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obacteria $\alpha$-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5초

Monitoring of Bacterial Community in a Coniferous Forest Soil After a Wildfire

  • Kim Ok-Sun;Yoo Jae-Jun;Lee Dong-Hun;Ahn Tae-Seok;Song Hong-Gy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278-284
    • /
    • 2004
  • Changes in the soil bacterial community of a coniferous forest were analyzed to assess microbial responses to wildfir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depths in lightly and severely burned areas, as well as a nearby unburned control area. Direct bacterial counts ranged from $3.3­22.6\times10^8\;cells/(g{\cdot}soil).$ In surface soil, direct bacterial counts of unburned soil exhibited a great degree of fluctuation. Those in lightly burned soil changed less, but no significant variation was observed in the severely burned soil. The fluctuations of direct bacterial count were less in the middle and deep soil lay­ers. The structure of the bacterial community was analyzed via the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method. The number of bacteria detected with the eubacteria-targeted probe out of the direct bacterial count varied from $30.3\;to\;84.7\%,$ and these ratios were generally higher in the burned soils than in the unburned control soils. In the surface unburned soil, the ratios of $\alpha,\;\beta\;and\;gamma-proteobacteria,$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 and other eubacteria groups to total eubacteria were 9.9, 10.6, 15.5, 9.0, and $55.0\%,$ respectively, and these ratios were relatively stable. The ratios of $\alpha,\;\beta\;and\;gamma-proteobacteria,$ and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 to total eubacteria increased immediately after the wildfire, and the other eubacterial proportions decreased in the surface and middle layer soils. By way of contrast, the composition of the 5 groups of eubacteria in the subsurface soil exhibited no significant fluctuations dur­ing the entire period. The total bacterial population an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disturbed by wildfire soon began to recover, and original levels seemed to be restored 3 months after the wildfire.

중금속 내성 및 식물 생장 향상 근권세균 Methylobacterium sp. SY-NiR1의 분리 및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Heavy Metal-Resistant and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Methylobacterium sp. SY-NiR1)

  • 구소연;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8-65
    • /
    • 2007
  •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rhizoremediation 기법에서 식물이 중금속을 흡수하고 이동시키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토양 미생물 특히, 근권세균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유공장 주변의 유류 및 중금속으로 장기간 오염된 토양에서 서식하는 4가지 식물의 근권토양으로부터 Methylobacterium sp. SY-NiR1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Methylobacterium sp. SY-NiR1는 분홍색 콜로니 형성, 막대모양 및 $\alpha-proteobacteria$에 속하는 특성으로 보아 pink-pigmented facultative methylotroph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 균주는 식물성호르몬인 indole acetic acid(IAA) 생산능을 가지고 있으며, 카드뮴, 크롬, 구리, 납, 니켈 그리고 아연 등과 같은 다양한 중금속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EC_{50}$을 기준으로 한 SY-NiR1의 중금속에 대한 내성은 Zn > Ni > Cu > Pb > Cd > Cr 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한 Methylobacterium sp. SY-NiR1 균주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식물의 발아, 생장 및 발달을 도와 식물의 중금속 흡수를 증가시켜 rhizorememdiation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tection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Lawsonia intracellularis from swine in Korea

  • Chu, Jia-Qi;Hu, Xu-Min;Kim, Myung-Cheol;Park, Chang-Sik;Jun, Moo-Hyu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23-231
    • /
    • 2010
  • A total of 191 samples collected from the commercial swine farms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were investigated by PCR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Lawsonia (L.) intracellularis infection. In the group of the pigs with proliferative enteritis, 14 (93.3%) of 15 intestinal samples and 12 (80.0%) of 15 feces were positive in PCR. In contrast, a relatively low positive rate (18.0%, 29 of 161 samples) was determined in the group of normal healthy pigs. The group of pigs over 120 days showed the highest positive rates (26.8%, 15 of 56 samples). In the comparison of the sequences of 210bp for species specific fragments and 301bp for outer membrane protein, the isolates (L1. L2) showed almost 100% identity with the reference L. intracellularis (L08049, USA). For the sequences of partial 16s rDNA, the homologies among the 5 isolates (L1-L5) were 97.4% to 99.3%, and those of 5 sequences (L1-L5) versus 5 overseas reference strains of L. intracellularis ranged from 98.6% to 99.8%. In the comparison of the nucleotide sequences among 5 isolates and other species in Desulfovibrionales showed 82.4 to 99.5% identities. The 5 isolates shared relatively low identities (76.9% to 84.4%) with the species of alpha-proteobacteria. In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16s rDNA sequences, all of the 5 isolates (L1-L5) were located in the same branch with the strains of L. intracellularis that were previously isolated from the pigs in USA and China. Seven strains of Desulfovibrio sp. were clustered in the neighboring branches, whereas alpha and gamma Proteobacteria showed distant relationship with L. intracellularis strain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L. intracellularis infection is endemic in the swine farms in the regions, and that the domestic isolates maintained very limited genetic variation.

