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2초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를 통한 예비 교사들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변화 (The Change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by Teaching Practicum and Discussion about Lessons)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9-281
    • /
    • 2016
  • 교육실습은 예비 교사들이 배운 이론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이는 대학과 연계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기간에 실행했던 수학 수업에 대해서 대학 강의 시간에 다시 논의하는 시간을 제공하였고, 교육실습 및 논의를 통하여 예비 교사들의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들은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 이후에 수학 수업요소 중 수학적 담화 측면에 더욱 주목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을 모두 고려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경향과 수업 상황에 대한 견해를 밝히면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까지 제시하려는 노력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예비 교사들의 자기 평가 결과와도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을 신장하는 방안 및 예비 교사 교육에서 교육실습을 지도하는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동물학 과제에서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이 생성한 과학적 가설의 구조와 유형 (The Structure and Type of Scientific Hypotheses on Zoological Tasks as Generated by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정진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201-20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type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tific hypotheses generated on zoological tasks. The subjects were 18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ur zoological hypothesis generation tasks were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After being presented with the zoological situations of the tasks, the subjects were asked to generate causal questions and scientific hypotheses. The scientific hypotheses were analyzed by the inductive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ypotheses contained explicans and explicanda. The explican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what' and 'how'. In some cases, additional explanations were attached to the 'what' section. In addition, the hypotheses were classified into 9 types. The number of explicanda, the pattern of explicans, and the number of explicans were used as criteria for classification purposes.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future directions in teaching and teaming in science education.

  • PDF

예비 초등 교사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 on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2호
    • /
    • pp.145-160
    • /
    • 2012
  • Prospective teacher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amine their initial perception with regard to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during the teacher education period.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in relation to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by a total of 265 prospective teachers from four institutes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using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regarded learn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lection of content, and construction of curriculum as important for high-quality mathematics instruction. However, they revealed relatively low levels of agreement against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materials, classroom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assessment. On the ba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each element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this paper raises issues for discussion and includes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예비 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기술과 비평의 변화 (Changes in Describing and Commenting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by Prospective Teachers)

  • 방정숙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9-424
    • /
    • 2014
  • 예비 교사 교육은 수업 전문성의 기초를 쌓는 시기라는 점에서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문은 예비 교사가 초등수학교육방법론 강의를 수강하면서 초등 수학 수업을 기술하고 비평하는 능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수업 기술 측면에서는 강의 초반보다 후반에 수업의 핵심적인 단계에 더 주목하게 되었고 학습 내용에 적합한 수업 전략의 활용 여부에 주목하게 되었다. 수업 비평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수업 전략과 수학적 담화에 대한 내용에 대해 교사를 중심으로 평가적 수준에서 대안 없이 비평하는 비중이 높았다. 다만 강의 후반에는 교사와 학생을 함께 고려하고, 수학 개념이나 이론을 적용하여 비평의 근거를 마련하며, 해석적 수준에서 비평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예비 교사 교육에서 초등수학교육방법론 지도와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초등학생이 경험하는 경력교사와 예비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Qualitative Study on PE Class of Experienced Teachers and Prospective Teachers as to Elementary Student Experience)

  • 이종목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678-691
    • /
    • 2016
  •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rospective teachers with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 of students. To that end, the classes of prospective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were compared through the students with focus on PE class. Practicum is the first teaching experience of prospective teachers and there are many related studie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contributing to the reflective introspection of prospective teachers based on the experience of students. Thus, this study intends to promote their reflective introspection on their practicum, the first teaching experience. It wa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find the prospective teachers' class less helpful than the class of experienced teachers. The detail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find that prospective teachers only focus on the textbook and materials they have prepared. Second, most students find that prospective teachers do not consider the level of students as they focus on the textbook only. Third, most students find the class of prospective students uninteresting. Fourth, most students find that prospective teachers are unable to help students acquire various functions easily. The findings show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find the prospective teachers' classes are inadequate. It implies that prospective teachers do not gain effective teaching skills at their universities (college of education). Prospective teachers should identify their areas of improvement based on their student experience.

