 2006
  • A flat plate-column connection is susceptible to brittle punching shear failure, which may result in the necessity of shear reinforcement. In previous, experimental tests were performed to study the capacity of slab-column connections strengthened with various shear reinforcement, and the capacity of the specimens with lattice reinforcement are superior to the others. In present study, to study for effects of details of lattice reinforcement, experimental studies was performed. Main parameters are the amount of lattice shear reinforcement, arrangement of lattice and the effect of flexural re-bar. And capacity of the specimen with small amount of lattice reinforcement was higher than the capacity of other shear reinforcement.

  • PDF

CFS로 보강된 모형 RC 슬래브 교량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Half Scale RC Slab Bridges Strengthened with Carbon Fiber Sheet)

  • 심종성;김규선;김경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537-542
    • /
    • 1999
  • The design methodologies for carbon fiber sheet(CFS) strengthening of RC structures are not well established yet because the structural behavior of strengthened RC structures is more complex than that of unstrengthened ones. Even though the research for the methods using CFS has beed studied, the strengthening effects and structural behaviors of strengthened structures are not systematiz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experimental studies on three kinds of half scale RC slab bridges an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RC slab bridg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ypical flexural failure occurs in the non-strengthening slab like general RC slab bridges, and also the flexural failure occurs in the all area strengthened slab with sudden rip-off failure of strengthening material by punching shear. For the case of strip type strengthened slab, flexural failure occurs, with rip-off of second strip at the base of loading point. Strengthening effect on the slab using CFS is that the strength is increased upto 7~15 percent and the crack pattern is changed.

  • PDF

중공 전이 슬래브의 뚫림 전단 강도 (Punching Shear Strength of the Void Transfer Plate)

  • 한상환;박진아;김준삼;임주혁;박영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67-374
    • /
    • 2010
  • 전이슬래브 시스템은 상부 전단벽 구조로부터 하부 기둥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상당한 두께의 슬래브를 필요로 하므로 비경제적이며, 이 단점은 슬래브내에 중공부를 두어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플랫플레이트 구조로써 기둥-슬래브 접합부 부근의 뚫림전단파괴을 일으키는 취성파괴의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중공부를 갖는 전이슬래브 시스템의 뚫림전단 성능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행 기준에서는 중공부를 갖는 슬래브의 뚫림전단성능에 대한 명확한 강도산정 규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중공 시스템의 뚫림전단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현행기준 및 기존연구를 토대로 실험체의 전단강도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중공시스템의 뚫림전단강도는 기둥면으로부터 위험단면 d/2의 위치와 중공부 중심에서의 위험단면으로 계산된 값 중 작은 값으로 결정되었다. 여기서 강도 계산을 위하여 위험단면의 유효단면적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말뚝지지성토지반 내 지반아칭이 발달할 수 있는 한계성토고의 평가 (Estimation of Critical Height of Embankment to Mobilize Soil Arching in Pile-supported Embankment)

  • 홍원표;홍성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1호
    • /
    • pp.89-98
    • /
    • 2010
  • 성토지지말뚝시스템을 적용하여 연약지반 상에 성토를 설계 시공하고자 할 경우 말뚝지지 성토지반 내에 지반아칭이 발달할 수 있도록 한계성토고를 설계하는 방법이 마련되었다. 먼저 말뚝캡보의 간격이 비교적 넓은 경우를 대상으로 일련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성토단계에 따른 성토하중의 하중전이거동을 조사하고 성토지반 속에 지반아칭이 충분히 발달되기 시작할 때의 성토고를 실험적으로 관찰하였다. 모형실험결과, 하중전이거동은 말뚝지지성토지반 내에 지반아칭이 발달될 수 있느냐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는 성토고에 영향을 많이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저성토단계에서는 성토지반 속에 지반아칭이 아직 발달되지 못한 관계로 펀칭전단파괴모드에 의하여 성토하중이 말뚝캡보에 하중전이가 진행되었고 고성토단계에서는 지반아칭이 발달하여 지반아칭파괴모드에 의하여 하중전이가 진행되었다. 이들 저성토단계와 고성토단계에서 측정된 연직하중의 실험치는 각각의 파괴모드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에 근거하여 이전 연구에서 유도 제시된 이론식들로 산정된 예측치와 좋은 일치를 보였다. 또한 모형실험결과 저성토단계의 펀칭전단파괴모드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에서 고성토단계의 지반아칭파괴모드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으로 변화하는 시점의 한계성토고가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성토지반 속에 지반아칭을 충분히 발달시키려면 성토를 이 한계성토고 보다 높게 설계 시공하여야 함을 알았다. 또한 펀칭전단과 지반아칭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에 의거 유도 제안되었던 전이하중 산정 이론식을 같게 놓음으로서 한계성토고를 산정할 수 있는 이론식을 유도할 수 있었고 이 이론식으로 한계성토고의 실험치를 잘 예측할 수 있었다.

