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in synthesis

검색결과 1,827건 처리시간 0.027초

수산생물의 생산과 관리에 관한 기초연구 : ELISPOT 기법을 이용한 넙치의 항체생성 세포분석 (Study on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Aquatic Animal : Application of ELISPOT-Assay for the Detection of Antibody Secreting Cells in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하재이;박준효;김명석;정준기;정현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0-426
    • /
    • 1999
  • 한국 양식산업에서 중요한 어종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포르말린으로 처리한 E. tarda를 항원으로 하였을 때의 면역반응 분석을 위하여 ELISPOT 기법을 적정화시킨 후 넙치의 각 장기에 있는 총 항체생성세포와 특이 항체생성세포를 계수하는데 응용하고자 하였다. 전신과 비장의 항체생성세포를 2.5시간 이상 96 well plate에 배양하면 충분히 분석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총 또는 특이 항체생성세포 분석을 위하여 과량의 토끼 항 넙치 면역글로불린 또는 E. tarda 항원을 plate에 coating하는 것은 오히려 ELISPOT법의 감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LISPOT법의 특이성은 단백질 합성 억제제인 cycloheximide를 처리한 임파세포에서 총 항체생성세포가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서 입증할 수 있었다. 특이 항체생성세포 수의 최대치는 면역 3주째에 나타났으며 이후 계속 빠르게 감소하여 7주째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반응은 신장과 비장에서 유사하게 나타나 임파장기에 따른 차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면역 후 2주와 3주 사이에 혈청내 특이 항체량 또한 빠르게 증가하여 ELISPOT법으로 분석된 특이 항체생성세포 수의 변화와 일치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증가된 혈청내 특이 항체량이 면역 5주부터 실험 종료 시점까지 계속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은 급격한 감소를 보이는 특이 항체생성세포의 동력학적 변화와는 명확히 구별되는 점이었다.

  • PDF

구리-오염 토양에서 토마토 식물의 생장과 스트레스-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구리-내성 Pseudomonas의 영향 (Effect of Cu-resistant Pseudomonas on growth and expression of stress-related genes of tomato plant under Cu stress)

  • 김민주;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57-264
    • /
    • 2017
  • Pseudomonas veronii MS1과 P. migulae MS2는 여러 가지의 구리-내성 및 식물 생장 촉진 방법을 갖고 있으며 또한 스트레스 에틸렌의 전구체인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의 ACC deaminase에 의한 가수분해를 통해 식물에서 비생물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구리 농도 700 mg/kg 토양에서의 4주간 소규모 토마토 재배 실험에서 MS1과 MS2 접종은 비접종 대조군에 비해 토마토 식물의 지상부와 뿌리 길이 및 습윤중량과 건조중량을 모두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접종 토마토 식물은 비생물적 스트레스로부터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proline및 산화 스트레스 지표인 malondialdehyde도 비접종 대조군보다 적게 함유하였다. 에틸렌 생합성에 관여하는 ACC synthase 유전자, ACS4와 ACS6 그리고 ACC oxidase 유전자, ACO1와 ACO4는 구리 스트레스를 받는 토마토에서 강하게 발현된 반면 MS1과 MS2 접종 토마토에서는 유의성 있게 감소했다. 또한 금속 결합 단백질인 metallothionein 암호화 유전자인 MT2도 위의 유전자들과 유사한 발현 양상을 보였다. 이 모든 결과들은 이 근권세균들이 구리 스트레스 하의 토마토 식물에 구리 내성을 부여하여 낮은 수준의 구리 스트레스와 생장 촉진을 허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마우스 흑색종 B16F10세포에서 loganin의 티로시나아제 발현 억제를 통한 멜라닌 생성 억제에 대한 기전연구 (Loganin Inhibits α-MSH and IBMX-induced Melanogenesis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in B16F10 Melanoma Cells)

  • 정희진;방은진;김병무;정성호;이길한;정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00-1207
    • /
    • 2019
  • Loganin은 Corni fructus의 주요 iridoid glycoside이며 항염증, 항당뇨 그리고 뇌신경보호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lpha}-MSH$와 IBMX처리된 B16F10세포에서 loganin의 melanogenesis억제효과의 신호전달 경로를 조사하였다. Loganin의 미백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B16F10세포에서 $1{\mu}m$에서 $20{\mu}m$사이의 농도를 처리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최대 $20{\mu}m$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loganin은 ${\alpha}-MSH$와 IBMX처리된 B16F10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loganin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Western blot결과에 따르면 loganin은 ${\alpha}-MSH$와 IBMX 처리된 B16F10세포에서 증가된 CREB인산화(Ser133)와 MITF 발현 및 tyrosinase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켰고 ERK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melanin 생성을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loganin은 ${\alpha}-MSH$와 IBMX에 의해 유도된 과도한 멜라닌 합성을 CREB인산화와 MITF 및 tyrosinase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ERK의 활성화를 통해 멜라닌 합성을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oganin은 과색소 침착과 관련된 피부질환의 보호제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사람의 섬유아세포 엘라스타제 활성에 대한 탄닌산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annic acid on Human Skin Fibroblast Elastase Activity)