해양 규조류 Cyclotella meneghiniana의 성장단계에 따른 비타민(B1, B7, B12) 및 특이적 미생물의 변동 (Changes in Vitamins (BB1, B7, B12) and Specific Bacteria on the Growth Stages of Marine Diatom Cyclotella meneghiniana)

  • 최원지;기장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203-211
    • /
    • 2019
  • Diatom growth is affected by associated bacteria that probably provide useful substances like vitamins.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sed the variation of vitamins $B_1$, $B_7$ and $B_{12}$ on the growth stages of the marine diatom Cyclotella meneghiniana and assessed putative vitamin-producing bacteria (e.g., ${\alpha}$- and ${\gamma}$-proteobacteria). HPLC analysis showed that total amounts of vitamins $B_1$ and $B_{12}$ decreased with cell growth, whereas vitamin $B_7$ increased gradually on the growth stages. $B_1$ and $B_{12}$ measured 0.5% and 0.18% at the stationary phase, following 0.25% and 0.72% at the lag phase. They considerably increased to 0.75% and 0.77% at the death stage. 16S pyrosequencing showed relatively high ratios of ${\alpha}$- and ${\gamma}$-proteobacteria in all the growth stages of the C. meneghiniana. In addition, we detected previously-reported vitamin-producing bacteria, such as Marinobacter, in high numbers. The species was dorminant in the lag (relative abundance 72%) and exponetial (72%) stages, whareas it decreased in the stationary (49%) and death (48%) stag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tamins $B_1$ or $B_{12}$ may be necesaary for diatom growth and that associated bacteria, including Marinobacter, may produce these substances for the cell growth of C. meneghiniana.

남매지에서 Eubacteria 군집구조의 계절적 변화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Seasonal Variation of Eu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Their Structure Affecting Environmental Parameters in Reservoir)

  • 이희순;박정원;김미경;이영옥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37
    • /
    • 2002
  • 경북 경산시 에 위치한 남매지 에서 세균군집 의 구조를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FISH)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아울러 세균군집크기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측정하여 그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담수계에 우점하는 것으로 알려진 proteobacteria($\alpha$.$\beta$.$\gamma$-subclasses)와 글Cytophaga-Flavobacterium (CF) group에 속하는 진정세균군의 연중변화를 정점별로 측정하였다. 총세균수에 대한 각 세균군집 비율은 정점간의 큰 차이 없이 $\alpha$-subclass가 4.0~29.2%,$\beta$-subclass가 1.7~25.8%, $\gamma$-subclass가 1.8~12.8%를, 그리고 CF group은 4.9~36.3%의 군집 비율을 나타냈다. 온도,SS, pH, DOC,질산염, 조류 현존량 등 환경요인과 세균군집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세균수는 수온, DOC,55, eubacteria는 DOC, 녹조류 현존량, $\gamma$-subclass 세균군은 DOC, CF group세 균은 녹조류 현존량과 양의 상관성을 나타낸 반면 $\beta$-subclass는 남세균 . 총 조류 현존량과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낙동강에서의 유기성 오염 유무에 따른 질화세균의 변화 (Changes of Nitrifying Bacteria Depending o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Organic Pollutant in Nak-Dong River)

