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e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1초

연행록의 계보적 독해 - 18세기 전반 노론 사대신 전주이씨 집안 연행 기록의 개관과 관심지향 분석 - (Genealogical reading on YeonHangrok : A general survey on a series of YeonHang documents of 18th Century No-Ron Jeon-Ju Lee's Family(老論 全州李氏) and an analysis on their points of concern)

  • 김현미
    • 동양고전연구
    • /
    • 제62호
    • /
    • pp.37-65
    • /
    • 2016
  • 본고는 개인적으로 지어진 한문 산문 연행록(燕行錄)이 본격적으로 창작되기 시작한 18세기 전반의 구체적인 창작층과 창작된 산문 연행록의 관심지향 양상을 살피기 위하여 쓰여졌다. 실지적인 작품을 다수 남겼으나, 문헌군 형성 전에 주목받지 못하였던 작자층 중에 '서인 노론 사대신' 중 소재 이이명, 그 아들 일암 이기지, 한포재 이건명의 사적(私的) 한문 산문 연행기록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우선 현전하는 문집에 수록되어 있는 그들의 연행 관련 글을 살핀 결과, 소재와 일암, 한포재의 연행 의식은 '연행의 중요성'을 의식하며 연행의 임무를 경험 대상에 대한 '관찰과 주목'이라는 태도로 실행해야 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연행 의식이 구체적으로 그들의 한문 산문 연행기록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가를 살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재 이이명과 일암 이기지 부자의 1720년 사행 결과로 나온 "연행잡지"와 "일암연기"는, 공통적으로 노가재 김창업과 그의 저작 "노가재연행일기"(1712)가 창작의 원인이 되었지만 서술 방법에 있어 화소의 편성을 보면 일암은 천주당을 중심한 서양 문화, 길에서 본 문물의 번성 관찰, 역관 등에게서 들은 현재의 정세 등 자신의 관심사에 따른 직접 체험들의 영역을 편성하고 있으며, 그와 함께 노가재의 교유 인물과 견문을 구비하는 방식을 띤다. 한편 아버지 소재는 자신이 직접 관찰하고 경험한 현상과 일들을 통하여 그의 연행 기록을 작성하는 원칙으로 조선에 영향을 준 청(淸)의 정세, 세법(稅法) 등 제도에 대한 관심지향성을 보인다. 1721년 세제 책봉을 위한 주청사로 간 한포재 이건명의 "한포재 사행일기"에서는, 앞선 두 개의 연행록처럼 자신의 연행 기록을 촉발시킨 사람이나 작품을 거론하지 않지만 서술의 곳곳에서 소재와 일암의 기록, 혹은 전해 들었을 그들의 경험 견문이 반영되어있다. "한포재사행일기"는 등장화소의 성격상 '공무' 와 '사신의 사명'을 중시하고 그 과정을 충실히 소개하고 분석한다는 점에서 소재의 연행기록인 "연행잡지"와 가깝다. 그러나, 자신의 심정 술회를 하기 위해 "일암연기"의 점술 화소를 유입하기도 하고, 공무 외의 견문과 체험에 대해서도 자신이 경험한 것을 간략하게 기록한다. 결국 18세기 전기 한문 산문 연행록의 주 작자층인 서인 노론계 전주 이씨의 작자들은 경험으로서 '사행의 중요성'을 공통적으로 인지한 채로, 자신들이 직접 경험한 영역을 주목하고 관찰하면서 연행록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소재와 한포재는 '공무'와 '사명'의 범주로 특화되며, 일암 이기지는 직접 체험할 수 있었던 타문화의 일상 문물과 교유로까지 넓어진다.