포스트 텐션 플랫 플레이트 골조의 해석모델 (Analytical Model for Post Tension Flat Plate Frames)

  • 한상환;유종혁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23-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PT 플랫 플레이트 골조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선형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해석모델을 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해석 모델은PT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기둥 접합부에서 기둥을 관통하는 철근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접합부 거동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접합부 해석 모델은PT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기둥 접합부에서 뚫림 전단 파괴가 발생하는 때를 정확하게 예측하도록 하였다. 개발한 해석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PT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기둥 접합부 실험결과와 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2층 PT 플랫 플레이트 골조의 진동대 실험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둥을 관통하는 철근이 있는 접합부와 없는 접합부를 갖는 2층 PT 플랫 플레이트 골조를 세 가지의 크기로 조정한El Centro 지진에 대하여 비선형 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지진의 크기가 커지면 하부 철근이 없는 골조의 요구 변위와 잔류 변형이 하부 철근이 있는 골조에 비하여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교 RC 바닥판의 피로파괴에 관한 연구 (Fatigue failure of decks in highway bridge)

  • 김경찬;사림신장;정상정일;권혁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9-175
    • /
    • 1993
  • Possibility of fatigue failure in punching shear of reinforced concrete decks of highway bridges is analytically investigated by applying Matsui et al.'s experimental finding to models of 2-meter span decks designed in compliance with previous and current codes. Decks made of concrete of compressive strength of 240㎏/㎠ showed longer fatigue life than decks made of 210㎏/㎠ concrete at the same Md/U rations ; higher Md/U ratio resulted in linger fatigue life but its effect is insignificant in decks having effective depths of 14 and 15cm. Decks designed to higher load factors as specified by current codes showed longer fatigue life than decks designed to lower load factors specified by previous codes ; yet fatigue failure appeared to occur in both decks within their normal life span, thus indicating need for redefining the minimum deck thickness.

  • PDF

I형강 합성 중공바닥판의 휨거동 (Flexural Behavior of I-beam Composite Hollow Slabs)

  • 김대호;심창수;박창규;정영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1-426
    • /
    • 2003
  • For the replacement of deteriorated concrete decks or wider-span slab, composite slab could be very attactive due to higher stiffness and strength.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 modified I-beam composite hollow slab was sugges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ic flexural behavior of the proposed composite slab and to suggest its flexural design method, experiments were performed. Judging from the tests, a composite slab with I-beam having a semi-circle hole showed better structural performance. The effect of web details on the flexural stiffness was negligible. Flexural stiffness, ultimate strength, and ductility of the composite slab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RC slab due to composite action. While the failure of the RC slab was punching shear failure, the composite hollow slab showed flexural cracking and failure by yielding of the I-beams and crushing of concrete. Therefore, the current one-way design concept is appropriate for the design of I-beam composite hollow slab.

  • PDF

루프 이음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휨실험 (Bending Tests of Precast Deck with Loop Joints)

  • 류형근;장승필;김영진;주봉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18-523
    • /
    • 2003
  • In domestic composite bridges, it has been reported that most failure is occurred in deck and the type of failure was mainly punching shear failure. Therefore to increase a life of bridges and reduce maintenance costs, an improvement of a durability of slabs is needed. In these respects, precast deck can be very useful. In a composite bridge with precast decks, it is required to notice behavior of transverse joints between decks. In this paper, bending tests of precast deck with loop joints were conducted. From the results, the validity of loop joints for continuity of deck was observed and especially an interval of loop joint, diameter of loop and reinforcement were checked.

  • PDF

플랫 플레이트 구조에서 전단보강체의 정착성능에 따른 전단보강효과 (The Effect of Anchorage with Shear Reinforcement in Flat Plate System)

  • 최창식;배백일;최윤철;최현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67-675
    • /
    • 2012
  • 플랫 플레이트는 실의 배치가 지속적으로 바뀌는 오피스와 같이 유연한 공간의 배치를 위해 그 사용처가 증가하고 있다. 플랫 플레이트 구조를 사용함에 있어서 실무에서의 주요 문제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에서 발생는 뚫림 전단 파괴에 대한 적절한 보강을 해주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내부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 가지의 특수한 전단 보강근이 구조물 전체의 파괴를 유발시킬 수 있는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취성적인 뚫림 전단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총 네 가지의 프랫 플레이트 실험체가 수직 방향의 단조 가력에 의해 수행되었다. 전단 보강근은 뚫림 전단강도를 높여주는 역할과 취성파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해 주었다. 수행된 실험에서 전단보강근이 충분한 정착길이를 확보하지 못하여 전단보강근의 항복 이전에 파괴가 일어났다. 실험 결과를 통한 FE 모델의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검증된 FE 모델을 통해 전단보강근의 부착 성능에 대한 변수 분석이 수행되었다. 주요 변수는 슬래브의 두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였으며 전단보강근의 성능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