  • 진선영;이영옥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7-145
    • /
    • 2013
  • 유기성 오염원(생활하수 처리시설 방류수) 유무에 따른 질화 세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낙동강의 2 조사수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질소(T-N, $NH_4$-N, $NO_2$-N, $NO_3$-N) 농도를 측정하였고 조사 수역에 있는 질화세균 종류를 확인한 후,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법으로 질화세균 수를 정량 평가하였다. 즉 암모니아 산화세균의 종류는 amoA 유전자, 그리고 아질산 산화 세균인 Nitrobacter sp.는 SSU 16S rDNA 특정 기호서열을 목표로 한 PCR-DGGE를 수행한 후 염기서열 분석으로 그들이 각각 Nitrosomonas sp., Nitrobacter sp.임이 확인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gene probe, NSO190와 NIT3을 사용해 FISH법을 수행하여 각 수역의 질화세균수를 비교하였다. 아울러 전반적인 세균학적 수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수계에 많은 ${\alpha}{\cdot}{\beta}{\cdot}{\gamma}$-Proteobacteria도 FISH법으로 검출하였다. ${\alpha}{\cdot}{\beta}{\cdot}{\gamma}$-Proteobacteria 분포도와 모든 유형의 질소 측정 결과에 따르면 정점 1 보다 정점 2의 유기물 오염도가 높다고 할 수 있었다. 이에 상응해 NSO160과 NIT3로 검출한 평균 질화세균수도 정점 1 (암모니아산화세균, $7.8{\times}10^5$; 아질산산화세균, $0.8{\times}10^6$ cells/ml)보다 정점 2 (암모니아산화세균, $9.3{\times}10^5$; 아질산산화세균, $1.6{\times}10^6$ cells/ml)에 더 많았고 그들이 총세균수에서 차지하는 평균 비율(%) 역시 정점 1 (NSO190, 18%; NIT3, 23%)에 비해 정점 2 (NSO190, 27%; NIT3, 34%)에서 높았다. 따라서 유기오염도가 낮은 상수원수 취수장 인근 수역인 정점 1 보다 생활하수처리시설 방류수로 인해 유기성 오염원이 상존하는 정점 2에서의 질화작용이 더 활발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활엽수림과 침엽수림 부식토 내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Populations in a Quercus and Pine Humus Forest Soil)

  • 한송이;조민혜;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7-243
    • /
    • 2008
  • 충남 계룡산 북사면 지역의 대표군락인 상수리림과 소나무림 부식토의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비교검토한 결과, 상수리림 부식토의 pH는 $5.3\pm0.4$, 소나무림의 pH는 $4.1\pm0.9$이었으며, 소나무림 부식토 내 탄질율은 $21.76\pm8%$로 상수리림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수리림과 소나무림 부식토 내 총 유기산은 각각 69.57 mM/g dry soil, 153.72 mM/g dry soil로 나타났으며 소나무림 부식토 내 glutamine, pyruvate, succinate, lactic acid 및 acetic acid의 함량이 상수리림 부식토에 비해 약 $1.5\sim4.5$배 높게 나타났다. 상수리림 부식토 내 전세균수는 소나무림 보다 약 16배, 생균수는 약 2배 높게 검출되었다. 각 부식토로부터 직접 DNA를 추출하여 16S rRNA-ARDRA법에 의한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상수리림 부식토로부터 분리된 대표 clone은 ${\alpha}-$, ${\beta}-$, ${\gamma}-$, ${\delta}$-Proteobacteria, Firmicutes, Acidobacteria 및 Actinobacteria의 7개 계통군이 확인되었고, 소나무림 부식토외 대표 clone은 ${\alpha}-$, ${\beta}-$,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Acidobacteria, Planctomycetes, Verrucomicrobia 그리고 Bacteroidetes의 8개의 계통군이 확인되었다. Shannon-Wiener법에 의해 다양성 지수를 산출한 결과, 소나무림 부식토 내 세균군집의 다양도는 3.63으로 상수리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CA 분석을 실시한 결과, Clusters I에 속하는 모든 clone은 상수리림 부식토에서 유래된 clone이었으며, Clusters II에 속하는 clone의 67%, Clusters III에 속하는 clone의 63%가 소나무림 부식층 토양으로부터 유래된 clone으로 확인되어 상수리림과 소나무림 부식토내 세균 군집구조는 매우 특징적인 계통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Lactobacillus mucosae and Bifidobacterium longum Synergistically Alleviate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Anxiety/Depression in Mice by Suppressing Gut Dysbiosis

  • Han, Sang-Kap;Kim,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369-1374
    • /
    • 2019
  • We isolated Lactobacillus mucosae NK41 and Bifidobacterium longum NK46 from human feces, which induced BDNF expression in corticosterone-stimulated SH-SY5Y cells, and examined their anti-depressive effects in mice. NK41, NK46, and their (1:1) mixture significantly mitigated immobilization stress (IS)-induced anxiety-like/depressive behaviors, hippocampal $NF-{\kappa}B$ activation, BDNF expression, $Iba1^+$ cell population, and blood corticosterone, $TNF-{\alpha}$, IL-6, and lipopolysaccharide levels. Furthermore, they inhibited colitis marker $NF-{\kappa}B$ activation, and $TNF-{\alpha}$ expression in mice with IS-induced anxiety/depression. They additionally suppressed gut Proteobacteria and Bacteroidetes populations and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produ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K41 and NK46 may alleviate anxiety/depression and colitis by suppressing gut dysbiosis.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오분자기(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내 미생물 군집 조사 및 인체유해 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모니터링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in 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 Through 16S rRNA Sequencing and Antibacterial Monitoring of Harmful Strains)

