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s of the poem Song of Eight Drunken Celestials by Du Fu - Paintings Expressing the Poetic Ideas and the Preface and Postscript to the painting

시(詩)의 변주, 시의도(詩意圖)와 서발(序跋) -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 <음중팔선도서(飮中八仙圖序)> -

  • 강경희 (이화여대 중어중문학과)
  • Received : 2009.11.25
  • Accepted : 2009.12.18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e poem Song of Eight Drunken Celestials by Du Fu(杜甫) of the Tang Dynasty was one of the most favored theme by many painters through the Song, the Yuan, the Ming and the Qing Dynasty, as well as in Korea Chosun Dynasty and in Japan. This paper focuses on the paintings depicting Song of Eight Drunken Celestials by Wu Qiu(尤求) of the Ming Dynasty, Kim Hongdo (金弘道) of the Chosun Dynasty and Kaiho Yusho(海北友松) of Japan Momoyama Period, makes a comparative study of them. And also focuses on two preface and a postscript to the painting Eight Drunken Celestials by Yi Dukmu(李德懋), Park Jega(朴齊家) and Yi Bongwhuan(李鳳煥) of the Chosun Dynasty, makes a comparative study of them. This study helps us understand the repetitio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em as an Ur-text and the paintings and the prose about the painting as the parody texts.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와 이를 화제(畵題)로 삼아 회화화(繪?化)한 시의도(詩意圖) 3편과, 원텍스트를 패러디한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를 다시 원텍스트로 삼아 패러디한 세편의 서발(序跋)을 살펴보면서 시라는 양식의 원텍스트가 그림이라는 양식으로, 다시 산문이라는 양식으로 그 모습을 바꾸면서 패러디되는 모습을 보았다. 개원(開元) 천보(天寶) 연간에 취중기행(醉中奇行)로 유명했던 여덟 명의 기인(奇人)을 노래한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는 많은 화가들에 의해 사랑받는 화제(畵題)가 되어 송(宋) 원(元) 명(明) 청(淸), 조선(朝鮮), 일본(日本) 등지에서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로 다시 태어났다. 이처럼 화가가시에 대한 해석을 회화적으로 재창조한 것을 시의도(詩意圖)라고 하는데 시의도(詩意圖)는 이미 존재하는 시를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이 둘 사이에는 원텍스트와 패러디 텍스트라는 관계가 성립한다. 두보의 마음에 공명한 화가들의 그림 3점, 명대(明代) 우구(尤求)의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 조선(朝鮮) 김홍도(金弘道)의 <두보시의신선도(杜甫詩意神仙圖)>, 일본모모야마(桃山)시대의 가이호유쇼(海北友松)의 <음중팔선도(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를 살펴보며 원텍스트를 반복하면서도 각 화가의 개성에 따른 차이를 고찰하였다. 언어로 표현된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를 원텍스트로 삼아 패러디한 시의도(詩意圖)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는 문인들이 그림에 부친 서문(序文) 및 제발문(題跋文)을 통해 다시 언어화된 텍스트로 패러디되었다. 화가의 마음에 공명한 조선의 세 문인 이덕무(李德懋), 박제가(朴齊家), 이봉환(李鳳煥)의 서발(序跋)을 통해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가 어떻게 변주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원텍스트와 연속적인 관계에 의한 반복과 각 작가의 독자적인 해석에 의한 차이를 알 수 있었는데, 이덕무(李德懋)는 집정자에 대한 경계로, 이봉환은 회재불우(懷才不遇)한 현인(賢人)으로, 박제가는 현세의 규율을 초월한 천연(天然)스러운 선계(仙界)를 꿈꾸게 하는 대자유인으로 음중팔선(飮中八仙)을 이해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