사총혈가(四總穴歌)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f clinical usefulness of Si-Zong-Sue-Ge(四總穴歌))

  • 양기중;배건태;윤종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1-12
    • /
    • 2000
  • Ge-Fu(歌賦) means prose and poetry individually, and they both have a meaning of all the rhythmical poetrical compositions making it ease for people to remember the content. All the Ge-Fus used in oriental medicine are made in Yuan(元), Mine(明)and Qing(靑)dynasty, and they have been largely used in most of all the fields of medicine such as Ben-Cao(本草), Tang-Ye(湯液), Zhen-Jiu(鍼灸), Zhen-Duan(診斷). Zhen-Jiu-Ge-Fu(鍼灸歌賦) has about 90 poetries and 10 proses and they contain the names of meridian; courses of meridian streams; accurate positions of acupuncture points; functions; effects; meanings of the name of acupuncture points; usages and effects of special points; manipulations of reinforcing and reducing method; contraindications of acupuncturing; principles of selections and orders of acupuncture points in therapy; and eight diadgoses. Zhen-Jiu-Ge-Fu is subdivided into Jing-Xue(經穴歌), Zhi-Jiu-Ge(刺灸歌), Shu-Xue-Ge(輸穴歌), Zhi-Liao-Ge(治療歌). And In Zhi-Liao-Ge, the most brief and essential Ge-Fu-Si-Zong-Sue-Ge- contains theraputic designs using far apart acpuncture points from the right painful areas in the body. In this study, the author opinionated the Si-Zong-Sue-Ge can be the prototype of the distant needling; the research on this can open the importance of Ge-Fus. On conclusion, 1. "Upper and lower Abdomen - Zu-San-Li($S_{36}$) (肚腹三里留)" means when there are problems and disorders in upper and lower abdomen, distinctively, such as gastric pain, maldigestion, flatulence, abdominal pain, constipation, diarrhea, vomiting, menstrual disorer, knee pain and tonic functioning, 족삼리 can be a right choice for distant needling point for treating. 2. "Face and Eye-He-Gu($Li_4$) (面目合谷收)" means when there are problems and disorders in facial, eye, ear, nose, throat, mouth regions, distinctively, such as facial edema, toothache, headache, sore throat, rhinorrhea, frontal headache, abdominal pain, dizziness, He-Gu can be a right choice for distant needling point for treating. 3. "Upper and lower back - Wei-Zhong($B_{40}$) (腰背委中求)" means when there are problems and disorders in upper and lower back, distinctively, such as upper back pain, lumbargo, hamstring muscle pain, popliteal region pain, lower extremity compartment syndrom, Inguinal region pain, muscle twitch, vomiting and diarrhea, hemorrhoidal bleeding, skin rash, Wei-Zhong can be a right choice for distant needling point for treating. 4. "Head and neck - Lie-Que($L_7$) (頭項審列缺)" means when there are problems and disorders in capital and nuchal area, distinctively, such as migraine, frontal headache, rhinorrhea, asthmatic dyspnea, aphasia, coughing, neck stiffness, occipital headache, upper extremity pain, Lie-Que can be a right choice for distant needling point for treating.

  • PDF

조선왕조(朝鮮王朝)의 읍지연구(邑誌硏究) (A Study on the Eubj(邑誌) in the Yi Dynasty -Based upon the existing Eubjis-)

