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ends of Scenery Research with a Old Literature Subject Matter

고문헌을 제재(題材)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

  • Kim, Myo-J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Jung, Ki-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14.02.03
  • Accepted : 2014.03.24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architecture based on the old literature for the last 10 years and to suggest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through utilization of the old literature. For the tendency analysis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I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earch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between 2002 and 2012, and reviewed the utilization of the old literature about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The number of the research papers through the old literature was two or three a year by 2009, but has increased to more than eight from 2010. The utilization tendency of the old literature was mostly to use the Korean translations or to use a collection of an individual's works after partially translating. As some of th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only through translations even when they used the original, historical evidence on th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was insufficient. I can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by the results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present both translation and the original and to specify the source of translation, for the efficient understanding and verification of the original. Professional transl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scenery also seems to be necessary for the records of the current state. For the analysis of the old literature, as th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scenery both through poetry and records facilitates assumption of the location of landscape by the abundant data, it seems to be necessary to approach research, using poetry and prose complementarily, after preparing foundation of research based on the records.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고문헌을 제재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을 파악하여, 고문헌자료 활용에 있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을 위해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한국전통조경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조사 분석하여 전통경관연구의 고문헌자료 활용을 고찰하였다. 고문헌을 통한 연구논문의 수량은 2009년까지 한해에 2~3편 정도인 것이 2010년부터 8편 이상으로 많아졌다. 고문헌자료의 활용경향은 국역본을 사용하거나 개인문집의 일부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원문사용에 있어서도 간혹 번역문만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원문번역에 대한 고증부분이 미진한 점도 나타났다. 결과에 의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을 아래와 같이 제안해 볼 수 있다. 원문의 효율적인 이해나 검증을 위해 원문과 번역본을 같이 제시하고, 번역의 출처도 명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현황을 기록한 기문인 경우에는 조경 및 경관의 전문성이 갖추어진 번역 역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고문헌 자료의 분석에 있어서도, 시문과 기문 등을 병행한 전통경관 분석은 풍부한 자료로 인해 경관의 위치 및 장소 추정이 용이하므로, 기문 등을 근거로 연구의 기초를 잡은 후, 보완적으로 시문을 활용하는 등의 연구접근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기(1991). 조경사 연구의 현황. 한국조경학회지. 19(2) : 94-98.
  2. 김용기, 정기호(2000). 한국정원학회지 게재논문(1982-1999)의 경향 분석과 전통조경의 향후 연구방향의 모색. 한국정원학회지. 18(4) : 1-9.
  3. 나미영, 최종희, 김용기(1998). 제주성읍마을의 입지와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6(3) : 1-11
  4. 남승희, 김용기(2000). 외암리 민속마을의 수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1) : 60-69.
  5. 민경현(1982). 서석지를 중심으로 한 석문임천정원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 : 4-27
  6. 백지성(1994). 창덕궁 후원 어수당구역의 공간구성과 식재에 대하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2(1) : 15-29.
  7. 신상섭(2003).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 조경사 분야의 연구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1(5) : 146-154.
  8. 이석래(1986). 청도운문의 거연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5(1) : 39-51.
  9. 정동오(1983). 정약용의 원림생활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1) : 123-136.
  10. 정성태, 정기호(2000). 학술연구에 나타나는 풍수의 시계열적 연구경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3) : 2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