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0923/kjas.2020.63.167

Archival Program for Daily Life  

Lee, Young-nam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v., no.63, 2020 , pp. 167-22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author conducted a records research named 'daily life and record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find an archive, if possible, that would be effective in promoting exchange and cooperation among people in their daily lives, and to distinguish what type of archive it would be, as well as how to let it naturally take place in their ordinary lives. For 4 months (August-December 2019) with 100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trial and error were repeated. There was no separate laboratory for the research, and it used regular school hours at universities. Although it is true that there was a control through power by the college system, the plot was centered on the sunshine policy. To human being there is a voluntary and positive attitude. If anyone begins to take this attitude it is difficult to stop such action. Through emotional support, this voluntary action was encouraged to take root. The experiment was an attempt to doubt the obvious, and to search for something new. From afar, this may seem irrelevant to archives. However, for the author who is a professional archivist, it was a time of records through control by Records principles. By organizing into a form of story, its archival implications are observed.
Keywords
companion; dialogue; event; story; narrative; in the mood for love; Nanook of the North; speech; archivist; sympathy; body; emotion; daily life; prose; norm; embodiment; emotional contro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원국. 2014. 대통령의 글쓰기, 서울: 메디치미디어
2 김종철. 2019. 근대문명에서 생태문명으로, 서울: 녹색평론사
3 김현경. 2015. 사람, 장소, 환대, 서울: 문학과지성사
4 김형경. 2012. 사람풍경, 서울: 사람풍경
5 김형경. 2012. 좋은 이별, 서울: 사람풍경
6 오도. 김시용. 2013. 텃밭정원 가이드 북. 홍성: 그물코
7 이경래. 이광석. 2017. 동시대 '대항기억'의 기록화: 용산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3, 45-77   DOI
8 이영남. 조민지. 2014. 새로운 기록방법론을 위한 기호론적 접근. 기록학연구, 41, 113-173   DOI
9 이영남. 2018. 기록학과 교육적 관점 : 기록향연,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57, 165-234
10 임지훈. 오효정. 김수정. 2017. 사건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기록학연구, 51, 175-208   DOI
11 임지훈. 2019. 사건 아카이브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정다현. 2017. 연극기록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 :레퍼토리 기록화를 중심으로. 한신대 대학원 석사논문
13 정혜신. 2018. 당신이 옳다 - 정혜신의 적정심리학, 서울: 해냄
14 조남주. 2016. 82년생 김지영, 서울: 민음사
15 조민지. 2014. 기록과 기억의 문화정치 :국가기록 전시의 기호학적 접근. 한국외대 박사논문
16 조은성. 2013. 기록학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기술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7, 75-142   DOI
17 Christopher Vogler. 2007. The Writer's Journey: Mythic Structure for Writers. Michael Wiese Productions (함춘성 역. 2013.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서울: 비즈앤비즈)
18 조항범. 2016. 우리말 어원 이야기, 서울: 예담
19 Ackerman, Angela. 2012. The Emotion Thesaurus: A Writer's Guide to Character Expression.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서준환 역. 2014. 인간의 75가지 감정표현법, 서울: 인피니티북스)
20 Christopher Phillips. 2007. Socrates in Love. W W Norton & Co Inc (이세진 역. 2008. 사랑, 그 위대한 악법, 서울: 예담)
21 Douglas Stone. 2000. Difficult Conversations. Penguin Group (김영신 역. 2003. 대화의 심리학, 서울: 21세기 북스)
22 G. Lakoff. 2006. Whose Freedom? - The Battle Over America's Most Important Idea. Audio Partners (나익주 역. 2010. 자유는 누구의 것인가 - 왜 진보와 보수는 서로 가지려 하는가.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3 G. Lakoff. M. Johnson. 2003. Metaphors We Live by. Univ of Chicago Pr (노양진. 나익주 역. 2006. 󰡔삶으로서의 은유󰡕, 서울: 박이정)
24 Irving Seidman. 2013.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Teachers College Pr (박혜준. 이승연. 2009.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서울: 학지사)
25 Ivan Illich. 1979. The Right to Useful Unemployment. Marion Boyars (허택 역. 2014.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 - 시장 상품 인간을 거부하고 쓸모 있는 실업을 할 권리, 서울: 느린걸음)
26 Richard L. Hopkins. 1994. Narrative Schooling -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 (강현석 외 공역. 2013. 내러티브, 학교교육을 다시 디자인하다, 서울: 창지사)
27 John A. Sanford. 1988. Between People: Communicating One-To-One. Paulist Pr (김중원 역. 1994. 만남, 대화 그리고 치유, 서울: 하나의학사)
28 Otto Ludwig. 2006. Geschichte des Schreibens. Walter de Gruyter & Co, KB Berlin (이기숙 역. 2013. 쓰기의 역사 - 고대부터 서적 인쇄술의 시대까지,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9 Lisa Schirch. David Campt. 2007. The Little Book of Dialogue for Difficult Subjects: A Practical, Hands-On Guide. Good Books (진선미 역. 2015. 공동체를 세우는 대화기술, 서울: KAP)
30 Marshall B. Rosenberg. 2015. Nonviolent Communication(Paperback, 3). Puddle Dancer Pr (캐서린 한 역. 2017. 비폭력대화, 서울: 바오)
31 Ronald B. Tobias. 2003. 20 Master Plots: And How to Build Them. Writers Digest Books (김석만 역. 2007.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 가지 플롯, 서울: 풀빛)
32 William Glasser. 1986. Control theory. pbk. Harper & Row. (김인자 역. 2013. 당신의 삶은 누가 통제 하는가. 서울: 한국심리상담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