  • 김전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1-235
    • /
    • 1974
  • A. The principal geographical descriptions compiled by the government during Yi dynasty started from the Shinchan-Paldo-Chiriji(新撰八道地理志) which was compiled by the royal decree in the sixth year (1424) of King Sejong(世宗) and it ended in the Jungbo-Munhonbiko(增補文獻備考) which was published in the second year(1908) of Yunghyi(隆熙). The process of their compilations can be divided into four steps according to the compilatory work's contents of the principal geographical descriptions which were compiled through the Yi dynasty. We can say that the first step (1424-1454) of those works began at the date of the compilation of the Shinchan-Paldochiriji and it ended in the date of the compilation of the "Sejongsilok-Chiriji"(世宗實錄地理志), and during that period the Kyonsangdo-Chiriji(慶尙道地理志) was published. In the second step(1455-1531), were published the Paldochiriji,(八道地理志), Kyongsangdosokchanchiriji(慶尙道續撰地理志), DonggukYojisungnam(東國與地勝覽) and the third step (1532-1769) began at the date of the compilation of the Dongguk-Munhonbiko(東國文獻備考) and it ended in the date of the publication of the Jungbo-Munhonbiko(東國文獻備考), and in that period the Jongjung-Munhonbiko(訂增文獻備考) was published. The works of compilation of the Eubjis in the period of King Kojong(高宗) came within the category of the fourth step. B. Generally speaking, the state geographical descriptions were composed of the regional data of the country which were collected and arranged. In other words, firstly, the Eubjis were compiled in each county, secondly, the Dojis(道誌) were compiled based upon the collections of all the Kunjis(郡誌), lastly, the government collected all the Dojis and compiled them into the state geographical descriptions. The Eubjis in the early days of Yi dynasty were compiled as the data for the compilation of the nation-wide geographical descriptions, but the Eubjis in the age of King Kojong were compiled as the administrative data. C. The main contents of the Eubjis were composed of the descriptions on the geography, history, industry, naval and military affairs, traffics, communication, administration, economy and society, and of the matters on the prose and poetry, persons of loyalty, historic remains, social customs and schools. Consequently, the above-mentioned data will be contributed to the study on the structures of the geography, history, economy, administration, education, naval and military affairs and traffics as well as the study on the literature, social customs and bibliography. Especially, they will be important data for the arrangement of cultural assets of our country. Furthermore, because the traditional study of national literature was centered around the study on the central government ignoring the study on the regional matters, the study of the Eubjis will be worthy of being valued.

  • PDF

고문헌을 제재(題材)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 (Trends of Scenery Research with a Old Literature Subject Matter)

  • 김묘정;정기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4-52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고문헌을 제재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을 파악하여, 고문헌자료 활용에 있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을 위해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한국전통조경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조사 분석하여 전통경관연구의 고문헌자료 활용을 고찰하였다. 고문헌을 통한 연구논문의 수량은 2009년까지 한해에 2~3편 정도인 것이 2010년부터 8편 이상으로 많아졌다. 고문헌자료의 활용경향은 국역본을 사용하거나 개인문집의 일부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원문사용에 있어서도 간혹 번역문만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원문번역에 대한 고증부분이 미진한 점도 나타났다. 결과에 의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을 아래와 같이 제안해 볼 수 있다. 원문의 효율적인 이해나 검증을 위해 원문과 번역본을 같이 제시하고, 번역의 출처도 명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현황을 기록한 기문인 경우에는 조경 및 경관의 전문성이 갖추어진 번역 역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고문헌 자료의 분석에 있어서도, 시문과 기문 등을 병행한 전통경관 분석은 풍부한 자료로 인해 경관의 위치 및 장소 추정이 용이하므로, 기문 등을 근거로 연구의 기초를 잡은 후, 보완적으로 시문을 활용하는 등의 연구접근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의료분쟁조정제도 운영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 방안 (The Problems in the Medical Dispute Medi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Act on Remedies for Injuries from Medical Malpractice and Mediation of Medical Disputes" and the Alternative Propsal)