Prospective Primary School Teachers Views on the Nature of Mathematics

  • Kang, Eun Ky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257-272
    • /
    • 2014
  • This paper examines and presents descriptions of 12 prospective primary teachers' views on the nature of mathematics in USA. All the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teacher candidates enrolled in the same mathematics method courses. Interview data show that the prospective primary teachers possess two kinds of views on the nature of mathematics: primarily traditional and even mix of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beliefs in terms of Raymond's (1997) belief criteria.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the Levels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5-647
    • /
    • 2015
  • 예비교사가 수학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비평하는지는 수업전문성 개발의 기초가 되므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 중 현직교사의 시범 수업을 참관한 후 작성한 수업 비평을 토대로, 비평 수준 및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비평에 포함된 수학 내용뿐만 아니라 주체, 견지, 근거, 대안을 토대로 비평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 유의미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비평 수준은 1수준(소감형), 2수준(점검형), 3수준(분석형) 중 대부분 2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평 수준틀에 대한 중다회귀분석결과 비평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견지(見地)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의 비평을 통하여 교육실습 과정에서의 수업 참관이 수학 수업과 관련된 신념과 교사로서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및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수와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 순서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개선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on the Teaching Sequence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and Decimal Numbers)

  • 조진석;김성준;이동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7
    • /
    • 2019
  •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은 자신들의 학교수학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 순서를 배치하는 활동을 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의 제시된 순서와 일치한 경우는 없었지만 이러한 활동은 예비교사의 인식을 드러낼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인식과 교육과정의 차이 그리고 서로 간의 인식이 다름을 확인하면서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을 배울 수 있었다. 즉, 예비교사들은 분수와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 순서에 내재된 수학적 관계를 알 수 있었고, 연산 지도에서 학생들의 사전 지식과 생각을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알 수 있었으며,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생산적 실패의 효과를 체감할 수 있었다.

  • PDF

Understanding Whether and How Prospective Teachers Support Elementary Students to Compare Multiple Strategies in Their Enacted Number Talks

  • Byungeun Pa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45-61
    • /
    • 2023
  • Number talks as a brief instructional routine benefits students and teachers. In general, the routines consist of four steps- introducing, posing questions, collecting answers, sharing ideas. This paper focuses on the sharing ideas step in which multiple strategies are shared by students because teachers sometimes do not know what to do with these multiple ideas. One way is to support students to engage in comparison given that teachers are expected to support students to compare strategies in number talks. This paper explores whether and how 15 prospective teachers supported students in their practicum classroom to compare different strategies in their enacted number talk. In this paper, 15 videos of number talks enacted by the prospective teachers were collected. Analyzing the videos produced multiple episodes in relation to comparing strategies, including 1) where prospective teachers created pre-conditions for comparison, 2) where they invited students for comparison, 3) where they pressed students to compare, and 4) where they offered their own way to compare. There were two patterns that might limit the potential of having multiple strategies as conditions for comparison. Additionally, this paper found that even though the prospective teachers missed opportunities to support students to compare different strategies, there were two ways for teachers to support students to engage in comparison. These findings can be used for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to support prospective teachers.

예비초등교사들이 분수 포함제의 몫과 나머지 구하기에서 범하는 오류에 대한 분석 (A study on errors committed by Korean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n finding and interpreting quotient and remainder within measurement division of fraction)

  • 박교식;권석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3호
    • /
    • pp.317-32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예비초등교사 65명을 대상으로 그 결과가 이산량과 나머지로 표현되는 포함제 맥락의 분수 나눗셈 문장제를 풀도록 하여 그 풀이과정을 수집하고, 65명 중 임의로 선발된 5명과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초등교사 중 상당수는 분수 나눗셈의 계산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자연수를 제외한 진분수 부분 또는 1보다 작은 소수 부분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했다. 포함제 맥락의 분수 나눗셈을 포함제 맥락의 자연수 나눗셈으로 바꾸어 계산해 버리는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비초등교사들에게 문장제를 만드는 과정 뿐 아니라 문장제를 주어진 맥락에 맞게 해결하고 그 계산 결과를 주의 깊게 해석하는 경험을 포함하는 치밀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