  • 이주은;김소영;김수연;오미희;윤혜영;백광진;권년수;김동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7-223
    • /
    • 2008
  • 피부에서 엘라스틴(elastin)은 중요한 탄력섬유의 구성성분 중의 하나이다. 피부주름(skin wrinkle) 형성은 콜라겐(collagen)의 합성과 분해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 많은 연구에서 엘라스틴의 재형성과 분해 또한 주름형성 기전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엘라스타제(elastase)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일종의 메탈로프로테이나제(metalloproteinase)이며, 자외선 B (ultraviolet B, UVB) 조사 후에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증가된 엘라스타제의 활성은 피부의 탄력성 감소와 주름 형성의 주요한 원인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각종 견과류나 과일에 함유된 폴리페놀(polyphenol)성분인 탄닌산(tannic acid)을 사람의 섬유아세포(CCD-25Sk fibroblasts)에 처리하여 엘라스타제 활성과 트로포엘라스틴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닌산은 농도의존적으로 사람의 섬유아세포 엘라스타제 활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켰다. 그러나 트로포엘라스틴 합성이나 발현증가에는 유의성 있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탄닌산은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시켜 엘라스틴의 3차원적 구조를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탄닌산은 주름생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개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대두 부산물인 순물과 침지수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By-Product from Soybean on Mouse Fed a High Fat Diet)

  • 박영미;임재환;서을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8-177
    • /
    • 2015
  • 본 연구는 대두 부산물인 순물과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지방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침지수가 포함된 일반 사료를 섭이한 실험군의 체중 및 간과 부고환 지방 조직 내 지방 축적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부 내 내장 지방과 피하지방도 크게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침지수는 체내 축적된 지방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수 식이군의 혈중 AST와 ALT의 활성은 대조군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과 중성 지질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로 인한 혈중 효소 활성과 지질농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침지수는 metabolic sensor 단백질인 AMPK와 ACC의 인산화를 촉진시켜 체내 지방산 산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침지수는 복부 내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두 부산물 중 침지수는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혈중 지질 함량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체내 조직의 지방 축적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Diflubenzuron이 누에의 실샘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lubenzuron on Silkgland Development of Silkworm, Bombyx mori (Lepidoptera: Bombycidae))

  • 김영섭;손해룡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7-82
    • /
    • 2001
  • DFB는 IGR계통의 약제로서 나비목 곤충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알려진 효과는, DFB 본래의 chitin 합성 억제 특성이외에(Post and Vincent, 1973), DFB의 물질분비능력억제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Nakagawa et al., 1996). 또 다른 한편으로 DBF가 juvenile hormone(JH)의 길항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DFB가 누에의 발육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DFB를 2.5$\times$$10^{-1}$ $\mu\textrm{g}$/$\mu$l, 2.5$\times$$10^{-2}$ $\mu\textrm{g}$/$\mu$l, 2.5$\times$$10^{-3}$$\mu\textrm{g}$/$\mu$l의 농도로 누에에 처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DFB가 누에의 실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SEM을 이용한 미세구조 분석 및 외부형태 변화 그리고 DFB처리에 의한 실샘의 건물중량, 수분량 등을 알아보았다. 실샘의 발육정도는 DFB의 처리농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고, DFB의 처리시기와 처리 회수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처리기간이 길수록 실샘의 건물중량은 현격히 줄었으며, 반대로 실샘의 수분함량 은 증가하였다. 특히 5령 1일, 3일 처리구에서 실샘의 수분함량이 80% 이상으로 증가되어 수분생리대사에 영향을 미쳤고 그 결과 실샘 물질의 물리성이 변하여 결국 정상적인 토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불결견잠으로 된 원인이었다. DFB를 처리한 누에 실샘의 외부 특징은 중부 실샘에 백색경화현상이 나타났으며 이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실샘의 세포막이 정상과는 달리 조밀하여 실샘 세포 내에서 합성된 견단백질이 분비가 되지 않고 실샘 내에 축적되었다.

  • PDF

올벚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효능 및 유효성분 규명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of Prunus pendula for. ascendens (Makino) Ohwi Leaves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Constituents)

  • 홍혜진;고하나;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7-129
    • /
    • 2019
  • 올벚나무 잎 추출물을 제조하고 LPS로 자극시킨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항염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 및 분획물(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및 water)에 대하여 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이 세포독성 없이 76.3%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EtOAc 분획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항염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기전 연구를 진행한 결과, EtOAc 분획물이 $PGE_2$, $IL-1{\beta}$ 및 IL-6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EtOAc분획물에서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진행하였으며 5개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ursolic acid (1), prunasin (2), methyl p-coumarate (3), kaempferol (4), astragalin (5). 분리된 compound 1 - 5는 모두 올벚나무 잎에서 처음 분리된 물질이다. 분리된 화합물을 대상으로 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compound 4와 5가 NO 생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플라보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올벚나무 잎은 항염 효과를 갖는 천연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물여뀌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 (Whitening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Polygonum amphibium L.)