  • 황승연
    • 의료법학
    • /
    • 제14권1호
    • /
    • pp.85-116
    • /
    • 2013
  • 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Agency, "K-MEDI" in abbr. herein-after, is established on Apr. 9, 2012 according to the law cited in the title above for the purpose of settling medical disputes in a prompt, fair and efficient manner. Two special professional organizations are established in K-MEDI, one of them is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Committe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ediation Committee") and the other Medical Malpractice Appraisal Board(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ppraisal Board"), the mission of the latter is to investigate the facts concerning the disputed medical conduct and to research as to and apprai-se whether the medical conduct was negligent and whether a causal relationship exists. Each panel organized in the Mediation Committee or the Appraisal Board shall be comprised of five mediators or appraisers, including necessarily a judge or a prose-cutor respectively and any disputed case regardless of the scale, the importance or the complicacy shall be handled by a panel. As the system is not thought efficient or economic, the number of the members comprising a panel or total members com-prising the Mediation Committee or the Appraisal Board shoud be adjusted, and the process shoud be versified, including the "Rapid Process," for instance. A petition for the mediation of a medical dispute shall be rejected if the respondent fails to notify K-MEDI of his/her intention to accede to the mediation within 14days from the day on which the petition for the mediation was served(Art. 27 Cl. 7). As the option of an arbitrary decision whether the mediation proceedings shall be commenced or not given to the respondent by the clause is thought unfair, making the process unstable, and moreover, diminishing the purpose of the system established by the law cited above for solving the medical disputes, the clause shoud be amended not to allow the respondent the option of such an arbitrary deci-sion. K-MEDI shall conduct the "Program for Compensation of Medical Accidents"(Art 46) according to which unavoidable injuries caused by the medical accidents in the cour-se of childbirth and the "Advances for Damages"(Art. 47) that are the compensating moneys paid to victims in medical malpractice cases who fail to receive money at all or partly from the operator or the professional of a public health or medical institution although he/she has a final and conclusive right to be paid by them. Some operators or professionals of such institutions claim that both the programs violate their fundamental rights assured by the constitution, and that it be a justifica-tion of refusal to accede to the mediation. As any of the programs needs not to be conducted by K-MEDI, it may be a proper solution to change the conductor of the programs to avoid the unproductive controversy.

  • PDF

일상생활과 기록 (Archival Program for Daily Life)

  • 이영남
    • 기록학연구
    • /
    • 제63호
    • /
    • pp.167-225
    • /
    • 2020
  • '일상생활과 기록'이라는 이름으로 기록실험을 수행했다. 일상에서 사람들 간에 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는 아카이브가 가능하다면 그것은 어떤 계열의 아카이브일 수 있을까, 어떻게 해야 일상생활에 간편하게 자리를 잡을 수 있을까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것은 미시적이고 일상적인 기록세계에 대한 탐구였다. 100명의 20대 대학생들과 4개월 동안(2019.9~12) 시행착오를 반복했다. 따로 실험실을 차린 것은 아니었다. 대학에서 정규적으로 개설하는 교과시간을 활용했다. 대학 제도에서 강제되는 권력적 통제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줄거리는 햇볕정책이었다. 인간에게는 자발적이고 긍정적인 태도가 있다. 누구라도 이런 태도를 취하기 시작하면 그 행동을 막기는 쉽지 않다. 정서적 지원을 통해 자발성이 싹트기를 노력했다. 실험은 당연한 것들에 의문을 품고 새로운 것을 찾아보는 시도이다. 멀리서보면 아카이브와 거리가 있어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직업적 아키비스트의 한 사람으로 기록학적 원리로 통제하면서 수행한 기록시간이었다. 이야기 형식으로 정리해 기록학적 함의를 살펴본다.

중국 작가 위화의 산문 ≪십개사휘중적중국(十個詞彙中的中國)≫의 '비허구적 글쓰기' (Chinese author Yu Hua's prose ≪十個詞彙中的中國≫ non-fiction writing)