  • 김민선;이승종;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77-1488
    • /
    • 2018
  • 본 연구는 제주 연안에서 채집한 오분자기(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를 구성하는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근육, 장, 생식소 각 부위별로 조사하였다. 배지로 1차 순수 분리한 결과 근육은 MA, 장 1% BHIA, 생식소 1% TSA에서 각각 최대 군락 계수가 나타났다. 16S rRNA sequence로 표준 균주와 비교 유사도 분석 결과 총 190개의 순수 colony가 분리되었다. NBLAST program 분석 결과 크게 5문 25과 39속 71종으로 나타났다. 표준 균주와 상동성은 91-100%를 나타냈다. 오분자기 내 미생물 군집은 크게 Pr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48%, Actinobacteria 32.5%, Firmicutes 16.9%, Bacteroide 1.3%, Deinococcus-thermus 1.3%로 나타났다. 근육, 장, 생식소 모든 부위에서 Moraxellaceae과 Psychrobacter cibarius가 우점하였다. 근육, 장, 생식소 모든 부위에서 Alteromonadaceae, Enterobacteriaceae, Pasturellaceae, Moraxellaceae, Rhodobacteraceae, Geminicoccaceae, Dietziaceae, Intrasporangiaceae, Microbacteriaceae, Micrococcaceae, Micromonosporaceae, Streptomycetaceae, Aerococcaceae, Bacillaceae, Paenibacillaceae, Planococcaceae, Staphylcoccaceae가 공통적으로 분리되었으며, 장에서 Flavobacteriaceae, Corynebacteriaceae, Yesiniaceae, Vibrionaceae, Hahellaceae, Pseudomonadaceae가 추가 분리되었다. 분리 균주로부터 인체 유해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모니터링 결과 Sterptomyces albus (96%)가 4균주 모두 항균활성을 보였고 Agrococcus baldri (99%), Psychrobacter nivimaris (99%)가 E. coli, E. aerogen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그 외 상동성이 낮은 일부 균주가 분리되어 신균주 실험을 비롯한 항균활성물질 정제 등 추가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은 오분자기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과 유전학적 자원을 확보하는데 의의를 두며, 응용 미생물의 개발 가능성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아미노산 액비를 처리한 들잔디 토양 미생물 군집구조 및 다양성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of the Zoysia japonica Soil Treated with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Amino Acids)

  • 김동일;김동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3-110
    • /
    • 2006
  • 들잔디(zoysia japonica)에 제초제를 살포 한 다음, 아미노산을 포함한 액비(LFcAA)를 처리한 들잔디 토양의 미생물 군집구조 및 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16S rDNA서열에 기초한 T-RFLP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분식과 클론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한효소 HaeIII을 이용한 T-RFLP 분석결과 아미노산 액비를 처리한 실험구 KD3과 KD4에서, 32, 38개의 유효한 피크를 가진 T-RFs가 나타났다. 23개를 나타낸 아미노산 무처리구인 KD2가 KD3,4에 비해 미생물군집구조가 단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네 개의 실험구 KDl (대조구), KD2 (무처리구), KD3 (LFcAA 1X)., KD4 (LFcAA 2X)에서 각각 110개의 클론의 16S rDNA부분 염기서열 분석결과 대부분이 $91{\sim}99%$ 유사도 수준에서 GeneBank에 등록된 염기서열 중 대부분 uncultured bacterium으로 BLAST결과 조사되었다. 이외의 대부분의 클론들은 Prote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Sphingobacteria, Planctomycetes 그룹들의 클론들이 조사되었고, 특히 LEcAA 2X 처리구인 KD4에서는 KD2에서와는 다르게 Alphaproteobacteria의 Rhizobiales, Shigomonadales,그리고 Caulobacterales목에 속하는 미생물들의 클론이 조사되었으며, Gammaproteobactetia의 Pseudomonas 속의 세균들이 주로 나타났으며, Betaproteobaderia 의 Nitrosomonadales 목의 Nitrosospira 속들이 주로 조사되었다. 이 외에도 Acidobacteria 그룹, Actinobacteria 그룰, Planctomycetacia, Sphingobacteria 그룹들이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초제를 살포한 미생물 군집구조가 LFcAA 첨가로 들잔디의 미생물 군집 구조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