  • 황병수;이승영;강창희;한웅;오영택;유상미;김민진;김철환;엄정혜;정상철;이욱재;안영희;정용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5-20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lanogenesis inhibiting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Polygonum amphibium L. Firstly, the n-hexane (Hx), chloroform ($CHCl_3$), ethyl acetate (EA), n-butanol (BuOH), and water (Water) fractions were isolated from the P. amphibium L. ethanol extract. The efficacy of melanogenesis was found to significantly decrease via the EA and BuOH fraction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in B16F10 cells. EA particularly showed the lowest melanin content in B16F10 cells when compared to all the other extracts.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was also observed in the EA fraction at concentrations below $50{\mu}g/ml$, which did not exhibit cytotoxicity in B16F10 cells. Notably, the expression of three key proteins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and TRP-2), which are involved in melanogenesi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via the EA fraction. EA also inhibited body pigmentation in vivo in a zebrafish model. Overall, we demonstrated melanogenesis suppression using the EA fraction from P. amphibium L., which could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an antimelanogenesis agent.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diagnostic reagent for prostate cancer using copper-64 radioisotope

  • Ahn, Heesu;Kim, Mi Hyun;Han, Sang Jin;Woo, Sang Keun;Kim, Jung Young;Lee, Kyu Chul;Lim, Il Han;Lee, Yong Jin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5-72
    • /
    • 2018
  • 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is a cell surface membrane protein, which is overexpressed in most prostate cancer. Recently, PET imaging with $[^{68}Ga]$PSMA-HBED-CC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rostate cancer and the studies on the diagnostic potential of $^{64}Cu$-labeled PSMA ligands reported actively. In this study, we monitored with biological evaluation in vivo and PET imaging of $^{64}Cu$-labeled PSMA ligand ($[^{64}Cu]$PSMA-617). The radiolabelling efficiency and stability of $[^{64}Cu]$PSMA-617 were confirmed by radio-thin layer chromatography. The radiolabeling efficiency of $[^{64}Cu]$PSMA-617 showed over 95%, and stabilities of intact remained over 98% in both human and mouse serum for 48 h. In normal male mice, in vivo uptake of $[^{64}Cu]$PSMA-617 in several organs was measured at 2, 4, 6, 24, 48 h after injection. Rapid blood clearance was observed for $[^{64}Cu]$PSMA-617. The high uptake was observed in the lung, liver, intestines and kidneys at 2 h postinjection, but was low in the other organs (1-2 %ID/g) at 4 h. The dynamic PET/CT images of 22RV1 tumor-bearing nude mice were acquired during 60 min and additionally acquired 24 h and 48 h after injection. In dynamic PET images, $[^{64}Cu]$PSMA-617 uptake ratio in tumors versus muscle was increased as time elaplsed until 60 minutes and remained in tumors at 48 h. In these results, the PET/CT imaging using $[^{64}Cu]$PSMA-617 in prostate cancer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patients.

A mixture of black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decreases fat deposition in HepG2 cells, modifying the gut microbiome

  • Wu, Xuangao;Jin, Bo Ram;Yang, Hye Jeong;Kim, Min Jung;Park, Sunm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3호
    • /
    • pp.229-237
    • /
    • 2019
  • More effective treatments are needed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We hypothesized that water extracts of blackberry fruits (BF) and leaves (BL) and their combinations (BFL) reduce fat deposition in HepG2 cells and modulate shor-tchain fatty acids (SCFA) and fecal bacteria in vitro. HepG2 cells were treated with BF, BL, BFL1:2, and BFL1:3 for 1 h, and 0.5 mM palmitate was added to the cells. Moreover, low ($30{\mu}g/mL$) and high doses ($90{\mu}g/mL$) of BL and BF were applied to fecal bacteria in vitro, and SCFA was measured by GC. BL, BF, BFL1:2, and BFL1:3 reduced triglyceride deposition in the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BFL1:2 and BFL1:3 had a stronger effect than BF. The content of malondialdehyde, an index of oxidative stress, was also reduced in BL, BF, and BFL1:2 with increasing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The mRNA expression of acetyl CoA carboxylase, fatty acid synthase,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was reduced in BL, BF, BFL1:2, and BFL1:3 compared to the control, and BFL1:2 had the strongest effect. By contrast, the carnitine palmitolytransferase-1expression, a regulator of fatty acid oxidation, increased mostly in BFL1:2 and BFL1:3.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1{\beta}$ expression was reduced in BL compared to that in BF and BFL1:2 in HepG2 cells. Interestingly, BL increased propionate production, and BF increased butyrate and propionate production and increased total SCFA content in fecal incubation. BF increased the contents of Bifidobacteriales and Lactobacillales and decreased those of Clostridiales, whereas BL elevated the contents of Bacteroidales and decreased those of Enterobacteriales. In conclusion, BFL1:2 and BFL1:3 may be potential therapeutic candidates for NAF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