  • 신의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71-76
    • /
    • 2020
  • ≪십개사휘중적중국(十個詞彙中的中國)≫ 의 한국어판 서문의 제목은 <5월 35일>이다. 이는 중국의 천안문 사건이 일어난 1989년 6월 4일을 의미한다. 중국 정부의 인터넷 검열을 피하기 위하여 교묘하게 '5월 35일'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원본 ≪십개사휘중적중국(十個詞彙中的中國)≫가 중국에서 출판이 금지된 이유는 이 책이 바로 직접적으로 천안문 사태를 언급하는 '6월 4일'식 글쓰기 때문이라고 간접적으로 말하고 있다. 반대로 같은 저자 위화의 다른 소설 ≪형제≫는 더 직접적인 비판일색의 소설임에도 이 소설의 형식이 저자가 말하는 '5월 35일'식 글쓰기였기에 정부 검열의 여지가 있음에도 출판된 것이다. 저자 위화가 말하는 '5월 35일'식 글쓰기와 '6월 4일'식 글쓰기는 각각 '허구'와 '비허구'의 글쓰기를 지칭한 것이다. 지난 30년간 위화는 이른바 소설이라는 '허구적 글쓰기' 속에 사랑과 애증의 필치로 자신이 사는 중국의 현실을 이야기하여 왔다. 그리고 그간의 소설속에 예리한 비판정신을 담아왔음은 그의 작품을 아는 많은 독자들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십개사휘중적중국(十個詞彙中的中國)≫은 소설이 아니라 산문이다. 하지만 이 작품에는 위화가 더 이상 소설이라는 틀에 의존하지 않고 현실에 대한 포문을 자신의 이야기하고 싶은 열망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한 첫 작품이라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조선 중기 유의(儒醫) 이석간(李碩幹)의 가계와 의약사적 연구 - 새로 발견된 대약부(大藥賦)를 중심으로 - (Medical Achievements of Doctor-Lee, Seokgan and Interpretation of the first unveiled 「Daeyakbu」)

  • 오준호;박상영;안상우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7-96
    • /
    • 2013
  • This study confirmed that a doctor named Lee, Seok-gan whose name has been widely known but whose real identity has remained unclear, was an active Confucian doctor in the 16th century. In addition, through the newly discovered "Daeyakbu" among his family line, writings, and relics that have been handed down in a family, this study looked into his medical philosophy and medicine culture. The author of "Ieseokgangyeongheombang"(Medical Book by Lee, Seok-gan(李石澗), Seok-gan is the same person as an active famous doctor Lee, Seok-gan(李碩幹, 1509-1574) in the 16th century. Such a fact can be confirmed through "Samuiilheombang", "Sauigyeongheombang" and the newly opened "Ieseokgangyeongheombang". Lee, Seok-gan was born in the 4th ruling year of king Jungjong (1509) and was active as a doctor until the 7th ruling year of king Seonjo(1547); his first name is Jungim with the pen name-Chodang, and he used a doctor name of 'Seokgan.' He was known as a divine doctor, and there have been left lots of anecdotes in relation with Lee, Seok-gan. Legend has it that Seokgan went to China to give treatment to the empress, and a heavenly peach pattern drinking cup and a house, which the emperor bestowed on Seokgan in return for his great services, still have remained up to the present. Usually, Seokgan interacted with Toegye Lee Hwang and his literary persons, and with his excellent medical skills, Seokgan once gave treatment to Toegye at the time of his death free of charge. His medical skills have been handed down in his family, and his descendant Lee, Ui-tae(around 1700) compiled a medical book titled "Gyeongheombangwhipyeon(經驗方彙編)". Out of Lee, Seok-gan's keepsakes which were donated to Sosu museums by his descendant family, 4 sorts of 'Gwabu'(writings of fruit trees) including "Daeyakbu" were discovered. It's rare to find a literary work left by a medical figure like this, so these discoveries have a deep meaning even from a medicine culture level. Particularly, "Daeyakbu" includes the typical "Uigukron". The "Uigukron", which develops its story by contrasting politics with medicine, has a unique writing style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explanatory methods of scholars' posi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distinctive feature of "Uigukron" is that it was created in the form of 'Gabu' other than a prose.

시(詩)의 변주, 시의도(詩意圖)와 서발(序跋) -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 <음중팔선도서(飮中八仙圖序)> - (Variations of the poem Song of Eight Drunken Celestials by Du Fu - Paintings Expressing the Poetic Ideas and the Preface and Postscript to the painting)

  • 강경희
    • 동양고전연구
    • /
    • 제37호
    • /
    • pp.189-216
    • /
    • 2009
  •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와 이를 화제(畵題)로 삼아 회화화(繪?化)한 시의도(詩意圖) 3편과, 원텍스트를 패러디한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를 다시 원텍스트로 삼아 패러디한 세편의 서발(序跋)을 살펴보면서 시라는 양식의 원텍스트가 그림이라는 양식으로, 다시 산문이라는 양식으로 그 모습을 바꾸면서 패러디되는 모습을 보았다. 개원(開元) 천보(天寶) 연간에 취중기행(醉中奇行)로 유명했던 여덟 명의 기인(奇人)을 노래한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는 많은 화가들에 의해 사랑받는 화제(畵題)가 되어 송(宋) 원(元) 명(明) 청(淸), 조선(朝鮮), 일본(日本) 등지에서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로 다시 태어났다. 이처럼 화가가시에 대한 해석을 회화적으로 재창조한 것을 시의도(詩意圖)라고 하는데 시의도(詩意圖)는 이미 존재하는 시를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이 둘 사이에는 원텍스트와 패러디 텍스트라는 관계가 성립한다. 두보의 마음에 공명한 화가들의 그림 3점, 명대(明代) 우구(尤求)의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 조선(朝鮮) 김홍도(金弘道)의 <두보시의신선도(杜甫詩意神仙圖)>, 일본모모야마(桃山)시대의 가이호유쇼(海北友松)의 <음중팔선도(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를 살펴보며 원텍스트를 반복하면서도 각 화가의 개성에 따른 차이를 고찰하였다. 언어로 표현된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를 원텍스트로 삼아 패러디한 시의도(詩意圖)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는 문인들이 그림에 부친 서문(序文) 및 제발문(題跋文)을 통해 다시 언어화된 텍스트로 패러디되었다. 화가의 마음에 공명한 조선의 세 문인 이덕무(李德懋), 박제가(朴齊家), 이봉환(李鳳煥)의 서발(序跋)을 통해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가 어떻게 변주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원텍스트와 연속적인 관계에 의한 반복과 각 작가의 독자적인 해석에 의한 차이를 알 수 있었는데, 이덕무(李德懋)는 집정자에 대한 경계로, 이봉환은 회재불우(懷才不遇)한 현인(賢人)으로, 박제가는 현세의 규율을 초월한 천연(天然)스러운 선계(仙界)를 꿈꾸게 하는 대자유인으로 음중팔선(飮中八仙)을 이해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남루시운(嶺南樓詩韻)』의 서지적 특징과 자료적 가치 - 수록 인물 분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ata Value of YoungNamRooSiun(嶺南樓詩韻) -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recorded characters -)

  • 전재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3-371
    • /
    • 2018
  • 이 논문은 최근에 소개된 필사본 "영남루시운(嶺南樓詩韻)"의 서지적 특징과 자료적 가치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영남루시운"은 영남루 본당 마루를 비롯하여 능파당(凌波堂), 침류각(枕流閣), 객사동헌(客舍東軒), 덕민정(德民亭), 람수정(攬秀亭) 등 6개 건물을 대상으로 임진왜란 이전에 창작된 기문(記文), 상량문(上樑文), 제영시(題詠詩) 등을 수록하고 있다. 수록 작가는 누적 인원 412명이며, 작품 수는 산문(散文) 11편, 운문(韻文) 559수(首) 등 총 570편이다. "영남루시운(嶺南樓詩韻)"에 수록된 제영시(題詠詩) 작가(作家)는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를 비롯하여 밀양(密陽), 청도(淸道), 경주(慶州), 창원(昌原) 등지의 지방관, 선위사(宣慰使), 경차관(敬差官), 어사(御使), 선전관(宣傳官), 호송관(護送官) 등 문무(文武)관원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즉, 누적인원 412명 가운데 318명이 중앙과 지방의 관원들이며, 이 수치는 전체 작품의 77%를 차지한다. "영남루시운"에 수록된 작가들의 관직별 분류를 통해 조선전기 영남루 제영시(題詠詩) 작가들은 일반 시인묵객들보다 특정 임무를 띠고 밀양 지역에 파견된 관원들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영남루는 승경(勝景) 감상의 목적 이외에 관찰사나 도사의 집무 공간, 왜국 사신 접대 등의 공무가 이루어지던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